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종(中宗) 초기의 정국과 <설공찬전> 파동의 추이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Early Period of Jungjong(中宗)'s Reign and Seolgongchanjeon(薛公瓚傳) Issu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5.12
35P 미리보기
중종(中宗) 초기의 정국과 &lt;설공찬전&gt; 파동의 추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소설연구 / 40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엄기영

    초록

    본고는 중종 초기에 일어난 <설공찬전> 파동의 추이를 당시 정국의 동향과 관련하여 살펴본 것이다. 그간 <설공찬전> 파동은 주로 ‘훈구 대 사림’이라는 구도 속에서 그 의미를 해석해왔다. 하지만 ‘훈구 대 사림’이라는 구도 자체에 대해서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런 구도를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중종 초기는 이런 구도를 적용하기 어려운 시기임을 감안하면, 이 사건의 의미를 ‘훈구 대 사림’의 구도에서 파악하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왜 하필이면 중종 6년 9월에 <설공찬전>이 문제가 되었는가? 둘째, 파동이 일어나고 불과 3개월이 지난 뒤 채수는 복직되는데, ‘치도(治道)를 어지럽힌 중죄인’이었던 채수는 어떤 이유와 배경에서 다시 복직되었는가? 셋째, 왜 파직의 과정이나 복직의 과정에서 별다른 논란을 찾아볼 수 없는가? 그리고 그 과정은 왜 그토록 신속하게 진행되었는가? <설공찬전> 파동이 일어나기 직전, 중종은 이극돈에 대한 처리를 두고서 국왕으로서의 권위가 심각하게 손상되는 타격을 입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대간들의 발언권이 상대적으로 강해졌다. 채수와 <설공찬전>에 대한 처리가 이례적으로 매우 신속하게 진행되고, 그 과정에서 별다른 논란이 보이지 않았던 것은 정국의 이런 상황과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이극돈이 성종에게 『유양잡조』 등의 책을 바쳤다가 탄핵을 당한 일, 그가 사초를 누설함으로써 연산군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었다는 대간들의 비판, 소설에 대한 애호가 연산군의 음일을 드러내는 것 중 하나였다는 사실 등은 채수와 <설공찬전>에 대한 ‘과도한’ 공격을 불러일으킨 이유가 되었다.
    파동이 일어난 지 불과 3개월 뒤 채수는 복직되었다. 그것도 애초에 법 적용이 잘못되었다는 이유에서였다. 채수가 복직되기 직전 조정에서는 ‘능상(凌上)’이라는 말로 인해 큰 파장이 일어난다. ‘능상’은 연산군이 사화를 일으키면서 빌미로 삼았던 말이었기 때문이다. 중종은 이것을 문제 삼아 대간들을 전원 교체하고 의금부에 조사할 것을 명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한다. 이로 인해 이극돈 처리 문제부터 이어졌던 대간들의 기세가 일시에 꺾이고 정국의 주도권이 순식간에 중종에게 넘어간다. 그리고 이와 함께 채수에 대한 처벌은 대간들의 과도한 주장으로 인해 “상벌이 중(中)을 잃은” 경우로서 재변(災變)을 일으킨 원인으로 간주된다. 복직의 과정도 파직의 과정만큼이나 신속하게, 별다른 논란 없이 진행되었던 것에는 이러한 배경이 있었다.
    채수가 파직된 지 겨우 3개월 만에 복직하는 극히 이례적인 과정에는 반정을 통해 성립했으나 반정의 명분과는 거리가 있었던 당시 정권의 상황, 확고한 정치 원칙이나 시대적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 채 사안에 따라 그때그때 흔들렸던 정치 주체들, 그리고 ‘능상’이란 단어로 드러난 연산군 시대가 남긴 트라우마가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meaning of Seolgongchanjeon(薛公瓚傳) issue in the early period of Jungjong(中宗)'s reign, with raising three questions - ①why this work created a serious problem at 6th years of Jungjong's reign ②what is the reason that Chae Soo(蔡壽) could make his comeback to politics only after three months ③why we couldn't find any controversy about his discharge and comeback.
    Just before this issue, Jungjong's authority was eroded seriously in the process of disposing of Yi Keukdon(李克墩), so the power of lieges on audit and inspection grew strong. It was the background of Seolgongchanjeon issue.
    Only after three months Chae Soo came back to politics by reason of the wrong application of the law. Just before his comeback, 'Neungsang(凌上), the comment of lieges on audit and inspection made quite a stir in royal court. This comment was the cause which brought about the ruthless purge in the reign of former King Yeonsan(燕山). Consequently the initiative in the political situation had gone over to Jungjong.
    In short, there were the following background - the governing power with a lack of legitimacy, the political group who had no future and the trauma, a vestige of Yeonsan's re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