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한량형 주인공의 향방 -<양기손전>의 남성 주인공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a dilettante charact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cus on a Male Character in Yangkisonje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2.06
29P 미리보기
조선 후기 한량형 주인공의 향방 -&lt;양기손전&gt;의 남성 주인공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25호 / 399 ~ 427페이지
    · 저자명 : 조혜란

    초록

    이 논문은 고전소설의 쇠퇴 양상에 대한 관심의 일환으로, <양기손전>의 남성 주인공 형상화에 주목하였다. <양기손전>은 작가 및 창작 시기는 미상으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유통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19세기 중반 경 창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게우사>와 <이춘풍전>, 그리고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유통된 <양기손전>은 소위 한량이라고 지칭되는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이들 작품은 도시 유흥문화 및 사회상 등 19세기 조선 사회의 한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어 19세기 소설사를 살피는 대상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양기손전>의 남성 주인공 양기손은 고전소설 속 한량의 전형적 예인 무숙이나 이춘풍과도 차별화되는 지점이 있어 흥미롭다. 한량형 인물이 재현된 작품에 주목하는 까닭은 조선 후기 유흥 문화와 한량과의 관계 때문이며, 조선 후기 서울이나 평양을 중심으로 한 유흥문화는 양반이 주도하는 문화가 아니라 중인이 주도하는 문화라는 점에서 그 문화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는 양반이 주도하던 조선이라는 사회에서 중인 중심의 유흥문화가 대안적 성격의 문화적 힘을 온축하거나 파생해 내면서, 쇠퇴해 가던 19세기 조선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기능할 수 있는가 하는 관심사와 맞물려 있는 것이기도 하다.
    조선 후기의 소비적인 기방 유흥의 한복판에 있었던 무숙이나 이춘풍은 철저한 자기반성을 통해 개과를 한다. 양기손은 이들의 바로 뒤를 잇는 한량형 인물일 수 있는데, 무숙이나 이춘풍과는 달리 양기손의 유흥 서사는 자기 자신에게 솔직해질 기회조차 마련하지 못 한다. 늘 자신의 욕망에만 충실했던 이기적인 그는 처에게도, 자식들에게도 또 첩에게도 그 어떤 책임도 지지 않는 가장인 셈이다. <양기손전>의 한량 이미지는 이렇듯 자기기만적이고 허위적인 결말로 귀결되면서 이 작품은 그 서사적 긴장을 놓치고 만다. 조선 후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인물 유형일 수 있는 남성 한량형 인물은 양기손에 이르러 그 모색의 전망이 차단되고 마는데, <양기손전>에서 보이는 무기력한 결말 양상은 시대 배경과도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보이며 동시에 고전소설 쇠퇴 요인의 하나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Yangkisonjeon, remaining anonymous, is a novel which is estimated to have been distributed in the late 19th century or the early 20th century. Researchers have found five different kinds of its manuscripts.
    The past research have focused on a special feature of Yangkisonjeon related to the conflict between wife and concubine, regarding it as a "family novel(家庭小說)". In a typical family novel, the main conflict arises out of the tension between wife and concubine, or stepmother and her stepson/stepdaughter. However, in Yangkisonjeon, such conflicts do not exist anywhere even though those characters all appear in this novel. Thus, the previous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this strange feature; 'conflictlessness'.
    Certainly, if the novel is missing a distinctive feature and the feature seems to be very probable in the genre, one needs to consider the reason of its omission. However, expecting conflicts simply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wife and concubine represents the current researcher's interests or attitudes. Rather, it is suspected that the author of Yangkisonjeon is not interested in any kinds of conflicts at the outset. As a result of scrutinizing Yangkisonjeon, it is proved that the work's main concern is the embodiment of the main character, Yang-Kison.
    Defined as a "dissolute" person at the very first part of the novel, Yang-Kison has left his wife and children in extreme poverty giving himself up to indulgence in concubine. Characterization of Yang-Kison in this novel reminds of representative dilettante(閑良) male characters of late Chosun dynasty novel, such as characters from Kewoosa(戒友詞) or Leechunpungjeon(李春風傳). Both born rich, Kewoosa's Musuk and Leechunpungjeon's Lee-Chunpung have squandered all of family's property on the house of Gisaeng(妓房), putting aside of their wife and children. They also show similiarities that they both clean up their prodigal life with a great support of wife or concubine.
    Here, we can find the proper methodology of analyzing Yangkisonjeon: not simply classifying it as a family novel, but as a novel whose main character is a dilettante. Therefore, comparing Yangkisonjeon with other novels dealing with dilettante male characters can explain the reason of 'conflictlessness' in this novel. Novels dealing with dilettante male characters tend to be without conflict caused by wife and concubine. Also, in this kinds of novels, main characters show no mercies or interests to their wives and children. In this context, Yangkisonjeon can be understood more deeply. Moreover, focusing on its own variation of such novels will expand and deepen the meaning of Yangkisonjeon.
    The late Chosun entertainment culture has been developed rapidly with Seoul or Pyongyang as the center. It is monumental in the cultural history that the main agent of late Chosun entertainment culture is not a high class(兩班), but a middle class people(中人). This is also related to whether a new possibility of changing culture could arise during the late 19c Chosun dynasty, which was declining, suggesting an alternative: diversion from high class driven cultures to the middle class driven cultures.
    Late Chosun novels pay attention to the dilettante male character, because a dilettante is the very person who has experienced the alternative culture. Destiny of the dilettante male character is closely related to that of late Chosun culture. The dilettante shows negative aspects, but he is at least energetic at some point because he squanders all his money and life only for his sensual pleasure. His energy, if converted, can be functioned positively, providing a new vitality. For example, Kewoosa's Musuk and Leechunpungjeon's Lee-Chunpung were in the middle of consumptive culture, the house of Gisaeng(妓房), but they finally get to the self-reflection which drives them to the total conversion in a good way. Yang-Kison succeeds Musuk and Lee-Chunpung as a dilettante character, so his final decision attracts attention, as well as how entertainment culture works in his life and the novel.
    However, Yang-Kison's decision is rather disappointing. Entertainment culture does not have any influence on his life. The story ends up with his return to home, only depending on the patriarchal prestige. Different from Musuk and Lee-Chunpung, his entertainment narrative has never allowed him a chance to reflect himself. Always has been full of his own desire, he remains irresponsible and selfish after all. Yangkisonjeon loses its narrative tension as the image of the dilettante character results in self-deception. The potential power of the new character in the late Chosun, a dilettante character, has been blocked in Yangkisonjeon's era, and it is relevant to the fact that this novel is written and distributed in the declining era of the classic no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