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냉전기 ‘민족예술’을 둘러싼 전유와 경합: 1964년 <삼천리 가무단>, <국립국악원>, <아리랑 가무단>의 해외공연을 중심으로 (Appropriation and Competition Surrounding “National Performing Arts” in the Cold War Era: Overseas Performances of the , , and in 1964)

6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6 최종저작일 2024.04
61P 미리보기
냉전기 ‘민족예술’을 둘러싼 전유와 경합: 1964년 &lt;삼천리 가무단&gt;, &lt;국립국악원&gt;, &lt;아리랑 가무단&gt;의 해외공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음악학회
    · 수록지 정보 : 음악과 현실 / 67호 / 141 ~ 201페이지
    · 저자명 : 김희선

    초록

    글로벌 냉전기이던 1960년대는 분단이후 한반도 음악지형이 구축되며 남한에서는 국악의 현대적 제도화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 국악의 해외공연도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냉전기 남북한 민족주의의 글로벌 경합은 이를 추동하는 중요한 힘이었다. 이 연구는, 그간 널리 알려져있지 않았던 세 단체 <삼천리 가무단>, <국립국악원>, <아리랑 가무단>의 1964년 해외공연을, 다양한 1-2차 자료의 수집과 해석을 통해, 냉전과 국가수립기 중요한 민족적 과제였던 ‘민족예술’의 구상/구성의 과정과 양상, 이를 둘러싼 다양한 예술주체의 전유와 경합, 글로벌 냉전기 트랜스 퍼시픽 음악 교통을 논구한다.
    <삼천리 가무단>은 미국 순회공연을 목적으로 미국의 아시아 협회가 한국에 체류 중이던 미국인 국악애호가 알란 헤이먼에게 요청하여 구성된 단체였다. 국악예술학교와 민속악계를 주축으로, 민속음악과 춤을 주요 레퍼토리로 하되 정악과 불교음악을 포함하여 3개월간 미국순회공연을 진행했다. <국립국악원>은 국악계 유일의 국립단체로, 1964년 일본 요미우리 신문사의 초청으로, 보름간의 일본 순회 공연이 진행되었다. 성경린, 이혜구, 장사훈 등을 주축으로 궁중음악과 정재 등 현재의 정악을 주요 레퍼토리로 진행했다. <아리랑 가무단>은 지휘자 김생려와 무용가 권려성이 1961년 결성하여 활동했던 <예그린 악단>(1차 <예그린 악단>)의 단원들로 구성하였다. 미국 콜럼비아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와의 계약으로 1964년에서 1965년 초까지 미국과 유럽에서 순회공연을 진행했고 이후 단원들은 미국에 체류하며 약 10년간 미국과 유럽에서 공연을 지속했다.
    이 연구를 통해, 앞서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던 세 공연의 구체적 공연내용과 국악 현대적 레퍼토리 구성과정을 확인했다. 또한 1964년의 세 공연의 양상을 통해 1960년대 국악 해외공연은 글로벌 냉전기 트랜스 퍼시픽 음악교통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1960년대 한국에서 ‘민족예술’은 이에 관심을 갖는 여러 예술 주체의 전유(專有)와 경합이 대상으로, 새롭게 구상/구성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1960s, a period characterized by the global Cold War, marked a significant phase in the construction of the musical landscape on the Korean Peninsula post-division, during which the modern institution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or gugak, commenced in South Korea. This era also witnessed the initiation of gugak performances abroad, significantly propelled by the global rivalry of nationalis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ly under-documented 1964 international tours of three organizations—Sahm-chun-li Gamudan (Sahm-chun-li Dancers and Musicians),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the Arirang Gamudan (Arirang Ensemble)—through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a broad array of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It explores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conceptualizing/formulating the notion of “national performing arts,” a crucial nationalistic task during the Cold War and state-building period. It delves into appropriation and competition among various artistic entities and discusses trans-Pacific musical exchanges in the context of the global Cold War.
    The Sahm-chun-li Dancers and Musicians troupe was assembled at the request of the Asia Society in the United States by Alan Heyman, an American gugak enthusiast residing in Korea, with the objective of touring the U.S. Comprised primarily of artists from the folk music community, the troupe performed a repertoire of folk music and dance during its three-month tour. The National Gugak Center, as the sole national institution for gugak, embarked on its first international tour with a fortnight-long visit to Japan in 1964, facilitated by an invitation from the Yomiuri Shimbun newspaper. The tour featured court and aristocratic music and dance with gugak specialists Seong Kyung-rin, Lee Hye-ku, and Jang Sa-hoon playing central roles. The Arirang Ensemble, founded by Western-music trained conductor Kim Saeng-ryeo and dancer Kwon Ryeo-seong, consisted of members from the Yegeurin Akdan (Yegeurin Ensemble) and toured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from 1964 to the early part of 1965 under contract with Columbia Artists Management, continuing to perform in the U.S. and Europe for about a decade thereafter.
    This study uncovered previously unknown details regarding specific performances of these three troupes and the process of conceiving and preparing a contemporary repertoire for traditional music and dance. Furthermore, analysis of the 1964 performances revealed that gugak’s international presence in the 1960s was part of trans-Pacific musical exchanges during the global Cold War, and that the concept of “national performing arts” in 1960s Korea emerged from appropriation and competition among various artistic entities with interest in the id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악과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