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동의 기억과 공립석탄박물관의 공적 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bor Memory and Public Representation of the Public Coal Museum)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3.06
33P 미리보기
노동의 기억과 공립석탄박물관의 공적 재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45호 / 205 ~ 237페이지
    · 저자명 : 정윤수

    초록

    이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공립석탄박물관’을 현장 연구하여 노동의 기억에 대한 공적 재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미지의 사회학적 분석이라는 방법으로 ‘낭만화’와 ‘대상화’라는 개념을 활용하였고 사례분석의 관점에서 각 박물관의 시설과 체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공립석탄박물관은 한국 사회가 공적으로 과거 산업화 시대의 기억을 어떻게 해석하고 재현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공간이다. 박물관은 특정 주제에 따라 제반의 물리적 요소와 전시 및 재현물을 통해 수집, 전시, 교육을 하는 공공성을 지닌다. 더욱이 ‘공립’이라고 하면 공공 재원 투입을 통한 공공 가치의 실현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사회적 약속에 따라 관람객은 공립박물관의 전시와 재현에 대해 높은 수준의 기대와 신뢰를 갖는다. 연구 결과 세 군데 박물관의 ‘석탄’ 산업 및 그와 관련된 기억과 재현은 주로 ‘지역관광’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다양하고 복잡한 기억들이 ‘낭만화 된 가난’과 ‘대상화 된 노동’으로 재현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지역관광 활성화’ 자원으로 축소되었다. 이 연구는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세 군데 공립석탄박물관은 기본적인 물리적 공간과 최소한의 필수 인력 그리고 설립 이후 20여 년 동안의 다양한 경험과 약간의 시행착오 등 중요한 경험 자산을 갖고 있다. 그러나 해당 지역의 삶의 기억 특히 노동의 기억과 연관하여 충분한 자료 확보와 당대적 의미를 충실히 살린 문화적 재현을 해내고 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무엇보다 관광 활성화 차원에서 전시와 재현이 집중되어 해당 지역의 역사와 노동의 기억이 희석되는 경우도 있으며 그 문화적 재현물이 해당 지역의 일상과 노동을 낭만화하고 대상화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탄광지역의 석탄산업과 그 노동 및 일상의 기억들을 좀 더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관점에서 해석한다면 세 군데 공립석탄박물관은 해당 지역의 역사와 노동의 기억을 온전히 담아내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기능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personally visited the representative ‘public coal museum’ in Korea and analyzed the public representation of labor memory. The concepts of ‘romanticization’ and ‘objectification’ were used as a method of sociological analysis of images, and each museum’s facilities and experience programs were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ase analysis.
    The ‘public coal museum’ is a meaningful space where we can judge how Korean society publicly interprets and reproduces the memories of the past industrialization era. Museums have publicity in charge of collection, exhibition, and education of a specific theme through all physical elements, exhibitions, and reproductions. Moreover, when it comes to ‘public’, its purpose is to realize public values through the input of public funds. According to this social promise, visitors have a high level of expectations and trust in public museum exhibitions and representa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al’ industry in the three museums and related memories and representations were mainly used as materials for ‘regional tourism’. Various and complex memories of the industrialization era were represented as ‘romanticized poverty’ and ‘objectified labor’, and as a result, they were reduced to a resource for ‘vitalization of local tourism’.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this and sough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he three public coal museums have important experience assets, such as basic physical space, minimum required manpower, various experiences over the past 20 years since their establishment, and some trial and error. However, it is difficult to judge that it has secured enough data and faithfully reproduced the culture in relation to the memory of life in the region, especially the memory of labor. Above all, in the process of concentrating exhibitions and representations for tourism activa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memory of the history and labor of the region is diluted, and the cultural reproductions tend to romanticize and objectify the daily life and labor of the region. In the future, if the coal industry in the coal mining area and its labor and daily memories are interpreted from a more complex and multi-layered perspective, the three public coal museums will function as meaningful spaces that fully contain the history and labor memories of the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