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에 나타난 공적 서사로서의 신문 기사 (The Newspaper Articles as Public Narrative in Kim Won-il’s The House with the Deep Yard)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3.09
24P 미리보기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에 나타난 공적 서사로서의 신문 기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89호 / 183 ~ 206페이지
    · 저자명 : 박경진

    초록

    본고는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1988)에서 신문 기사가 사회에 널리 유포되면서 대중이 공동으로 읽고 그것에 대한 해석까지 공유하는 ‘공적 서사(public narrative)’로 재현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소설 속에서 신문 기사가 서사로서 구성되는 방식과 그것이 인물들에게 수용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인물들이 공동으로 읽는 신문 기사에서는 주로 빈곤이나 범죄가 다루어진다. 독자인 인물들은 신문 기사를 통해 익명의 희생자로만 형상화된 타인과 최소한의 정보를 가지고 단편적으로 서술된 사건을 접한다. 이러한 서사는 대중이 타인의 고통에 대해 상상할 여지를 주지 않는다. 전후의 빈곤을 온몸으로 겪은 인물들은 기사를 통해 세상에 대한 공통된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때 그들은 타인의 고통에 무감각하거나 동정 대신에 단순한 호기심을 느낀다.
    인물들은 탐정소설의 플롯을 취하면서 범죄 사건을 보도하는 기사를 읽는 과정에서 자신을 탐정/서술자와 동일시하고, ‘범인’을 추적하여 처벌하려는 논리에 동조한다. 문제는 그 대상이 ‘간첩’이나 ‘빨갱이’로 간주되는 이들인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문 기사를 집단적으로 수용하는 대중은 반공 이데올로기를 체현하여 ‘불온 분자’로 낙인찍힌 개인에게 적대감을 품는다.
    『마당깊은 집』에서 공적 서사로 재현된 신문 기사는 1950년대 피난지에서 살아간 사람들이 겪은 집단적 체험과 지배적인 감정을 보여준다. 신문 기사는 그 시대를 관통하는 집단적 감정(collective emotion)을 형상화하는 수사적 전략이다. 길남의 인생에 대한 이야기는 신문 기사를 통해 한 인물의 ‘개인사’와 1950년대 피난지의 ‘민족사’를 결합하는 이야기로 확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newspaper articles which are widely circulated in the society represented as ‘public narrative’ read and interpreted collectively by the public in Kim Won-il’s The House with the Deep Yard(1988). This study analyzes how the newspaper articles as public narrative are composed in the novel and received by the characters.
    The newspaper articles read by the characters collectively usually inform about poverty or crime. In the newspaper articles, someone is portrayed only as an anonymous victim, and events are described in fragments with minimal information. These narratives leave little room for the public to imagine the suffering of others. While the characters who have experienced postwar poverty acquire common information about the world through the newspaper articles, they are either numb to the suffering of others or simply curious instead of sympathetic.
    The characters who read the newspaper articles which are composed by the plot of detective novels and report on crimes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detective/narrator and follow the logic of tracking down and punishing ‘the criminal’. The problem is that the targets are sometimes people who are considered “spies” or “the red”. The public who accept these newspaper articles collectively embody anti-communist ideology and have hostility toward the individuals who are labeled as ‘the seditious’.
    In The House with the Deep Yard, the newspaper articles represented as public narrative reveal the collective experiences and dominant emotion of people who have lived in the postwar refuge in the 1950s. The newspaper articles are a rhetorical strategy for shaping the collective emotion that runs through the era. In this way, the story of Gilnam’s life is expanded through the newspaper articles into a narrative that combines the ‘personal history’ of one individual with the ‘national history’ of the refuge in the 195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