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라톤의 덕(a)reth/)론과 용수의 공의 윤리학 (Plato's discourse on virtues and Nāgārjuna's ethics from perspective of emptines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1.12
37P 미리보기
플라톤의 덕(a)reth/)론과 용수의 공의 윤리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8호 / 3 ~ 39페이지
    · 저자명 : 조해정

    초록

    윤리학에서 지(知)와 행(行)의 관계를 어떻게 보는가는 중요한 문제다. 윤리학의 지식은 ‘삶의 방식’에 관련되기 때문이다. 플라톤과 용수의 윤리학은 지와 행이 일치되는 ‘지행합일’의 입장에서 전개된다. 이로부터 두 사람의 윤리학에 대하여 상호문화철학적 읽기를 시도하였다.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의 저작에서 지행합일의 이상적 모델로 등장한다. 그는 ‘세상에서 가장 현명한 자’라는 신탁을 받을 정도로 ‘지혜로운 자’이지만, 스스로는 ‘무지자’를 자처하면서 아테네 시민들의 무지를 일깨우는 것을 ‘소명’으로 삼는다. 여기서 ‘지식’은 삶의 방식에 관한 지식, 즉 덕(a)reth/)에 관한 지식이다. 플라톤 윤리학에서 덕 그 자체의 지식에 도달한 사람의 영혼은 온갖 욕망과 무지로부터 완전히 정화되어 순수한 선의 상태, 즉 덕 그 자체와 일치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영혼의 상태에 도달한 사람이 ‘지혜로운 자’이며, 철학자란 바로 이러한 지혜를 추구하는 사람이다.
    다른 한편 번뇌에서 벗어나 지혜의 성취를 목표로 하는 불교 윤리의 이상은 마음의 내적 상태의 전환에 의거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지행합일을 넘어 인식과 존재의 일치의 관점에 입각해 있다. 용수는 이러한 기본 입장을 계승한 위에서 공(空의) 관점에 의해서 재해석한다. 용수 윤리학에서 모든 번뇌와 무지는 희론(戱論)으로 되고, 희론은 ‘공성(空性)’에 의해서 적멸(寂滅)되므로, 그에게 최고의 지식이란 공성의 성취에 다름 아니다. 희론이 적멸된 공성의 상태는 ‘나와 나의 것’이라는 모든 분별과 욕망이 사라진 비움의 상태다. 희론이라는 분별이 사라지면 너와 나라는 경계를 초월하므로 용수는 ‘세속과 열반이 하나’라고 하였다. 이로부터 내적 전환을 이루기 위한 지혜의 추구와 사회적 실천이 원리적으로 통일된다.
    상호문화철학적 읽기에서 지행합일의 윤리적 목표는 두 사람의 상호문화적 겹침의 첫 번째 장소가 된다. 그리고 지혜가 욕망과 이기심으로부터 자유로운 영혼의 순수한 정화 상태이자 선을 실천할 수 있는 내적 능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도 겹친다. 또한 지혜에 장애가 되는 용수의 희론이 몸으로부터 기인하는 온갖 욕망과 착각, 무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플라톤의 욕망과 속견, 무지의 상태와 상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호문화적 읽기는 진행될수록 각각의 내면을 풍부하게 하면서 겹침 또한 더욱 중첩되는 것을, 그래서 전통은 있으되, 소통되는 경계의 지점도 다양화하는 것을 지향한다. 중요한 것은 각각의 내부를 풍부하게 하면서도 겹침 또한 더욱 중첩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에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t is very important theme in the realm of ethics how we see th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deed because the knowledge of ethical issues focuses 'how to live'. Plato and Nāgārjuna have a common ground in that there is no division between knowledge and deed on ethical issues. In this paper, I will try to read their ethics from intercultural-philosophical perspective.
    Socrates is an ideal model whose action is coincided with knowledge in PLato's works. He claimed that he was an ignorant man, although he was acknowledged by a by a priestess of temple as the most wise man in Athens and he strongly believed his mission was to let Athenians to recognize their own ignorance. The knowledge is 'how to live' or the knowing of virtue(a)reth/) itself. The state of a soul, freed from desires and ignorances, purified and reached to the virtue itself, is coincided with virtue itself. These men and women are 'the wise', and also philosophers are those who pursuit the very wisdom. While the ideal of buddhist ethics, is to be freed from desires and passions and aims at realizing wisdom, it is based on revolutionizing inner state of the mind. For this reason, buddhist ethics is beyond the coincidence with knowledge and deed, and extends itself to the perspective of unified recognition and being. Nāgārjuna reinterpretates the view of buddhist ethics with emptiness(śūnya). All of the passions and ignorances are the images of the language(戱論, prapañca) and they are destructed by emptiness in Nāgārjuna's ethics. According to him, the best knowledge is nothing but an achievement of the emptiness. It is not only a void state to extinguish all of languages, but also an absent state which absolutely extinguishes discrimination of me and mine from objects and passions. Nāgārjuna says that the mundane world and nirvana are one because if there is no discrimination of language, there is no discrimination of me or myself and others. Therefore, according to him, it is united by principle which achieves inner revolu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knowledge and social practice.
    According to my intercultural-philosophical reading, the first place of overlapping is the ethical aim which is coincided with the knowledge and deed. And there is an overlapping point as well in that wisdom or the best knowledge is a purified soul free from all of desires and selfishness as well as an inner ability to do goodness. Futhermore Nāgārjuna's view of language(prapañca), an obstacle to wisdom, overlaps with Plato's desires, opinions(do/ca) and ignorance-oriented body, because his view includes all of desires and illusions and ignorances, too. So the more intercultural-philosophical reading proceeds, the more their contents and enrich each other. Therefore I hope that the particular traditions will be kept while the overlapping places are enriched. What is an important point here is to search for the method to enrich inner contents as well as overlapping poi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