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妓生案’을 통해본 조선후기 기생의 公的삶과 신분 변화 (The Official Life and Change of Status of Kisaeng(妓生) in the late Chosun Dynasty: Mainly on 'Kisaeng-ahn(妓生案)')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0.09
33P 미리보기
‘妓生案’을 통해본 조선후기 기생의 公的삶과 신분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71호 / 227 ~ 259페이지
    · 저자명 : 박영민

    초록

    본고는 하급 官屬으로서의 기생의 公的삶을 이해하기 위해 ‘妓生案’을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의 관아에서는 소속 노비를 관리․감독하기 위해 관노비 명단 즉 ‘官奴婢案’을 작성하였다. 기생 역시 관노비이므로 ‘관노비안’에 그 이름이 등재되었다. 본고에서는 ‘관노비안’ 중에서 기생 부분을 따로 분리하여 작성한 자료를 ‘기생안’으로 명명하고,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기생안은 거의 대부분 18~19세기에 작성된 조선후기의 것으로 확인되거나 추정된다. 그리고 20세기 초의 자료도 몇 종 남아 있다. 조선후기의 기생안은 모두 지방 관아에서 작성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기생안의 내용과 그 작성방식을 면밀하게 고찰하여 조선후기의 기생의 공적 삶과 조선시대 지방 관아의 기생 관리 실태를 추적하였다. 먼저, 기생안에기록된 동기의 ‘加冠’을 주목하였다. 기생안에 동기의 가관이 기록되었다는 것은 지방 관아가 동기의 가관을 관리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지방 관아가 동기의 가관에입한 것은 女兒의 性을 관리하려는 의식이 깔려 있었다. 다음, 기생안에 기록된 ‘기생의 나이’를 주목하여, 교방의 인적 구성과 기생의 老除시기를 밝혔다. 기생의 노제는 공식적으로 50세에 이루어졌으나 40대에도 가능한 일이었다. 다음, 기생안에서 ‘免賤’을 주목하고, 조선시대의 기생이 자기 신분을 벗어나 면천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었음을 밝혔다. 다음, 1903년부터 1905년에도 기생안이 작성되었음을주목하고, 관기제도 해체기에도 지방 관아의 관기 관리가 지속되고 있었음을 밝혔다.
    ‘기생안’은 하급 관속으로서의 기생의 공적 삶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또한 관아에서 소속 기생들을 어떻게 관리하고 감독하였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기본 자료가 된다. 그런데 아직까지 ‘기생안’을 통한 기생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looked into 'Kisaeng-ahn' to understand official life of Kisaeng as a petty official. Government offices in Chosun Dynasty made lists of office male and female servants namely 'office servants document' to manage and supervise male and female servants belonging to them. Since Kisaengs were also office female servants, their names were registered in 'Gwannobi-ahn'. In this article, we named material separated Kisaeng part from 'office servants document' 'Kisaeng-ahn' and made it the object of study. Almost all 'Kisaeng-ahn' which remain till now are confirmed or assumed to be the ones which was made in 18th to19th centuri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re are some of 20th century materials remain.
    'Kisaeng-ahn' in the late Chosun Dynasty were all made in local government office. In this article the contents and the method of making of 'Kisaeng-ahn'were closely contemplated and official life of Kisae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real condition of managing Kisaeng in local government offices of Chosun era were traced. First of all, we took notice of 'coming-of-age ceremony' of child Kisaeng recorded in 'Kisaeng-ahn'. The fact that coming-of-age ceremony of child Kisaeng was recorded in 'Kisaeng-ahn' meant that local governments managed coming-of-age ceremony of child Kisaeng. That local governments intervened in coming-of-age ceremony of child Kisaeng meant there was consciousness to manage sex of the girls. Next, we analyzed 'the age of Kisaeng' recorded in 'Kisaeng-ahn' and found the human composition of Kyobang(敎坊) and retirement age of Kisaeng.
    Kisaeng officially retired at the age of 50 but it was also possible in 40's.
    Thirdly, we focused on 'transition to commoner from the humble status[免賤]' in 'Kisaeng-ahn' and discovered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a Kisaeng in Chosun era to become a commoner from the humble status. Finally, we noticed that from the year 1903 to 1905 'Kisaeng-ahn' was made, and found that even in the period when official Kisaeng system was abolished, official Kisaeng management in local governments was continued.
    'Kisaeng-ahn' is the most basic material from which we can understand official life of Kisaeng as a petty official. It is also a fundamental material by which we can look into how government offices managed and supervised Kisaeng belonging to them. However, study on Kisaeng through 'Kisaengahn'has not been achieved y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