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칠성본풀이』 여성주인공의 심리구조과 그 의미 (The psychology structure of the heroine in and its meani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3.10
26P 미리보기
『칠성본풀이』 여성주인공의 심리구조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언어문학 / 28호 / 103 ~ 128페이지
    · 저자명 : 권복순

    초록

    『칠성본풀이』는 제주도 일반신본풀이 가운데 예외적으로 변신담에 해당한다. 이 연구는 인물의 변신에 초점을 맞추어 그 상징성을 분석 심리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서사 기능상 주인공은 칠성이라기보다는, 전체 서사를 이끌어가면서 탄생과 성장, 그리고 시련과 시련극복과정을 거쳐 마침내 신직에 좌정하는 칠성 어머니가 주인공이다. 이 때 주인공은 욕망의 주체자이면서도 발신자의 기능을 분속한다는 점에서 발신자와 주체자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는 다른 일반신본풀이의 주인공들과 뚜렷한 차별성을 보여준다. 여성주인공은 세 단계 정체성의 변화과정을 겪는다. 첫 번째는 부모에 예속된 딸의 신분으로 존재하는 아기씨이다. 이 때의 부모는 아기씨에게 있어서 감금과 추방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가해자에 해당하지만, 가출의 동기화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조력자에 해당된다. 두 번째는 뱀어미로서 존재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주인공의 변신에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끼친 인물은 중이다. 주인공은 중과의 직접적인 결연으로 인격에서 수격으로의 변신이 이루어진다. 이 때 주인공을 대하는 주변 인물들의 반응은 긍정형과 부정형으로 나눌 수 있다. 긍정과 부정의 상반된 인물들의 태도는 일반적으로 무의식을 마주할 때 반응하는 사람들의 태도와 관련지을 수 있다. 세 번째는 인격과 수격을 거쳐 마침내 부와 풍요를 가져다주는 풍요신으로서 정착하는 시기이다. 주인공이 부모 슬하에서 보낸 일곱 살 때까지의 시기는 페르조나에 억압받는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아기씨는 양반가의 딸로서 부모의 지배하에 강요된 삶을 살아간다. 부모가 아기씨를 감금한 것도, 아기씨와 마찬가지로 부모의 페르조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아기씨는 부모의 곁을 떠나 가출을 함으로써 가장인 부모의 체면을 손상시키고 그 죄로 추방당한다. 부모에게 추방당한 아기씨는 평면적인 성격에서 입체적인 성격으로 변한다. 즉 수동적인 딸의 모습이 사라지고, 대신 충동적이고 예측이 불가능한 인물로 전환한다. 심리학적 측면에서 볼 때 뱀으로 변신한 인물의 내적 원형상은 억압되어 있던 무의식의 표출, 즉 리비도, 성적 욕망의 분출로 볼 수 있다. 인간의 심층에 자리잡은 무의식은 부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다. 뱀어미를 부정한 사람들이 점쟁이를 통해 내적인 변화를 일으켜 복을 받는 결과에서 찾을 수 있다.
    『칠성본풀이』의 여성주인공이 인격과 수격을 거쳐 마침내 신직에 좌정한 것은 분석 심리학적으로 접근해 볼 때,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과정을 거쳐 마침내 자기실현에 이르는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융에 의하면 자아는 외적 인격과 내적인격으로 나뉘는데 자기통합으로 이르는 과정에서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넘나들어 대극이 통합되었을 때에 진정한 자기실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Chilseongbonpuri> belongs to a metamorphosis narrative out of twelve general Sinbonpuri in Jeju.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ymbolism of metamorphosis of the figure in relation with the figure’s deep structure.
    The heroine of the narrative is Chilseong mother who leads the overall narrative, undergoes birth, growth, ordeal and overcoming ordeal and sits at the god’s throne finally. Where, the heroine is the subject of desire and share the function of the sender. In this sense, it is different from other general kinds of Sinbonpuri that have apparent division between the sender and subject.
    In terms of existing strata of the heroine, the complicated metamorphosis is apparent. First is the noble daughter. The parents were the offender devising confinement and deportation, and also helper as they prepared the motivation of leaving home. The monk leads this period. In this period, protagonists and antagonists are divided by the reaction feature to the heroine. The psychological analysis on the corresponding figures by the heroine reflects the attitude of people on unconsciousness. In the relation between conscious and unconscious people achieved authentic self realization when they face unconsciousness directly. Otherwise, they could not achieve self-realization. Third period is the enthroned period on the god’s throne.
    The period up to 7 years old under the parents is a period when consciousness is ruled by persona. This is the subordinate period as a daughter of a noble family. That parents confined her was to keep their dignity, but the daughter defamed them by leaving home. Being deported for such sin, the daughter was transformed from obedient daughter to unpredictable figure instead. Where, the prototype of a snake can be seen as the expression of inner impulse, libido, and sexual desire. There are also positive aspects on unconsciousness with creativity. The change of antagonists is the foundation for it. The hostile concept on a snake was changed through exorcism which finally leads to blessing.
    That the heroine became a god after human and beast character indicates the self realization after integration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theory of Carl Gustav Jung. Jung remarks that ego is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ego, and authentic self-realization could be achieved when they are integrated beyond the boundary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