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냉전기 아시아 상상과 반공 정체성의 위상학 - 해방~한국전쟁후(1945~1955) 아시아 심상지리를 중심으로 (The Transformation of Asian Regionalism and the Construction of Anti-Communist Identit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6 최종저작일 2007.06
35P 미리보기
냉전기 아시아 상상과 반공 정체성의 위상학 - 해방~한국전쟁후(1945~1955) 아시아 심상지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20권 / 311 ~ 345페이지
    · 저자명 : 김예림

    초록

    본고는 한국의 ‘아시아 상상’이 냉전이라는 새로운 국제적 환경과 국민국가 건설이이라는 국내적 요구 속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를 검토한다. 논의의 대상은 1945년 이후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약 10여 년에 걸친 시기이며, 『신천지』와 『사상계』의 담론을 중심으로 냉전기 지식집단의 아시아론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 한국은 강력한 반공 국가로서 자기구성을 시도하면서, 미국 헤게모니의 자장 내에서 자신의 국가적 위상을 확보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본고는 이러한 국가 정체성 확립과정에서 출현한 반공주의적 지역주의를 ‘태평양 환상’으로 개념화하여 그 구체적인 상을 규명하였다. 해방기 한국의 지식집단은 동남아시아 제국의 해방 및 해방투쟁에 연대감을 표현하지만 ‘중공’의 탄생과 더불어 반공국가 연대를 요구하게 되고, 반공 태평양 연대라는 정치적 구상에 호응과 지지를 보낸다. 태평양이라는 심상 지라는 냉전적 세계 질서 속에서 이념적인 재가공을 거친 것으로서, 새롭게 열린 해방과 희망의 시대에 대한 지리적 메타포이자 동시에 장차 미국 없이는 상상될 수 없는 정치적 연대의 상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전쟁 이후 담론에서 한국의 국가적 위상은 상상적 이동을 하여, 냉전적 세계의 구심점으로 정체화된다. 동시에 지식인들은 한국사회를 ‘아시아적 존재’로 규정하면서 국가적/지역적 퇴보로 인해 공산화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역설한다. 당시의 동양론은 정체된 아시아가 처한 상황과 위험 요소들을 아시아 역사에 대한 규명을 통해 분석하고자 했다. 그리고 새로운 동양사의 전개를 주장했는데, 이 시기 동양론의 근저를 흐르는 것은 반공주의적 발전주의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ontext in which ‘Asia’ was imagined in the Cold War period. The main object of this analysis is the ideological situation or the structure of political-cultural imagination in South Korea in the decade immediately following liberation, 1945~1955.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the situation of South Korea in comparison with that of Japan.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South Korea’s intellectuals expressed passionate feelings of solidarity towards newly independent nations as well as nations struggling for liberation. But the birth of ‘red’ China was the dominant cause for new lines of division on South Korea’s map of Asia. In addition, ‘the Pacific fantasy’ got to be constructed. The Pacific was a geographical metaphor for a bright new age and an imaginary-geography of political solidarity, which could never be imagined without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U.S.
    Since the Korean War, the intellectuals in South Korea located the imaginary position of their country in the center of the Cold War map. It can be said that it was after the Korean War that Asia was initially imagined as a political unit began to be re-characterized in cultural terms. With the emergence of the political map of Asia in 1953, interest i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East’ also intensified. The cultural historical re-writing and re-defining of this region evolved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discourse. We can observe the dual motivation of the proponents of ‘the East’ discourse of the early 1950s. First, they intended to establish the origin of Asian inferiority on the level of culture. In addition, they planned to promote the anti-communist rebirth of Asia, clarifying the selective exclusion/inclusion of particular nations. In this way, the Cold War ideology grew stronger borrowing the cultural account of the imaginary geography of ‘Asia’ or ‘the E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