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제산업의 공진화 변수들의 시계열 분석 (Time Series Analysis of Co-evolving Variables in the Garment Industry)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4.03
19P 미리보기
봉제산업의 공진화 변수들의 시계열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24권 / 1호 / 121 ~ 139페이지
    · 저자명 : 권기용, 추호정

    초록

    현재 패션기업들은 높은 고정 비용과 다양한 비용 문제로 인해 생산과 관련된 부분은 아웃소싱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봉제산업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대외적으로 개발도상국들이 제공하는 값싼 노동력과의 경쟁, 대내적으로는 최저임금 상승을 포함한 고정비 및 다양한 비용 부담이겹쳐 국내 봉제업체들은 규모 축소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 봉제산업에 대한 구조적 대응과 전략적 육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봉제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공진화 이론에 근거하여 환경적 변수와 봉제업체의 파트너 기업을 연구 변수로 선정하였다. 봉제산업의 규모를 구분하기 위하여 전체 봉제산업과 마이크로사이즈 봉제산업으로 나누었으며, 환경적 변수로는 최저임금을, 봉제업체와의 파트너 기업 변수로는 패션상장기업과 의류도매업체를 선정하여, 각 변수들 간의 상호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을 위해, 패션상장기업의 경우는 영업이익을, 의류도매업체의 경우는 매출을 활용하였고, 봉제업체의 경우는 전체 기업 수와근로자 수를 활용하였다. 이상의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들은 통계청 및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공된 시계열데이터를 사용했으며, 그랜저 인과관계분석을 통해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랜저 인과관계분석 결과 환경적 변수인 최저임금은 전체 봉제산업과 마이크로 사이즈 봉제산업 기업 수와 고용자 수에1, 2시차에서 영향을 주었으나, 1시차에 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시차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최저임금은 봉제기업의 봉제업체 수와 고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임이 확인되었다. 1시차는 최저임금이 상승할수록 봉제산업에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데까지 1년의 시간이 걸린다는것을 의미한다. 파트너 기업 변수인 패션상장기업의 영업이익은 2시차에서 전체 봉제산업의 고용자 수에 영향을 미쳤지만, 3시차에서는 마이크로 사이즈 봉제업체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마이크로 사이즈 봉제업체 수와 고용자수 증가는 2시차에서 의류도매업체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실질적으로 패션산업 내에서 봉제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거래 기업들과의상호영향력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즉 공진화 이론과 같이 봉제산업은 거래하는 파트너 기업들과의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환경적 변수에 영향을 받지만 적응하면서 진화해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봉제산업의 육성 방향과 국가적 전략을 논의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that affects the growth of the sewing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co-evolution. To this end, we designated listed fashion brand companies and the apparel wholesale industry as the trading partner factor, with the minimum wage identified as the institutional factor.
    In the case of the sewing contractor industry, analyses were conducted separately for the overall industry and the micro-sized industry. For quantitative analysis, profitability indicators for fashion brand-listed companies and those in the apparel wholesale industry were utilized.In the sewing contractor industry, the analysis utilized the total number of companies and workers. Time series data were obtained from Statistics Korea and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Granger causality analysis was performed.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nimum wage, as an institutional factor, is a leading variable affecting the overall sewing contractor industry, the number of micro-sized sewing contractor companies and workers, with a time lag of one period. In the analysis, fashion brand listed companies were identified as a leading variable that impacts the total number of workers with a two-period delay (2 lag), but influences the number of micro-sized sewing contractor companies after a three-period delay (3 lag). Additionally,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icro-sized sewing contractor industry affects the apparel wholesale industry with a two-period delay (2 lag).This suggests that the expansion of micro-sized sewing contractors correlates with sales in the clothing wholesale secto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identified specific factors influencing the growth of the sewing contractor indu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