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매체와 기생 셀러브리티의 형성 : ‘공적 친밀성’ 개념을 중심으로 (Modern Media and the Formation of Kisaeng Celebrity : Centered on the Concept of ‘Public Intimacy’)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3.12
56P 미리보기
근대 매체와 기생 셀러브리티의 형성 : ‘공적 친밀성’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과 역사 / 39호 / 221 ~ 276페이지
    · 저자명 : 서지영

    초록

    이 연구는 18세기 이후 서구에서 형성된 근대적 셀러브리티 문화가 내포하는 여러 사회적 의제들에 주목하면서 20세기 초 한국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셀러브리티 형상이 구현되는 양상을 탐색한다. 특히 공적 공간에서 주변화되거나 배제되었던 여성들이 셀러브리티 문화 속으로 이입되는 지점에 초점을 두고, 조선시대 예악정치의 일환으로 공적 영역에 전문예인으로 배치되었던 기생들이 20세기 초 극장 무대에서 근대적 형태의 예능인으로 재편되고 1930년대 대중예술의 장에서 셀러브리티 형상으로 재현되는 지점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1910년대 『매일신보』와 1930년대 『삼천리』, 『모던일본 조선판』(1939/1940) 등의 대중잡지를 대상으로 근대 매체가 기생과 대중 독자들 사이에 친밀성을 구축하는 다양한 재현 전략들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사적인 것을 공적으로 전시하고 유통시키는 ‘공적 친밀성’이 셀러브리티 형성의 핵심적 메카니즘으로 작동하였던 정황을 밝힌다. 본 연구는 근대 시기 기생의 존재론적 전환을 탐색하면서 ‘공적 여성들’의 새로운 위치짓기를 드러낼 뿐 아니라 식민지 조선의 특수한 조건 속에서 배태된 셀러브리티 문화를 통해 식민지 공공성에 대한 새로운 질문들을 제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embodiment of celebrity figure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early twentieth-century Korea, with a focus on the social agendas of modern celebrity culture, which originated in West Europe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Paying attention to the moment that women who had been marginalized or excluded in public realms began to enter celebrity culture, this study examines how kisaeng, who were employed in public sectors as music and dance performers in the premodern period, were reorganized as modern forms of performers on theater stage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Korea and located themselves as figures of celebrity in the site of popular arts in the 1930s’ Korea. This article analyzes the diverse representational strategies of modern media, including the daily news Maeil Sinbo in the 1910s, the mass magazine Samcholli in the 1930s, and the Korean edition of Japanese magazine Modern Japan in 1939 and 1940, that facilitated intimacy between Kisaeng and the general public, and through this, it demonstrates ‘public intimacy,’ which refers to the display and circulation of the private in public arenas, as the core mechanism of celebrity formation. This research explores the existential transition of kisaeng and the new positioning of ‘public women’ in early modern Korea and raises new kinds of questions about the colonial public sphere through the examination of celebrity culture germinated in the specific condition of colonial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