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英祖 後半 政局과 通共策 論議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late King Yeongjo and the debate on TongGong polic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0.08
33P 미리보기
英祖 後半 政局과 通共策 論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34권 / 727 ~ 759페이지
    · 저자명 : 김정자

    초록

    영조 38년(1762), 대리청정하던 사도세자가 죽은 ‘壬午禍變’ 以後 영조가 覆政하였다. 영조 40년(1764)에 영조는 蕩平을 再闡明하였고, ‘甲申通共’을 실시하였다. 영조는 박세채를 文廟에 종향함으로써 탕평을 재천명하였다. 그리고 保民司를 설치하여 法司 吏隸들에게 料布를 지급하였는데, 이로써 법사 이례들이 문란하게 사용했던 禁亂廛權을 9廛은 法司에서, 8廛은 일반시전에서 행사하도록 하는 ‘甲申通共’을 실시하였다. 당시 ‘갑신통공’을 주장했던 이들은 홍봉한 등의 北漢黨이었고, 홍봉한은 영조를 도와 탕평의 義理主人이 되어 王世孫과 王孫 보호를 자임하였다.
    영조 44년(1768)에 북한당과 대립각을 세우던 김귀주 등의 南漢黨, 그리고 북한당이나 남한당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았던 不漢黨세력은 北漢黨의 保民司 설치와 ‘甲申通共’에 대해 반대하며 ‘戊子通共’을 주장하였다. ‘무자통공’은 都城民이 흉년 때문에 힘든 상황이니 금난전권을 6廛에만 시행토록하고, 일반시전의 금난전권은 폐지하자는 내용이었다. 영조의 윤허로 ‘무자통공’은 두 차례 논의되어 시행되었으나, 3차의 논의에서 亂廛의 都庫문제 때문에 釐正되었다.
    이러한 ‘戊子通共’의 釐正은 두 가지 통공책의 대립이 북한당과 남한당 두 戚臣 間 대립과 연관된 정책이었다. 이렇듯 정국의 변화와 연계되어 있었기 때문에, 영조 말년부터 정조 초년까지 보민사의 치폐와 통공 이정이 지속적으로 논의되었다.
    이후 정조는 즉위 초 북한당·남한당세력을 포함한 제세력을 ‘丙申獄事’와 ‘丁酉逆獄’으로 처분하였으며, 홍국영·서명선을 탕평의 의리주인으로 삼아 정국을 이끌어 나갔고 보민사와 통공문제에 주도권을 획득하였다.

    영어초록

    King Yeongjo retook office in 1762 after Imo-whabyeon(壬午禍變) which had been an affair driving Sado seja(思悼世子-先世子) to death. He announced again that he would implement Tangpyeong policy and carried out Gapshin-TongGong(甲申通共) as well.
    Yeongjo set up ParkSeChai's tablet in the Confusion shrine to formulate Tangpyeong. Gapshin-TongGong was also implemented at the moment that would allow Beopsa(法司) to have the right to run on 9Jeon(9廛) and 8Jeon(8廛) became to be under the control of SiJeon(市廛), which were all by building Beopsa Irye(法司吏隸) to pay RoPo(料布) to Beopsa Irye(法司 吏隸). GapshinTongGong was insisted by Bukhan-dang(北漢黨) such as Hong Bong-han(洪鳳漢) who, as the major figure of that policy, helped Yeopgjo having the eldest grand son of King and the eldest son of King protected.
    In 1768, Namhan-dang(南漢黨), where Kim Gu-ju (金龜柱) was a kind of a head, as an opposite party against Bukhan-dang(北漢黨) and Bulhan-dang(不漢黨) who didn't belong to any political parties like Bukhan-dang(北漢黨) or Namhan-dang(南漢黨) pushed Mooja-Tonggong(戊子通共) against Bominsa(保民司) and Gapsin-Tonggong(甲申通共) taking effect by Bukhan-dang(北漢黨).
    It was Mooja-Tonggong(戊子通共) that took away Geum-RanJeon-gwon(禁亂廛權) of SiJeon(市廛) and allowed only 6Jeon(6廛) to have Geum-RanJeon-gwon(禁亂廛權) with the bad harvest hitting hard Doseong-Min(都城民). Mooja-Tonggong(戊子通共) was carried out two times supported by Yeongjo until it remained under the third debate going on to be changed because of businesses without permission burgeoning and gaining control of a single market.
    There had been a lot of changes to Mooja-Tonggong(戊子通共) that virtually linked to the conflict between Bukhan-dang(北漢黨) and Namhan-dang(南漢黨).
    It was about politics that there had been ongoing disagreement over Bominsa(保民司) and TongGong from the late King Yeongjo period to the early King Jeongjo period.
    Since then King Jeongjo revenge on his political enomies including Bukhan-dang(北漢黨)·Namhan-dang(南漢黨) through Byeongsuloksa(丙申獄事) and JeongyuYeokok (丁酉逆獄). He put Hong Guk-yeong (洪國榮)· Seo Myeong-seon (徐命善) in charge of TangPyeong to capture political supremacy on Bominsa(保民司) and TongGong polic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