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 작가 선우휘의 ‘교양소설’ 실험, 그 임계와 유산 -상실된 ‘젊음’을 둘러싼 냉전기의 문학적 (The Experiment on Bildungsroman of Seon-Woo Hwi, 1953~1967: The Representation of Youth in the Postwar Korea and Its Limitations)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6 최종저작일 2022.09
52P 미리보기
전후 작가 선우휘의 ‘교양소설’ 실험, 그 임계와 유산 -상실된 ‘젊음’을 둘러싼 냉전기의 문학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87호 / 347 ~ 398페이지
    · 저자명 : 반재영

    초록

    이 논문은 해방과 분단,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격동기에 폭력적/자발적으로 젊음을 떠나보낸 남한의 지식인들이 그 상실된 젊음을 어떻게 의미화하였는지에 관한 물음에서 촉발되었다. 그리하여 이 글은 ‘젊음’을 자기 최대 화두로 삼았던 전후 작가 선우휘를 교양소설의 관점에서 재독하고 냉전의 논리와 강하게 결합된 그 교양 이념의 문제성을 살폈다. 「불꽃」(1957)과 『깃발 없는 기수』(1959)는 젊은이의 성장 편력과 방황, 실존적 결단을 대한민국의 규범적인 남성 반공 주체가 되는 과정으로서 서사화했다. 하지만 ‘전후’의 시점에 이러한 ‘성장’은 익히 규범화된 기성의 가치에 대한 수락에 불과했기에 공허했고, 선우휘는 그 젊음의 진정성을 증명하기 위한 고투 또한 벌여야 했다.
    「불꽃」과 『깃발 없는 기수』가 공산주의자를 조롱하며 성장의 제물로 삼았던 것과 달리, 「승패」(1958), 「열세 살 소년」(1964), 「좌절의 복사」(1965)와 같은 작품은 공산주의자 즉 ‘사상하는 인간’이 결코 그에게 인식적으로 손쉽게 처리되는 대상이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사사로운 나’를 넘어 신념에 목숨 바칠 수도 있는 인간은 젊음의 상징성과 성숙한 인간의 존엄성 모두를 간직했기에, 공산주의자는 외경심 섞인 언케니의 대상이었고 선우휘는 그로부터 청년과 어른 그 어느 쪽의 형상도 전유해낼 수 없었다. 이처럼 삐거덕거리는 교양=냉전 논리의 균열은 『물결은 메콩강까지』(1966~1967)에서 최종적으로 봉합된다. ‘젊음’을 둘러싼 10여 년에 걸친 선우휘의 작가적 실험은 실패로 끝나지만, 그 실패의 기록은 전후에 출현한 냉전적 교양 이념의 존재를 드러내 주고 있다.

    영어초록

    The question on the way that the intellectuals of South Korea narrated their lost youth which had ended violently/voluntarily through the National Division and the Korean War is a starting point of this article. This article tried to re-read the postwar writer Seon-Woo Hwi whose biggest topic was ‘youth’ in the perspective of Bildungsroman. Furthermore this article examined his bildung-ideology that stubbornly combined with the logic of The Cold War. “Spark”(「불꽃」) and A Flagless Flag Bearer(『깃발 없는 기수』) represented a young man’s growth, wandering, and existential decisions as a process of becoming a normative male-anti-communist of South Korea. However, in the postwar time, this type of ‘growth’ could only mean an acceptance of the established values. This made Seon-Woo Hwi struggle to prove the authenticity of his youth.
    “Victory and Defeat”(「승패」) “A 13-year-old Boy”(「열세 살 소년」) and “Copies of Frustration”(「좌절의 복사」) were different from Spark” and A Flagless Flag Bearer mocking and rejecting communists. These texts revealed that communists were not an easy target for the writer to epistemological overcome. Because the communist, who could devote their lives to the belief to transcend the private ego was an Uncanny object with awe for Seon-Woo, he failed to appropriate both the symbolism of youth and the dignity of mature man against them. It was in The Waves Flow to the Mekong River(『물결은 메콩강까지』) that the crack of ‘Bildung=Cold War’ logic was finally sealed. Seon-woo’s experiments on bildungsroman over the 10 years had ended in this Vietnam War-justifying-novel. But the ideology of ‘Cold War-Bildung’ that supported his bildungsroman remains an unresolved task for 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