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시당상(貢市堂上)을 통해서 본 조선후기의 비변사와 이정(釐正) 행정 (Bibyeonsa and Ijeong-Administr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Gongsi-dangsa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04
31P 미리보기
공시당상(貢市堂上)을 통해서 본 조선후기의 비변사와 이정(釐正) 행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71호 / 141 ~ 171페이지
    · 저자명 : 노혜경

    초록

    공시당상은 1752년(영조 28) 공시인에 대한 침탈을 막고 공시인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공시인을 관할하는 선혜청, 호조, 평시서등의 관서가 있었음에도 이들을 묶어서 공시인을 보호하라는 특정 임무를 전담하는 최고 상위 기구라는 점에서 새로운 성격의 당상이었다.
    대동법 이후 전국적으로 장시가 발생하고, 화폐가 통용되면서 국가가 유통을 장악하는 재분배 체제에 위기가 닥쳤다. 18세기 도성에서는 난전문제가 발생했다. 전통적인 공시인의 국역부담이 커졌고, 왕실, 군문, 권세가로부터의 침탈도 심해졌다. 정부는 만성적인 재정적자에 시달렸고, 공물체계 또한 흔들렸다. 공시인을 비롯하여 난전, 사상 집단이 실제로는 권력층과 각층의 관서와 기구들과 복잡하게 관계가 얽혀 있어서 더욱 문제가 복잡했다. 이 시기 조선의 사회변화 상황은 비변사와 같은 상위의 권력기구의 지원이 필요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에서 찾아낸 방법이 비변사당상을 투입하는 것이었다. 공시인에 대한 문제는 공물체계와 상품유통구조 등 조선의 경제, 재정구조 전반에 걸친 복잡한 문제였다. 비변사의 처결과 역할은 조정과 조선정부의 근간에 흐르는 원칙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공시당상의 설치와 활동임무는 조선후기 이정책의 일환이었다. 변화하는 현실에 맞춰 새 법과 제도를 수립하기 보다는 행정기관의 능력을 최대한 동원하여 공시인 문제를 대증요법으로 시행하는 것이었다. 변화의 본질을 인정하지 않고 국가행정력으로 보완하려고 했지만 그 행정력이 제대도 작동되지 않아서, 더 강력한 권력으로 접근한 것이 비변사 당상체제였고, 최종적인 형태가 공시당상이었다.

    영어초록

    Gongsi-dangsang was established in 1752 (Article 28)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encroachment on Gongsi-in and protecting them. Although there were government offices in charge of public officials, such as Seonhyecheong, Hojo and Pyeongsi, it was a new kind of party image in that it was the highest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specific task of protecting public officials by tying them together.
    After Daedong Act enforcement, the market has occurred nationwide, and currency has been used, and a crisis has hit the redistribution system in which the nation controls distribution. In the 18th century, There was problem of Nangeon in the capital city. The national burden of traditional Sigeon-merchant has increased, and the erosion from the royal family, military and power has intensified. The government suffered from a chronic fiscal deficit, and the system of public offerings also faltered. The problems were even more complicated as Gongsi-in, as well as Nangeon and personal merchant were actually intertwined with government offices and organizations from all walks of life. The situation of social change in Joseon at this time needed the support of a higher power organization such as Bibyeonsa.
    In this situation, the method found by the government was to deploy Bibyeonsa-dangsang. The problems of Gongsi-in were complicated issues across the entire economic and financial structure of Joseon, including the public offerings system and the distribution of goods. Bibyeonsa's treatment and role was to maintain the principles that flow within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government.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y of Gongsi-dangsang was part of Igeong-chaek in the late Joseon Dynasty. Rather than establishing new laws and systems in line with changing realities, the government was to implement the issue of Gongsi-in, by using the capacity of the administrative body as much as possible. It was the Bibyeonsa-dangsang system that tried to supplement the nature of the change with the national administration, but the administrative power did not work, so it was the Bibyeonsa-dangsang system that approached it with more powerful power, and the final form was Gongsi-dangs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