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초기 對明관계와 공험진 (Relationship with Ming Dynasty in the Early Joseon and Gongheomj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5.12
30P 미리보기
조선초기 對明관계와 공험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103호 / 225 ~ 254페이지
    · 저자명 : 한성주

    초록

    朝鮮초기 여진 세력의 귀속 문제를 둘러싸고 조선과 明은 서로 간에 치열한 외교전을 벌여왔다. 명은 몽골 세력의 위협과 遼東을 완전하게 장악하지 못한 상황이었고, 조선 역시 대내외적으로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서 양측은 무력적 충돌보다는 외교적인 방법으로 요동의 女眞 세력 귀속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명이 요동에 있던 여진인들을 招諭하여 명에 귀속시키려고 하자, 조선은 李成桂의 세력 기반으로서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고려 때 尹瓘의 여진 정벌에서 역사적 권원을 찾아 여진인 및 그 거주 지역에 대한 관할을 주장하였다. 그 중 핵심적인 것은 윤관이 설치했다는 公險鎭이었다. 조선은 윤관의 여진 征伐이 豆滿江 以北에 대해 실시된 것이고, 공험진은 두만강 이북에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두만강 이북에 있는 공험진 以南부터는 조선의 관할 지역임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여 명으로부터 11處 지역의 여진 귀속 문제를 승인받았던 것이다.
    명은 조선의 주장을 승인하였지만, 여진 추장에 대한 초유를 계속하여 왔다. 특히 會寧의 斡朶里 추장 童猛哥帖木兒의 명 入朝 문제는 조선과 또 다른 외교문제가 되었다. 조선은 다시 공험진 이남에 대한 주장과 더불어 동맹가첩목아가 명이 승인한 11처 지역의 사람이라고 주장하였다. 결국 명은 여진 초무가 조선과 地面, 즉 영토를 다투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였고, 영락제 역시 조선의 주장이 옳다고 하여 조선의 공험진 인식과 그 관할을 다시한번 인정하였다. 특히 조선은 공험진을 강조하면서 ‘역사적 권원’뿐만 아니라 이것을 인정받아 ‘실효적 지배’가 이루어져 왔음을 주장하였다. 조선의 주장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던 명은 동맹가첩목아가 皇后의 親族이라는 이유를 들며 그의 명 입조를 관철시켰다.
    결국 조선은 고려시대 윤관의 여진 정벌과 9城 축조 이래 공험진과 先春嶺은 조선의 영역이라는 인식을 확고히 하고 있었으며, 공험진은 두만강 이북에 있다는 사실을 들어 공험진 이남과 그 지역의 여진인들을 조선이 관할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명이 두만강 유역의 여진인들을 초유하려 하자 조선이 공험진 이남이 조선의 관할임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여 명의 승인을 받았다는 것은 공험진의 실제 위치와 관계없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당시 조선이 주장한 공험진은 두만강 이북이었으며, 두만강 이북에 위치한 공험진부터 조선의 관할로 인정을 받은 것은 당시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국제관계사적인 입장에서 보았을 때 국제적 공인을 받은 것이나 같다. 그리고 이것은 이후 세종대 6진 설치와 조선의 여진에 대한 정책에 주요 근거들이 되어 왔다는 점에서 조선이 명에 공험진 이남에 대해 ‘역사적 권원’과 ‘실효적 지배’의 주장을 하며 이것을 공인받은 것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Joseon and Ming had diplomatically confronted with the question of title to Jurchen power in the Early Joseon. Ming was not free from threat of Mongolia power and seemed not to completely control Liaodong(遼東). Joseon also had to justify founding of Joseon internally and externally. Both countries tried to solve the question of title to Jurchen power in a diplomatic way not by armed conflict.
    When Ming had tried to get control over Jurchen in Liaodong, inviting and persuading Jurchen people, Joseon insisted control over Jurchen people and their living area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area as a base for power of Yi Seong-gye(李成桂) and historic title based on historical fact of conquer over Jurchen by Yoon Gwan(尹瓘).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one is Gongheomjin(公險鎭) which is known constructed by Yoon Gwan. Joseon recognized that conquer over Jurchen by Yoon Gwan targeted northern area of Tumen river and Gongheomjin was located northern area of Tumen river. So Joseon strongly insisted control over southern part of Gongheomjin and was approved from Ming for question of title to Jurchen about 11 areas(處).
    Ming accepted Joseon's argument but continued to invite and persuade Jurchen chiefs. Dongmaenggacheopmokah(童猛哥帖木兒), a chief of Altari(斡朶里) in Hoiryeong(會寧) attended the Royal court of Ming. Especially, this became an another diplomatic issue with Joseon. Joseon repeatedly insisted control over southern area of Gongheomjin and said that Dongmaenggacheopmokah is a person living in 11 areas that Ming approved as Joseon's land. In the end, Ming was sure that Ming's invitation and persuasion for Jurchen was not related to the question of title to Jurchen. Yongle emperor(永樂帝) also accepted Joseon's argument so that he recognized Joseon's recognition about Gongheomjin and the control again. Especially, emphasizing Gongheomjin, Joseon insisted that Gongheomjin had 'Historic Title' so that ‘Effective Control’ had been made. Ming had to accept argument of Joseon and attained attendance of Dongmaenggacheopmokah to the Royal court of Ming, raising the reason that Dongmaenggacheopmokah is a relative of empress.
    Joseon had firmly recognized that Gongheomjin and Seonchunryeong(先春嶺) are territory of Joseon after conquer over Jurchen and construction of nine castles by Yoon Gwan in Goryeo. Joseon thought that Joseon should have control the southern areas of Gongheomjin and Jurchen people there. This was because Gongheomjin was located in north of Tumen river. When Ming invited and persuaded Jurchen people around Tumen river, Joseon actively insisted Joseon's control over southern areas of Gongheomjin and got Ming's approval on it. This is very important part regardless of actual location of Gongheomjin. Gongheomjin then which Joseon insisted was located in north of Tumen river and southern areas of Gongheomjin were recognized as Joseon's land. From view of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centered on China of then times, this meant that control over the areas was internationally accepted. This also had been major grounds construction of Six jin in Sejong reign and Joseon's policy for Jurchen. So it is necessary to reassess Joseon's control over the southern areas of Gongheomjin through argument of ‘Historic title’ and ‘Effective ‘Contr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