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너 뮐러의「그림쓰기」에서 에크프라시스의 상태성 (Der Status der Ekphrasis in Heiner Müllers Bildbeschreibung)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6.12
23P 미리보기
하이너 뮐러의「그림쓰기」에서 에크프라시스의 상태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57권 / 4호 / 75 ~ 97페이지
    · 저자명 : 박미리

    초록

    하이너 뮐러가 제시하는 에크프라시스의 이 새로운 가능성은 아이러니하게도 18세기의 작가 레씽의 통찰에서 출발한다. 즉 레씽이 암시한, 예술가의 형상화방식의 모방이라는 또 다른 에크프라시스의 가능성을 뮐러는 의도적이든무의식적이든 그의 그림쓰기 에서 실현했다. 그러나 뮐러는 더 나아가 에크프라시스의 객체를 서술의 과정에서 비로소 새로이 창조한다는 점에서 레씽의제안을 넘어선다. 형상화방식의 모방은 어떻게 보면 위에서 구체적 형상시의예에서 언급했듯이 뮐러 자신의 시대에 시의적절한 것일 수도 있다. 객체를 서술과정에서 새로이 창조한다는 창조적 에크프라시스의 구상으로써 뮐러는2000년의 역사를 이어온 고전적 에크프라시스에 충격적인 도전장을 던진 것일뿐만 아니라, 에크프라시스의 패러다임 교체에 새 방향을 제시한 셈이다. 이러한 변화된 형태의 에크프라시스를 여전히 ‘에크프라시스’라 지칭할 수 있는지의 문제가 남는다. 이는 쉽게 답해질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단 이미 레씽이새로운 에크프라시스의 가능성을 암시한 만큼, 에크프라시스의 발전선 상에서생각해 볼 수 있다는 게 필자의 의견이다. 또한 뮐러의 텍스트 제목이 에크프라시스를 지칭하는 한, 그것을 새로운 장르라고는 말하기 힘들다. 시대가 변한만큼 전통적 장르들도 탈바꿈할 수밖에 없다. 현대에 불가피하게 제기되는 에크프라시스의 난점이 이를 대변해 주고 있다. 뮐러는 이 난점을 헤쳐나가는 가운데 독창적이면서도 새로운 에크프라시스의 개념에 도달한 것이다. 또한 에나르게이아의 척도도 변화했다. 뮐러의 텍스트의 경우 20세기에 반대로 전도된 에나르게이아 대신에 오히려 잠재성을 의미하는 에네르게이아 energeia가적용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위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조형예술품에 잠재된 의미를 언어의 힘으로 밖으로 끄집어내어 보인다는 점은 레씽이 제기한 테제이다(L 140). 그런 만큼 뮐러는 전통을 발판으로 삼아 전혀 새로운 형태의, 아니오히려 반대로 향하는(잠재성을 지향하는, 서술의 객체를 새로이 창조하는 등) 독자적인 에크프라시스의 형태를 내놓았다. 아마도 이것은 향후 에크프라시스의 새로운 방향전환을 주도하리라 본다.

    영어초록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in der Bildbeschreibung Heiner Müllers durch Textanalyse zu klären, ob hier eine Ekphrasis zustande kommt, oder, wenn nicht, wie Ekphrasis in diesem Werk transformiert ist. Dabei wird die Frage der Ekphrasis im Text v.a. auf der Basis von Lessings Laokoon betrachtet. Ekphrasis, die ursprünglich vom alt-griechischen rhetorischen Genre herrührte, nennt man die Beschreibung der bildenden Kunstwerke. Das Ziel der Ekphrasis liegt darin, den Gegenstand der bildenden Kunst möglichst anschaulich zu vergegenwärtigen. Lessing kritisiert in seinem Laokoon die Ekphrasis, indem er die mediale Differenz zwischen Literatur und der bildenden Kunst hervorhebt, und deutet eine neue Möglichkeit der Ekphrasis an, nämlich die Nachahmung der Gestaltungsweise. Die Beschreibung in der Bildbeschreibung Müllers wird durch 1) eine Strategie der Übermalung, 2) eine Erweiterung des Augenblicks zur Potentialität, 3) den aus dem Betrachter losgelösten Blick, und durch 4) eine Konstruktion des Imaginationsraumes destruiert. Folglich wird deutlich, dass eine Ekphrasis im traditionellen Sinn in der Bildbeschreibung nicht zustande kommt. Die Bildbeschreibung besteht aus der Simulation der Gestaltungsweise eines Bildes, dessen Materialität hervorgehoben und dessen Referenz sehr schwach ist, nämlich einer a-mimetischen Gestaltungsweise mit zahlreichen manche Zwischenräume erzeugenden, mehrfach übermalten Strichen, unkenntlich unklaren Linien und Konturen. Das Objekt der Beschreibung wird erst im Prozess der sprachlichen Beschreibung geschaffen. So legt Müllers Text eine neue Möglichkeit der Ekphrasis v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