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共)‒ 창조적 장소로서의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연구 (A Study on Public Library Makerspace as a Co-Creative Place)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8.10
8P 미리보기
공(共)‒ 창조적 장소로서의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5호 / 345 ~ 352페이지
    · 저자명 : 김철중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4차 산업 혁명 시대가 보다 지능화된 사회로 진입하면서 공(共)‑창조성 이론에 근거한 도서관 기능 및 역할의 변화를 추구하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메이커스페이스의 도입과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롬바흐는 창조가 본질적으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개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생성(Genese)’이 이루어지는 공(共)‑창조적인 생동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어 융합적 사고로 지능화되고 있는 현 시대의 중요한 창조의 개념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롬바흐의‘공(共)‑창조성’이론의 관점으로 공공도서관에 도입된 메이커스페이스 사례를 분석하여, 창조 활동의 장소로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공간디자인 특성과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롬바흐의 ‘공(共)‑창조성’의 개념을 이해하고,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의 정의와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를 해석하고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둘째, 도출 된 내용을 중심으로 사례 분석틀을 만들고, 선도적으로 이루어진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에서 살펴 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첫째, 정보 습득의 공간, 협업의 공간, 제작 공간, 커뮤니티 공간, 세미나 공간 등 다양한 공간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공(共)‒창조적 장소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메이커들의 다양한 창조적 행위가 이루어지고 연결되면서 공간의 구조는 다변화 되고 복합화 된다. 셋째, 이는 공간의 탈 위계성, 공간의 연속성, 공간의 불확정성을 이루어지면서 다 중심화 되면서 창조적 생성(Genese)’이 끊임없이 발생하게 된다. 넷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열림 ․ 통합 ․ 분리 ․ 가변 ․ 연속 ․ 침투의 공간구축 원리가 작용하게 되면서 복합적으로 공(共)‒창조적 구조가 강화된다. (결론) 본 연구는 의의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의미를 첨단 장비를 통한 제작이라는 단편적인 해석을 벗어나 공(共)‒창조성의 개념의 광의적인 해석을 하였다는데 있다. 또한 공(共)‒창조성 공간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새로운 의미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향후 공(共)‒창조적 특성을 반영하고, 공공적 영역으로서의 커뮤니티 구축과 실천적 모델의 공간디자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ushered by a more intelligent society, changes in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library, based on the theory of co-creativity, are pursued. In this context, the importance of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makerspace” is highlighted. According to Rombach, “makerspace” is defined as the vivid process of co-creativity in which genesis naturally occurs through the interaction of an entity whose creation is essentially structured. This concept is being reexamin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creation in the current era, where everything is interconnected and becomes intelligent through integrated think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se of makerspace introduced in public libra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creativity of Rombach and to derive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esign of public library makerspace as a creative activity. (Method) This study sought to shed light on the concept of co-creativity of Rombach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nd to examine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kerspace currently being hosted.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ntended to interpret a public library makerspace and then derive its spatial characteristics. Second, this study aimed to create a case analysis framework focusing on produced results and then conduct an in-depth case analysis of public makerspace. (Results) First, the public library makerspace was foun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creativity in which various spatial functions are organically connected, such as information acquisition, cooperation, production, community, and seminar space. Second, structural space tended to become diversified and complicated as various creative activities take place in the public library makerspace. Third, centralization and genesis were found to be constantly occurring as a result of de-hierarchy, continuity of space, and uncertainty of space. Fourth, the public library makerspace strengthened the structure of co-creativity as acted upon by the principles of building space, namely, separation, integration, variability, continuity, openness, and penetration.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its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co-creativity in a broad sense, beyond the fragmentary one that interprets a public library makerspace through high-tech equipment. Through in-depth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creativity,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of a new semantic interpretation of public library makerspace.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a community as a public domain and continue to study the space of practical model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creativ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