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순절 운동의 역사적 재평가와 신학의 공적 책임성 (Historical revaluation of Pentecostal Movement and Public Responsibility of Theology)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7.03
47P 미리보기
오순절 운동의 역사적 재평가와 신학의 공적 책임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산신학저널 / 39권 / 133 ~ 179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환

    초록

    본 논문은 21세기 오순절 성령운동과 현대 오순절 신학이 지향해야 할 시대적사명이 무엇이며, 이에 대한 신학적 연구 주제가 어디에 있는지를 고민하며 풀어보기 위한 하나의 예비적 연구다. 현재 장기적인 교회 침체 시기에 있어서 이러한 학문적 과제는 먼저 신앙운동의 역사적 맥락을 재해석함으로써 민족의 집단적 고난 가운데 펼쳐진 역동적 성령 체험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에서부터 그 연구의 타당성을 찾고자 한다. 초기 성령운동은 민족의 고난과 역경 가운데 신앙적으로 동참했고, 집단적 수난의 위기 속에서도 핍박과 순교를 두려워하지 않은 공동체적 신앙 체험이었다. 이에 관한 국내 교회사 연구자들의 학문적 평가는 안타깝게도 신학적으로 보수적 진영과 진보적 진영 사이에서 논쟁된 역사 인식의 간극만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양측의 상반된 성령운동의 역사 평가에 대한 논쟁을 소개하고 이에 관한 비판적 역사 평가 입장이 어떠한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그 학문적 결과의 한계가 무엇인지를 칸트와 딜타이, 그리고 가다머의 철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시민 사회와 국가, 더 나아가 인류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종교적 공공성의 의미를 공적 책임성이라는 주제 아래 논의할 연구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오순절 교회의 신앙과 신학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방향, 곧 사회적이고 윤리적인 책임의식을 중심으로 실천적인 신앙운동의 이론적 모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한 이론적 근거의 조건으로 서구 유럽 신학, 특별히 종교개혁 신학과 19세기 개신교 신학의 역사를 추적하여 그로부터 형성된 두 가지 학문적 방법론인 연역적이고 귀납적인 이론의 규범을 현대 오순절 신학의 발전적 원리 규범으로 수용하고자 한다. 사회적 공공성과 시민 사회의 공동선을 위해 노력해야 할 신학의 과제는 공적 책임성을 기초로 한 사회적 교회론을 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회퍼의 사회학적 교회 이론의 분석을 통해 이에 대한 연구 대안을 제시할 것이며 아래로부터의 평등한 신앙 체험의 운동, 즉 평신도 공동체 신학의 가능성도 함께 논의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preliminary research project to understand what the theological mission of the Pentecostal movement in the 21st century and modern Pentecostal theology should aim at and where the theological research theme is located. In the current period of long-term church stagnation, this academic task first seeks the validity of the study, from the re-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faith movement to newly illuminating the history of the dynamic spiritual experience in the collective suffering of the nation. The origin of this research theme is that the Holy Spirit movement in Korean Christianity was not a history of subjective faith developed in the religious and individual realm. Re-evaluation of the history of the Holy Spirit movement is not merely reaffirming the faith movement that occurred in the past history, but it has a creative research purpose to find out what the future movement of the Holy Spirit and the Pentecostal theology should go through.
    In this sense, this study suggests a theoretical model of practical faith movement centered on the direction of faith and theology of Pentecostal church ultimately, soci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The task of the theology that should strive for the social publicness and the common good of the civil society is the need to establish social ecclesiology based on public responsibility. In this study, I will present a research alternative through the analysis of Bonhoeffer’s sociological theories of churches and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exercise of equal experience of faith from below, that is, the possibility of laity community th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산신학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