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너 뮐러의 마우저 Mauser (A study of Heiner Müllers Maus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01.11
30P 미리보기
하이너 뮐러의 마우저 Mauser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9호 / 233 ~ 262페이지
    · 저자명 : 이창복

    초록

    학습극은 현실의 문제들을 변증법적으로 비판하고 있는 연극이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다. 특히 60년대부터 시작된 문학의 정치화 경향에서 학습극은 정치적 성격을 지니면서 역사 발전과정의 모순이나 정치․사회적 현실의 문제들을 서술하고 비판해서 관객들의 의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학습의 수단으로 되었다. 1970년에 『필록테트 Philoktet』, 『호라치 사람 Der Horatier』에 이어 세 번째 극작품으로 발표한 『마우저 Mauser』도 정치적 학습극의 한 형태로서 혁명적 역사과정에서 집단과 개체사이의 갈등관계에서 발생하는 모순들과 스탈린식 통치와 숙청의 동독 현실정치에 대한 문제들을 변증법적으로 비판하고 학습시키려는 ‘시도’에서 창작되었다. 뮐러는 스스로 학습극 형태를 지닌 위의 세 작품들을 ‘시도극 Versuchsstück’이라 불렀다.
    『마우저』는 이미 1920년대에 쓰여진 숄로호프 Scholochow의 유명한 소설 『조용한 돈 강 Der stille Don』의 주제를 변형해서 브레히트 B. Brecht의 작품 『조치 Die Maßnahme』를 새롭게 각색한 학습극이다. 이 작품은 구 동독에서 출판하려 했던 뮐러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출판되지 않았으며, 1976년에 처음으로 영어 번역판으로 미국에서 “New German Critique” 잡지에 발표되고, 동년 가을에 서 베를린에서 “Alternative” 잡지에 실려 출판되었다.
    뮐러는 이 작품을 통해서 브레히트의 교육극 이론과 실제를 전제하고 동시에 비판하기 위해 썼다. 그가 제시하고 있는 전제와 비판의 주제는 브레히트의 작품 『조치』에 내포되어 있는 그의 혁명에 대한 역사관, 즉 혁명적 집단과 이 집단의 한 부분으로서 혁명과업을 수행하는 개체의 관계를 규정하는 브레히트의 혁명관이다. 뮐러는 브레히트의 그것을 비판함과 동시에 더욱 첨예화시킨다. 『조치』에서와 마찬가지로 『마우저』는 혁명적 집단과 개체사이에서 벌어지는 법정 사건이다. 『마우저』에서 혁명의 주체적 집단을 상징하는 합창은, 한 때 혁명의 전사였으나 후에 사형 집행인으로서의 혁명 과업을 수행하고 있는 과정에서 저지른 실수로 체포된 마우저 A에게 사형을 선고하고 그의 죽음에 동의할 것을 요구하나 A는 끝내 이에 반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는 결국 스스로 자신에게 “혁명의 적에게 죽음을 TOD DEN FEINDEN DER REVOLUTION”이라는 처형 명령을 내린다. 뮐러는 마우저 A의 항의를 통해서 혁명을 위해 죽이고 죽어야 하는 필연성과 연관된 개인의 문제, 즉 혁명의 승리를 위해 개인이 치러야할 희생이 무엇으로 변호될 수 있느냐는 문제와 함께, “누가 누구에게 이 작품에서, 이 작품으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가 Wer macht wem den Prozeß in diesem Stück / mit diesem Stück”라는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마우저』에서는 죽음에 대한 동의의 문제와 연관해서 집단과 개체의 상호관계가 뮐러에 의해 어떻게 새롭게 규정되었으며, 역사 발전을 위한 혁명과정에서 혁명과 혁명의 폭력에 대한 회의를 일으키고 혁명을 위태롭게 하며 A에게 죽음의 원인을 제공하는 집단과 개인의 과오와 약점은 무엇이냐는 문제들과, 나아가 A의 체험을 통해서 새로운 인식에 이르는 상황에서 뮐러가 변증법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혁명의 적들”에 대한 상징적 의미와, 죽임과 죽음의 생산적 수용에 대한 문제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대한 분석은 이 작품의 이해를 위한 핵심적인 길잡이가 될 수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of collective violence and the inevitability of individual sacrifice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revolution.
    『Mauser』 is a judicial case in which a discussion is held between the collective chorus as the role of judge and the protagonist Mauser A as a convict. This drama begins with a pronouncement by the chorus on the accused A who worked as a executioner by the order of chorus and ends with his own execution. The span of the intervening time can be understood as a space of the personal experience and cognition of Mauser A. He begins his work with the elimination of his predecessor B. Therefore A and B are the only members of the chain of executioners-victims. A makes the mistake of murdering instead of killing. Finally he found that his victims are more than animals and matter, and begins to see them as human beings. That is why he becomes doubtful about the meaning of revolution.
    There is the fault of A in that he tries to throw off the load of (pre)history through murdering, and the fault of the chorus lies in that the chorus wants to clear up the bloody trace of history with the execution of Mauser A. The chorus requires A to agree with his own execution. He refuses at first, but at last gives the command to fire. This contradictory death of A contains not only a protest which culminates in the question, who could take whom to court in this drama, but also the unanswered question whether the sacrifice of the individual by the violence of the collective is inevitable in the process of history. Heiner Müller gives indirect answers to this question as he emphasizes the individual life as the absolute. This is the basis of his humanism.
    Heiner Müller gives a new meaning to violence and death according to his aesthetic principle of effect. Protagonists experience fear through violence, and this fear forces them to find the reason and the solution. In this way fear and violence become a productive function for the new beginning. As with fear and violence, death becomes the meanning of somethig constructive, because they are in the literature Müllers metaphor for the creative Strength which destroys some of the old and brings as a result of that some of the new. Therefore 『Mauser』 belongs to a production drama of cruel dialectic.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educational play about the dialectic of enlightment, because 『Mauser』 as a sketch of history criticizes the political situation of DDR (German Democratic Republic) at that time and gives a corrct reflection on the hisorical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