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중국‧인도네시아인 일본어 학습자의 청자언어행동 역할과 메커니즘 -「되묻기형 공화」와 「질문」발화를 중심으로 - (The Role and Mechanism of Listener Language Behavior of Korean, Chinese and Indonesian Japanese Learners -Focusing on the 「Counter-questioning」 and 「Questions」Speech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2.02
26P 미리보기
한국‧중국‧인도네시아인 일본어 학습자의 청자언어행동 역할과 메커니즘 -「되묻기형 공화」와 「질문」발화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120권 / 169 ~ 194페이지
    · 저자명 : 이순형

    초록

    本稿では、従来の韓‧日、中‧日接触場面の研究結果を踏まえて、新たにインドネ シア人日本語学習者と日本語母語話者の接触場面における自然談話データを採集し た。特に「問い返し型共話」と「質問」発話を中心に聞き手言語行動の役割とメカ ニズムを分析、考察した。新たに究明できた研究結果は次の通りである。 1.インドネシア人日本語学習者の場合も限定された会話例ではあるが、日本人 のアイデンティティや文化とも呼ばれる共話のうち「問い返し型共話」の運 用ができることが確認できた。その際、「問い返し型共話」は、相互協調的 な人間関係を構築するためのひとつの手段となり、談話展開を促す役割を果 たすことが分かった。 2.インドネシア人日本語学習者は「質問」発話の際、「疑問詞質問形」や相手の 発話の一部を繰り返し質問する「繰り返し質問形」を用い、話題提供、話題 展開を促していた。また、場合によっては「質問」発話が、相手の見解を引 き出す役割を果たすことも確認できた。 3.インドネシア人日本語学習者と母語話者は共通して、「相手の話を補完・拡 張する質問」発話が最多で、主に話題展開を促す場合が多かった。 4.韓国、中国、インドネシア人日本語学習者は、日本語母語話者の「遮られ中 止」や「言いさし」を引き取り、まず、同感、同調のあいづちを打ってから 「問い返し型共話」を運用する場合が多く、その際は補足・補完の役割を主 に果たすというメカニズムが確認できた。 5.日本とは異なる文化的背景をもつ韓国、中国、インドネシア人日本語学習者 が「問い返し型共話」や「質問」発話を通し、聞き手の立場から話し手の立 場に交替するきっかけを作ることが分かった。 以上の研究結果から日本語学習者が今後、日本語を用いる国際社会で運用不足や 困難が予想される「問い返し型共話」を支え合う形で、「相手の話を補完・拡張す る質問」を代用し、積極的な会話参加、談話展開が可能になることと期待される。

    영어초록

    The role and mechanism of listener language behavior focusing on the 「 Counter-questioning」 and 「Questions」 speech was analyzed and considered in this study by analyzing natural discourse of contact scenes of Indonesian Japanese learners in contras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The newly defined result is as follows.
    1. It has been confirmed that 「Counter-questioning」 is also available for Indonesian Japanese learners among the questioning which is also called as Japanese identity or culture though it is a limited case of convers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became a means to build a mutually cooperative human relationship and played a role in promoting discourse development.
    2. Indonesian Japanese learners promote the topic and develop the topic using 「Interrogative question type」 or 「Repeatable question type」 which repeatedly asks the question about the part of other person’s speech「Questions」, and it can be seen in the other party’s view in some cases. 3. It was found that Indonesian Japanese learners and native Japanese speakers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topic by using the question of 「supplementing and expanding the other person’s story」. 4. It was able to confirm the mechanism that Korean, Chinese and Indonesian Japanese learners often operate 「Counter-questioning」 after taking over 「Interruption」 or 「Unfinished sentences」 of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at this moment, they play the role of replenishment and suppl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