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己亥禮訟을 통해 본 조선 성리학의 공사론 (Theory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of Neo-Confucianism in Korea: focusing on GihaeYeso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12
36P 미리보기
己亥禮訟을 통해 본 조선 성리학의 공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81호 / 249 ~ 284페이지
    · 저자명 : 김우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성리학자들 중 서인과 남인 사이에서 일어났던 예송논쟁을 통해, 그들이 정당화하고자 했던 주장의 근거를 확인하고 그것이 담고 있는 철학적 원리가 무엇인지 분석함으로써 조선 성리학의 공사관(公私觀)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기해예송 논쟁에서 나타나는 임금과 국가에 대한 윤휴의 입장이 송시열의 입장과 어떻게 다른지, 그 연원을 분석한다.
    유학의 공사관은 가(家)와 국(國)이라는 영역의 차이로 결정되기보다는 도덕적 태도로 결정된다. 정치영역이라고 해서 공적인 것인 것이 아니고 가정이나 개인적인 영역이라고 해서 사적인 것이 아니다. 개인이 가(家)에서든 국(國)에서든 간에 공적 태도를 취하면 그 사태는 공적인 것이 되고 사욕에 따른 태도를 취하면 사적인 것이 된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혈연관계에 따른 행위를 한다고 해서 사적인 것이 되는 것이 아니다. 혈연관계에서 천리(天理)에 따르는 태도로 행위를 하면 공적인 것이 되고 혈연관계에서 사욕을 위해 행위를 하면 사적인 것이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국(國)의 임금이 천리(天理)에 따르지 않고 사욕을 위해 행위를 하면 사적인 행위를 하게 되는 것이다.
    기해예송에서 송시열이 가례(家禮)의 논리로 예법을 적용하려고 한다고 해서 사적인 논리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고, 윤휴가 고례(古禮)의 논리로, 즉 제후와 천자의 예법을 별도로 적용하려고 한다고 해서 공적인 것이 되는 것이 아니다. 송시열과 윤휴의 예송논쟁은 유학에 본래 내재하고 있는 두 가지 측면 중 어느 것을 중시하느냐에 따라 발생한 것이다. 유학의 핵심 사상은 인(仁) 사상이고 인(仁)의 실천적 덕이 효(孝)이다. 유학은 인(仁)이 우주의 보편적 원리로서 천리(天理)와 일치된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퇴계철학을 계승한 윤휴는 천명(天命)을 받은 임금의 특수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임금에 대한 예법을 사대부와 다른 논리를 적용하려고 했고, 송시열은 인(仁)의 혈연적 예법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가례를 적용하려고 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spectives of public-private Neo-Confucian scholars in Joseon dynasty by confirming the basis of the arguments they wanted to justify through the Yesong-debate that took place between Seoin(西人) and Namin(南人), and analyzing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contained therein. In particular, it analyzes how Yun-Hyu's position on wages and the state appearing in the debate on GihaeYesong differs from that of Song Si-yeol, as well as the different origins.
    Perspectives of public-private of Confucianism is not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of domain between the family(家) and the country(國) but determined by the moral attitude. The political domain is not public, and the home or personal domain is not private. Regardless of whether an individual is in the family(家) or country(國), it becomes public when he or she adopts a public attitude, and when an individual adopts an attitude that follows self-interest, it becomes private. In this context, just because you act according to blood ties does not make you private. In a blood relationship, if you act in an attitude that follows natural raw, it becomes public, and if you act for self-interest in a blood relationship, it becomes private. Likewise, if the king of the country(國) does not obey natural law and acts for self-interest, then it is a private act.
    In GihaeYesong, Song Si-yeol tried to apply the courtesy with the logic of the family centering on ‘confucian ritualism of the family(朱子家禮)’, not as a private logic, but Yunhyu tried to apply the national logic of ‘old manners(古禮)’, that is, just because he try to apply manners of feudal lords or an emperor separately, it does not make it public. Song Si-yeol and Yun-hyu's dispute on courtesy came about depending on which of the two aspects inherent in Confucianism was emphasized. The core idea of Confucianism is the idea of benevolence(仁), and the practical virtue of benevolence is filial piety(孝). Confucianism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benevolence are consistent with natural law as a universal principle of the universe. Yun Hyu, who inherited the Toegye philosophy, tried to apply a different logic to the courtesy of wages unlike gentry(士大夫) by relatively emphasizing the peculiarity of wages that received doctrine of heaven(天命). Song Si-yeol tried to apply the rite by relatively emphasizing the blood-related manners of huma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