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동액션영화: 식민-해방-냉전기 기억의 소급적 상상 (Myeung-Dong Action Films in Early 1970’s: Retrospective Imagination of Colonial-Liberation-Postwar Memori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6 최종저작일 2013.12
30P 미리보기
명동액션영화: 식민-해방-냉전기 기억의 소급적 상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1권 / 3호 / 257 ~ 286페이지
    · 저자명 : 송효정

    초록

    1969년부터 제목에 ‘명동’이 붙은 일련의 액션영화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명동액션영화’라 명명할 이러한 영화들은 ‘속 팔도사나이’를 표방하여 개봉된 <명동 출신>(1969)에서부터 부각되기 시작하여 <명동을 떠나면서>(1973)까지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영화사에서 ‘저질영화’로 간단히 소개되고 외면된 액션영화 중 명동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을 한국형 갱스터영화로 규정하고 이를 ‘명동액션영화’로 지칭한다. 이러한 유형의 영화에서 명동은 식민-해방-냉전의 질서를 재현하는 지정학적 공간으로 드러난다. 더불어 이곳에는 같은 시기의 아시아 공간(상해-동경)이 중첩되어 있었다. 1960년대 후반 한국영화에서 국토를 상징하는 ‘팔도(八道)’라는 비유는 1970년대 초반에 명동, 나아가 종로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인다. 국제주의양식의 첩보액션영화들에 등장하던 홍콩, 상해, 동경 등 이국적 공간은 과거의 식민지배공간인 ‘명동’과 손쉽게 교환될 수 있는 장소였다. 만주액션영화에서의 만주와 마찬가지로 명동액션영화에서의 명동은 회고적으로 상상된 교착공간이다. 식민지 시대 혼마치(本町)라 불리던 명동을 둘러싼 점유투쟁은 일본인과 조선인 사이 인종적 헤게모니 투쟁의 일환이 되었다. 해방-냉전기를 다룬 영화들에서 명동은 좌우 이데올로기를 둘러싼 갈등이 증폭되는 이념 과잉지역이었다. 광주, 인천, 논산, 평양, 부산 등 전국 각지 건달들은 명동에 모여 의리를 나누며 유사(類似) 형제 집단을 구성하게 된다. 해방기 군인-경찰이 정비되기 이전에 깡패들은 자경단원‘처럼’, 한국전쟁 전후(前後)로는 제대 군인‘처럼’ 행동하며 건국 질서 유지에 힘썼다. 개인-영웅이 아니라 집단의 우월성을 내세운 폭력의 정당화에는 5.16 쿠데타 이후 유신으로 이어지는 한국사회의 정치적 맥락이 담겨있기도 하다. 고전 갱스터 영화가 도착적 욕망에 추동된 갱스터의 개인주의를 주제화했던 것과 대조적으로 한국형 갱스터 영화인 명동액션영화는 건전하고 계몽적인 남성 집단이 품은 우애(友愛)의 민족주의를 주제화하였다. 해방기와 전후 냉전기를 거쳐 우애의 민족주의는 극단적 혐오를 동반하는 반공주의와 쉽게 결합될 수 있었다. 1960년대 말-1970년대 초 등장한 명동액션영화는 1974년 이후 실존인물인 김두한을 주인공으로 하는 ‘종로액션영화’로 이어지며 한국 액션 갱스터의 계보를 형성하게 된다.

    영어초록

    Since 1969, it began to appear a series of Korean gangster films attached ‘Myeung-Dong〔明洞〕’ as movie title. From <Native of Myeong-Dong> (1969) to <Leaving Myeong-Dong>(1972), these trendy films were intensively produced. This study focuses on ‘Korea-specific’ gangster films as ‘Myeung-Dong Action Films’ in early 1970s. For a long time they were regarded as low rent films and neglected from Korean film researches.
    In these types of movies Myeung-Dong was retrospective space of Korean modern history; through colonial-Liberation-postwar era. At the same time Myeung-Dong could be “imagined” Asian symbolic space. Exotic space like Hongkong, Shanghai, Tokyo in spy thriller films in late 1960s could be exchanged for Myeung-Dong in early 1970s. Also Meyung-Dong was geopolitical space that could access to Shanghai(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or Tokyo(symbolic hometown of colonial rulers and Japanese yakuza). Struggles for occupying Meyung-Dong could be racial hegemony struggl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the colonial era background Myeung-Dong Action Films such as <Gallant Man(Paldo〔八道〕Sanai)>(1969), <Native of Myeong-Dong>(1969). Or Meyung-Dong could be ideological conflict territory between left-wing and right-wing in the Liberation era and Korean War background Myeung-Dong Action Films such as <Old Gentleman in Myeongdong>(1970), <Time on Myungdong>(1971), <The Graduation from Myeongdong>(1971), <Leaving Myeong-Dong>(1972) etc. Gangsters from Paldo(八道, means whole country) could share a loyalty and form brotherly ties. They could be as if members of a vigilance commìttee, as if the police or soldiers in the Liberation and Korean War era. Not as a individual-hero but as collective heroes, they reminded us the era of military regime that was the golden age of male-soldier-elite. Gangsters were B-list symbols of political group as male-soldier-elite. Myeung-Dong Action Films as Korean gangster dealt with ‘brotherly nationalism’ of enlightening and wild male bunch. Through Liberation to postwar, brotherly nationalism easily could be combined with anti-communism. Myeung-Dong Action Films in early 1970s remained in existence ‘Jongno〔鐘路〕 Action Films’ in mid 197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