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피아노>의 페미니즘 표출방식 연구 -남성 주인공들의 대립을 중심으로- (A study on feminism represented in -Focused on the conflict of male hero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5.12
28P 미리보기
영화 &lt;피아노&gt;의 페미니즘 표출방식 연구 -남성 주인공들의 대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79권 / 4호 / 547 ~ 574페이지
    · 저자명 : 김태형

    초록

    본 논문은 1993년 뉴질랜드 출신 여성감독, 제인 캠피온이 연출한 영화 <피아노>에 나타난 페미니즘 표출방식을 두 남성주인공인 스튜어트와 베인즈의 대립과정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영화에서 감독은 여성을 묘사하는 과정에서 그 동안 전 세계 영화산업의 트렌드를 좌지우지하던 할리우드식 관점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노력했다. 그녀는 여성의 정체성을 가부장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고 감성적이고 여성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피아노>를 연출했다. 그로 인해 이 작품은 아름다운 음악과 이국적인 영상미로 관객들의 호응을 얻어 상업적인 성공뿐만 아니라 여성의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고찰을 시도한 작품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1993년 칸느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Palme d'or을 수상하는 영광을 차지하기도 했다.
    이 작품은 전형적인 가부장적 사회관이 만연하던 영국의 빅토리아 왕조시대의 식민지 중 한 곳인 뉴질랜드를 배경으로 한다. 연출자는 사회적 억압과 체제에 굴복하지 않고 자신의 정체성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는 주인공 에이다의 여성으로서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남자주인공들의 대립되는 모습을 통해 가부장제 사회를 비판하고 기존의 할리우드영화에서 그려왔던 남성적 관점의 여성이 아닌 여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새로운 페미니즘을 담아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expression method of feminism through the conflict course between Stewart and Baines in <The Piano>, directed by the female director of New Zealand, Jane Campion in 1993.
    In this film, the director wanted to exclude the Hollywood perspective that dominated the trend of worldwide film industry in the process of depicting women. She did not describe the identity of the woman in the patriarchal gaze. Instead, she was directing <The Piano> based on the feminine gaze in emotional perspective and the third world perspective. For this reason, this film achieved commercial success not only in getting a great response of the audience by beautiful music and exotic visual beauty, but also in taking women's identity into consideration. It also accounted for the glory that won the Palme d'Or in Cannes Film Festival in 1993.
    The background of this film is New Zealand. It was one of the British colonies in Victorian era and the typical patriarchal society. Jane Campion did not succumb to the social oppression and the regime, but focused on the growth as a female hero Aida who has striven to regain her identity and criticized the patriarchal society through the conflict of male heroes. Finally she described in this film a new feminist perspective rather than that of masculine-focused Hollyw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