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중서의 공사론 (Dong Zhongshu's Theory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9.11
24P 미리보기
동중서의 공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49권 / 191 ~ 214페이지
    · 저자명 : 김우진

    초록

    본 연구는 단순히 동중서의 사상에서 공사관을 읽어내는 방식이 아니라 유학사상의 변화와 시대적 변화 안에서 동중서의 공사관이 어떤 특징을 보이며 그것이 이전 시대 유학의 공사관과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동중서 유학의 공사관이 가지는 의의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자는 서주시대 종법제도와 봉건제도의 원리인 ‘예악(禮樂)’ 을 새롭게 복원하려고 했지만 또 다른 하나의 사상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동중서의 사상은공자를 계승한 맹자와 순자의 사상과는 달리, 새로운 체계와 틀로 자기 사상을 형성했는데,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 먼저 분석함으로써, 그의 공사관을 규명한다.
    제국(帝國)의 유학은 선진시대의 유학과는 그 방식이 달라야 했다. 대륙 전체에 적용되는 사상이 필요했고, 그것은 인간 자체의 본성에서 유래하는 사상보다는 인간뿐만 아니라 존재하는 모든 것의 원리에 기반하는 것이어야 했다. 선진시대의 종법제와 봉건제에기반하고 있는 유학은 家에서 國으로의 확장적 보편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제국의 유학은 통치의 원동력이 家보다는 제국에 있어야 했고 그 원동력도 제국에 있어야한다는 특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선진유학에서 공공성이 도덕주체, 임금의 태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면, 동중서의 입장에서는 그 공공성이 하늘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천명에 따라 임금이 된 자는 도덕적이어야 하고 하늘의 원리에 따라 백성을 다스리고 신하를 거느려야 한다. 임금의 권력은 天 에서 나왔다. 동중서는 군권(君權)의 절대성을 확보해주었지만, 그 절대성은 天道를 벗어날 수 없다. 맹자는 임금의 “공적 태도”라는 자발성에 집중했다면, 동중서는 이러한 물음에 ‘재이(災異)’와 ‘부명(符命)’을 통해 임금이 독단적으로 폭정을 하지 않도록 장치를 마련한다.
    공맹순에게 공과 사를 결정하는 것은 인간 개인의 태도인 반면, 동중서에게 公은 개인의 태도 그 자체보다는 우선 天의 원리이다. 그 객관적인 天의 명에 따르는 것이 인간의도리이기 때문에 인간의 태도 이전에 먼저 天 자체가 공의 기준이 되고, 그 기준에 따르는 것은 그다음이다. 즉 동중서에게 인간 개인의 본성과 태도는 天의 하위 원리에 해당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simply to read perspective on the public and the private in the ideology of Dong Zhongshu, but to show how his perspective on the public and the private is distinctive in the change of the Confucian ideology and in the change of the times and how it differs from perspective on the public and the private in the previous era, What is significance is to analyze. Confucius tried to restore the Rites-music(禮樂) which is the principle of the Patriarchal clan system(宗法) system and the Feudal system (封建) system of Western Zhou dynasty, but he created another thought. And, unlike Mencius and Xunzi who succeeded him, it is necessary to first analyze why Dong Zhongshu's ideas that have approached the new system and framework should be formed.
    Then, this paper interprets his perspective on the public and the private in the idea of such Dong Zhongshu.
    Imperial Confucianism had to be different from the Confucianism in the Pre-Chin(先秦) periods. Thoughts applied to the whole continents were needed, which should be based on the principles of everything that exists, as well as humans, rather than ideas that originate from human nature itself. Because Confucianism, which is based on the Patriarchal clan system(宗法) system and the Feudal system(封建) system in the Pre-Chin(先秦) periods has the characteristic of expanding universality from family to nation, but ImperialConfucianism should have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driving force of government should be in the empire rather than the family, and its power should be in the empire.
    In Confucianism before Chin(秦), if publicity can be said to be in moral subjects, the attitude of the king, Dong Zhongshu(董仲舒) can say that the publicity is in heaven(天).
    Those who has become king at the Mandate of Heaven(天命) must be moral, and he must rule over the people according to heavenly principles. The king's power came from heaven.
    Dong Zhongshu secured the absoluteness of the monarchy, but its absoluteness could not escape the way of heaven. While Mencius focused on the spontaneity of the king's "public attitude", Dong Zhongshu provided a mechanism to prevent the king from arbitrarily tyranny by using portents(災異) and omen(符命).
    While it is the attitude of individuals to determine what is the public and the private to Confucius, Mencius and Xunzi, for Dong Zhongshu, the public is the principle of heaven(天) rather than the attitude of the individual. Since it is human's duty to follow the Mandate of Heaven, Heaven(天) itself becomes the standard of the public before the attitude of human beings, and then follows the standard. In other words, for Dong Zhongshu, the nature and attitude of the individual corresponds to the sub-principle of heaven(天).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