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발과 그 공부에 관한 정조와 정약용의 문답 연구- 호락논쟁과 관련하여 - (King Jeongjo’s Inquiry and Jeong Yakyong’s Response on the Not-Yet Aroused State in Mind and the Self - Cultivation-With Reference to Horak Debate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3.06
24P 미리보기
미발과 그 공부에 관한 정조와 정약용의 문답 연구- 호락논쟁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41권 / 41호 / 97 ~ 120페이지
    · 저자명 : 이종우

    초록

    正朝는 朱熹가 聖人과 衆人의 未發이 같다고 말하기도 하고 다르다고 말하기도 한 것에 대하여 일관적이지 않은 모순이라고 여겨 정약용에게 질의했다. 이것은 호락논쟁의 쟁점이었는데 성인의 미발은 항상 中이지만 중인의 미발은 不中이면서도 중일 때도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성인과 중인의 미발은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다는 것이다. 정조의 질의에 대하여 정약용은 미발은 중인에게 없고, 성인에게만 있다고 답변하였다. 또한 주희는 미발을 復卦라고 말하기도 하고, 坤卦라고 말하기도 했는데 이에 대해서도 정조는 주희의 말이 일관적이지 않은 모순이라고 생각하여 어떤 것이 주희의 定論인지 丁若鏞에게 질의했다. 이것도 湖洛논쟁의 쟁점이었다 정조의 질의에 대하여 정약용은 곤괘라고 답변하였고, 그것은 洛學 李顯益의 주장과 비슷하였다. 하지만 정약용은 복괘와 곤괘를 미발의 중으로 설명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여겼는데 왜냐하면 괘는 『周易』, 중과 和는 『中庸』에 나오는 용어로서 반드시 서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이 李顯益과 달랐고, 주희 뿐만 아니라 정조에 대해서도 비판했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또한 주희는 미발시 공부에 대해서도 필요하다고 말하기도 하고, 가능하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는데 이에 대하여 정조는 어떤 것이 정론인지 정약용에게 질의했다. 이것도 호락논쟁의 쟁점이었는데 이현익은 미발이란 최상의 경지이기 때문에 그 공부가 가능하지 않고 靜의 상태에서 필요한 공부라고 주장한 반면에 朴弼周는 미발시 공부는 필요하다고 주장하였고, 당시 낙학의 종장 金昌翕은 박필주를 지지하면서 이현익을 비판하였다. 이에 대하여 湖學의 한원진은 김창흡을 지지하면서 이현익을 비판하였고, 그것이 주목할 만하다. 정조의 질의에 대하여 정약용은 미발시 공부는 필요하다고 주장하였고 그 공부를 愼獨이라고 말했다. 그것은 주희 뿐만 아니라 호락과 다른 맥락에서 미발시 공부가 필요함을 주장한 것이다. 왜냐하면 주희는 신독을 已發공부로서 여겼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조의 질의와 정약용의 응답에서 전자는 호락논쟁과 주자학에 의심을 통하여 엄밀한 학문을 하였고, 후자는 그들을 넘어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King Jeongjo regarded Zhu Xi’s mentions, the Not-Yet Aroused State in Mind of sage and ordinary person is the same or not, as contradiction. This was a controversial issue in Horak debate. That of sage always is equilibrium, whereas ordinary person equilibrium or non-equilibrium, according to Horak scholars. To King Jeongjo’s inquiry, Jeong Yakyong responded only sage has the Not-Yet Aroused State in Mind, whereas the ordinary person not so. Zhu Xi’s the Not-Yet Aroused State in Mind has been described Fuqua (復卦) or Kunqua (坤卦). King Jeongjo also regarded the descriptions of Zhu Xi as contradiction. This also was one of main issues in Horak Debate. At the time, Yi Hyeonik, a Rak scholar, claimed the State is Kunqua, not Fuqua, and the former is a decided theory in Zhu Xi’s latter years. By contrast, Gwon Sangha and Han Wonjin, a Ho scholar, criticized Yi’s claim, arguing it is not Kunqua but Fuqua. To King Jeongjo’s inquiry, Jeong Yakyong responded it is Kunqua, not Fuqua. This is similar to Yi’s claim. However, he argued the State cannot be described the Kunqua or Fuquau, because the terms are the different Confucian classics. This is different from Yi, and implies criticism of Zhu Xi and King Jeongjo. Also, Zhu Xi said the need self-cultivation in the State or not. For that matter, King Jeongjo inquired which to be a decided theory in Zhu Xi’s latter years. He regarded those of Zhu Xi as contradiction. This also was a main issue in the Horak Debate. At the time, Yi Hyeonik’s claim was not to need self-cultivation in the State because the State is the highest stage. By contrast, Park Pilju’s claim was to need self-cultivation in the State. About their debate, Kim Changhueup supported Park’s claim, criticizing Yi’s. Also, Han Wonjin supported Kim’s claim, criticizing Yi’s. In response to the inquiry of King Jeongjo, Jeong Yakyong’s claim is the need of self-cultivation in the State, and this is “watchful over oneself when one is alone”(愼獨 shendu). The need of self-cultivation in the State is similar to Park and Kim’s claim but self-cultivation as the Shendu is different from. This implies crticism of King Jeongjo’s mention and followed Zhu Xi. In the debate of King Jeongjo and Jeong Yakyong, the former sought an accurte study through criticism of Horak debate and Zhu Xi’s Neo-Confucianism, whereas the latter created a new horizon beyond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