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의 형성과 발전 역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7.12
38P 미리보기
‘공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의 형성과 발전 역사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직신학연구 / 27권 / 308 ~ 345페이지
    · 저자명 : 김은수

    초록

    ‘삼위일체 교리’(the Doctrine of the Trinity)는 기독교의 성경적인 신이해의 정수를 요약하는 것임과 동시에 하나의 전체로서 기독교 신학의 총괄이자 신앙고백의 핵심 기초이다. 특히 고대 동/서방교회의 주요 교부 신학자들에 의한 위대한 신학적 기여들을 통하여 ‘공교회(보편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발전, 그리고 확립이 이루어졌다. 여러 세기 동안의 치열한 신학적 교리논쟁을 거쳐 정통적인 삼위일체 교리는 기독교 공교회 신앙고백의 핵심인 ‘사도신경’(the Apostles’ Creed)과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the Nicea-Constantinople Creed, 325년 & 381년)과 아타나시우스 신경(the Athanasian Creed, 6/7세기)으로 정립되었고, 이후 잇따르는 모든 확장된 신앙고백서들의 기초가 되었다. 특히 고대 동/서방교회에 있어 ‘공교회(보편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발전, 그리고 확립에 있어 위대한 신학적 기여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교부 신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먼저, 동방교회 교부들에는 리용의 이레니우스(Irenaeus of Lynons, ca.130-200), 오리겐(Origen, ca.185-254),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ca.296-373), 그리고 3명의 ‘카파도키안 신학자들’로 불리는 가이사랴의 바실(Basil of Caesarea, ca.330-379),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Gregory of Nazianzus, ca.329-389), 니사의 그레고리(Gregory of Nyssa, ca.335-395)가 있다. 그리고 서방교회 교부들에는 터툴리안(Tertullian, ca.160-225), 그리고 히포의 어거스틴(Augustine of Hippo, 345-430)이 특히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이후 중세교회에 있어 삼위일체론의 이해 및 발전과 관련해서는, 특히 성령 하나님의 ‘이중발출’(the Filioque) 문제와 관련하여 동방교회의 포티우스(Photius, 810-895)와 서방교회의 안셀무스(Anselm of Canterbury, 1033-1109) 사이의 논쟁, 그리고 스콜라 신학의 정점이라고 평가되는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1225-1274) 등의 중요한 신학적 기여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공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발전 역사를 고대 동/서방교회의 정통 교부 신학자들로부터 중세 스콜라신학의 정점인 토마스 아퀴나스에 이르기까지의 역사를 집중적으로 탐구하며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삼위일체론과 관련한 각 시대의 핵심 논쟁점과 이에 대한 주요 신학자들의 특징적인 이해와 독창적인 공헌이 과연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그러한 동/서방교회 교부들의 ‘공교회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이해가 오늘날 한국교회의 왜곡된 삼위일체론 이해를 올바로 교정함에 있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the very essence of Christian biblical understanding of God, the summary of Christian theology as a whole, and the ground-foundation of confession of faith. Especially, ‘the classical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of the catholic church’ had been developed and established by the ancient Eastern/Western Church Fathers. Through the severe theological controversy during several centuries in the ancient Church, the classical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had been established in the Apostles’ Creed, the Nicea-Constantinople Creed(325 & 381), and the Athanasian Creed(6/7 century) as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 confession of faith.
    Especially, in the ancient Eastern/Western Church, the establishing of the classical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had been made by the contributions of the following important Church Fathers. In Eastern Church, there were Irenaeus of Lynons(ca. 130-200), Origen(ca. 185-254), Athanasius(ca. 296-373), and the three Cappadocians, that is, Basil of Caesarea(ca. 330-379), Gregory of Nazianzus(ca. 329-389), Gregory of Nyssa(ca. 335-395). In Western Church, there were Tertullian(ca. 160-225), Augustine of Hippo(345-430), and Thomas Aquinas(1224/1225-1274). In this study, I focused on in special concentration such an important Church Fathers’ understandings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that process of analysis, I examined the kernel controversial point in each era, and the important and creative contributions of the theologians. Finally, I suggested a helpful propositions for a more proper understanding in the church of Korea according to ‘the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of the catholic chu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직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