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不空三藏의 Avalokiteśvara 의 漢譯에 나타난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Amoghavajra's transliteration, Avalokiteśvar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2.08
26P 미리보기
不空三藏의 Avalokiteśvara 의 漢譯에 나타난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32호 / 243 ~ 268페이지
    · 저자명 : 이정수

    초록

    본고는 당나라시대의 역경승 不空에 초점을 맞추어 범어 Avalo kiteśvara에 대한 그의 한역술어의 변화와 특징을 그와 동시대의 그러나 그보다 생몰연대가 다소 앞선 또 다른 주요한 역경승인 玄奘과 實叉難陀 등과의 비교를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범어 Avalokiteśvara는 중국의 역경과정에서 ‘光世音, 觀音, 觀世音, 觀世音自在, 觀自在’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었다. 이들 한역어들은 기원후 3세기 西晉에서 온 月氏國출신의 역경승 竺法護의 번역어로 사용된 光世音에서 7세기와 8세기에 당나라의 현장과 不空에 의해 사용된 ‘觀自在’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변화 속에서 여러 역어들이 사용되어 왔다. 당나라시대에 와서 범어 Avalokiteśvara는 현장에 의해 ‘觀自在’라는 역어가, 實叉難陀에 의해서는 觀世音이라는 번역어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기적으로 이들보다 다소 후대의 인물인 不空의 번역어에는 이들 두 역경승과는 다른 특징이 보이고 있다. 즉 不空은 범어 Avalokiteśvara에 대하여 다양한 번역을 사용하면서도 특정시기이후에 있어서는 거의 ‘觀自在’만을 사용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영어초록

    The present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iteration, Avalokiteśvara which is done by Amoghavajra, who was one of the four great translators of the Buddhist manuscripts from India and Central Asia.
    Amoghavajra was a Buddhist monk in the Tang dynasty in which the translation work by the dynasty was flourished and his translating work was supported by the royal family, in particular, the Empress, Wu.
    The Sanskrit word, Avalokiteśvara had been variously translated by great Buddhist monks before Amoghavajra's interpretation, but the most significant tranliterations for Avalokiteśvara were ‘Guanzizai (觀自在)’ and ‘Guanshiyin (觀世音).’ The transliteration, Guanshiyin, had been using before Tang Dynasty and it was also used even in the dynasty. However, Xuanzhang translated Avalokiteśvara as ‘Guanzizai (觀自在)’ and considered it as only correct translation for the Avalokiteśvara.
    Amoghavajra had variously translated the word, Avalokiteśvara, before the transliteration of Xuanzhang's ‘Guanzizai (觀自在)’, but from the year, 765 AD. the transliteration of the ‘Guanzizai (觀自在)’ started to use almost exclusively in his translating works.
    Before the year, 765, Amoghavajra had variously translated the word, Avalokiteśvara. He had translated the Sanskrit word as ‘Guanyin (觀音)’, ‘Guanshiyin (觀世音)’, ‘Guanzizai (觀自在)’ and so on.
    In the number of translation between ‘Guanyin (觀音)’, ‘Guanshiyin (觀世音)’, ‘Guanshiyin (觀世音)’ is predominantly used for translating Buddhist texts from the Sanskrit to Chinse. Even in this stage, Amoghavajra used the transliteration, ‘Guanshiyin (觀世音)’, but this case was very rare comparing to the years after 765 AD.
    After this year, the transliteration, ‘Guanzizai (觀自在)’ occupied predominantly in the translation of his Buddhist texts. Except for only a few texts, he exclusively used the transliteration, ‘Guanzizai (觀自在)’.


    The transliteration, ‘Guanzizai (觀自在)’ was transliterated by Xuanzhang for the first time and had been used by his disciples, other translators, and the people who were influenced by Xuanzhang. Even in the era after the demise of Xuanzhang, his influence continued to be powerful in the Buddhist translating work by his disciples and people influenced by him.


    At the early stage of his translating works, Amoghavajra used various Chinese transliterations which meant the Sanskrit word, Avalokiteśvara. In this stage, the use of the translation, ‘Guanzizai (觀自在)’ was not predominant in his translation works from Sanskrit to Chinese.


    Even though Amoghavajra had been supported by the four Chinese emperors, in particular, Daijong (代宗) officially gave him a public position in 765 AD. This year marked watershed in his Buddhist texts translating works.


    From the this year, the use of the transliteration, the ‘Guanzizai (觀自在)’ was increased sharply in his translating works and comparatively the usage of other transliterations were rapidly decreased.


    One of the reasons, which we could assume why he used the transliteration, the ‘Guanzizai (觀自在)’ in such a remarkable way after receiving official position from the emperor, is shown in the case of the transl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by the monk, Śikṣānanda.
    Śikṣānanda had mainly used the transliteration, the ‘Guanshiyin (觀世音)’ for Avalokiteśvara in his translating works, but in his work of translating the Avatamsaka sutra, he used the term, the ‘Guanzizai (觀自在)’ only as the transliteration for the word, Avalokiteśvara. When he translated this sutra, he did this work with other translators such as Yijing (義淨) who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master, Xuanzhang. We could assume that Amoghavajira had to follow the translating rules which was established Xuanzhang and his disciples, but this fact should be supported by more organized researche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