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냉전기 미국주의의 굴절과 영화표상 (Refraction of Americanism and Cinematic Representation in the Post-Cold War Era)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6 최종저작일 2014.06
41P 미리보기
탈/냉전기 미국주의의 굴절과 영화표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46호 / 87 ~ 127페이지
    · 저자명 : 오영숙

    초록

    이 논문은 탈/냉전의 기류가 감지되기 시작하던 시기에 남한의 대중들이 미국에 대해 가졌던 감정이나 정서를 추적하기 위해 씌어졌다. 1980년대 중반에서 1990년대 초반에 이르는 시기의 한국영화에는 미국을 바라보는 대중 인식의 심상치 않은 변화를 짐작케 하는 영화적 서사와 시각적 요소들이 출현하게 된다. 이러한 영화들은 미군정에서 한국전쟁, 근대사에 이르는 냉전의 기억들을 환기시키는 동시에 탈냉전의 변화된 분위기 안에서 독해될 여지를 품고 있다.
    이 글은 남한의 대중들이 미국에 대한 어떤 태도와 감정을 공유하고 있었으며 그에 상응하는 내면의 드라마는 어떠한 것이었는가?, 라는 질문을 던지고, 그에 답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경향의 영화들에 주목한다. 기지촌이나 미국을 배경으로 ‘아메리칸 드림’의 양상을 전면화한 영화들이한 축을 이룬다면, 베트남전을 통해 한국전쟁과 한미 관계에 대해 성찰하는 영화들이 다른 한 축을 형성한다. 어느 쪽이든 간에, ‘미국’ 혹은 ‘미국인’이라는 존재와 대면하고 그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대중서사로 육화시키려 했다는 점에서 이들 영화들은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논의의 과정에서 문제화한 것은 가족의 부재로 인한 불행한 성장에 대한 기억의 서사화, 추악한 미국인에 대한 표상, 미국인을 향한 한국인의 폭력적 복수,이태원이라는 기지촌 공간, 미국화된 스펙터클, 아메리칸 드림의 내면화문제, 한국인의 자기 처벌 등의 사안이다.
    영화들의 대부분이 미국에 대한 적대의식을 표명하고 있지만 좀더 문제적인 것은 한국전쟁 미체험 세대가 ‘미국’을 바라보는 시선이 갖는 이중성 내지 분열의 양상이다. 미국에 대한 적대와 선망이 동시에 표출되는한국인의 내면 풍경을 비판적으로 담아내기 시작했다는 점은 이 시기 영화들을 단순한 반-미국주의 영화들과 구분짓게 만든다. 그것은 원조자이면서 가해자이기도 했던 한국 내의 미국의 위상을 성찰하는 것이면서, 이상과 현실의 낙차를 보인 미국주의에 대해 사유하는 행위이다. 더 나아가그것은 미국의 이상을 보편적 선으로 추종하면서 닮고자 했던 한국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반추함과 동시에, 오랜 냉전기 동안 미국에 대한 환상뒤에 애써 가리고 있던 전쟁과 분단의 아픔을 끌어내고, 그에 대한 우리의 책임을 묻기 시작한 한국영화의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written to trace back the South Korean emotion or sentiment towards the US during the time when the atmosphere of the post-Cold War era was first being observed. South Korean cinema produced during the mid-1980s through the early 1990s witnessed the rise of cinematic narratives and visual factors which may imply an unusual change in the Korean popular recognition of America. These films not only recalled the memory of the Cold War starting from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he Korean War and up to modern history, but also have demonstrated high chances of being interpreted within a changed atmosphere due to the end of the Cold War.
    This paper aims to search for a shared South Korean attitude and sentiment towards the United States, and questions the internal drama corresponding to such sentiment. In order to come up with an answer to my research question, I have largely focused on films with two types of tendencies. If there is one axis of cinema which paints the overall aspectsof the American Dream using the military camp town or the US as a background, other films attempt to reflect on Korean-American relations and the Korean War through the lens of the Vietnam War. Be it the former or the latter,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se films have confronted the existence of America or Americans and attempted to materialize the critical perspectives in this regard, these films are worthy of paying attention. Particular points that I have tried to make in the discussion includes the narrativization of memory regarding the unfortunate growth due to the absence of a family, the representation of ugly Americans, the violent revenge of Koreans towards the Americans, Itaewon as a space of military campsidetown. , Americanized spectacles, and the internalization problem of the American Dream, the self-punishment of Koreans.
    Most of the films express antagonism towards America, however, what becomes more problematic is that the generation which did not experience the Korean War shows duplicity or possibly a split mind in their view of America. The fact that Korean films have started to critically reflect the inner side of the Koreans which contain the antagonism as wellas the envy towards America clearly make films produced in this time period different from simple Anti-American films. This is an action which not only reflects the status of the US in Korea which was both a supporter and an assaulter at the same time, but also reasons Americanism which showed a discrepancy between the ideals and reality.
    Furthermore, such action critically reflects the Korean history which made strong efforts to resemble and pursue the ideals of America as a universal goo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meaningful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brought about the pain of separation and war which were largely hidden by the American fantasy during the prolonged Cold War period. It is also a significant step forward in Korean cinema which began to ques tion the responsibility about such 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