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오현 선시조에 나타난 ‘공(空)’의 세계 (A Study on the World of ‘Empty’ Manifested in Jo, Oh-hyun’s Zensijo)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7.08
34P 미리보기
조오현 선시조에 나타난 ‘공(空)’의 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언어문학 / 37호 / 121 ~ 154페이지
    · 저자명 : 배우식, 이승하

    초록

    이 논문은 조오현 선시조의 사상적 바탕인 공사상(空思想)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차별과 분별이 없는 ‘공(空)’의 세계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아울러 조오현 선시조의 형성 배경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공사상의 ‘공(空)’이란 용어는 불교사상의 근본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말로, 존재하는 모든 것은 영원한 실체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조오현의 공사상은 반야공의 자유 세계와 중도(中道)의 평화 세계, 그리고 불이(不二)의 평등 세계로 나타난다.
    ‘반야공의 자유 세계’는 『반야경』에서 말하는 공사상을 바탕으로 펼쳐지는 세계다. 이 세계를 나타내는 「아지랑이」에서는 불변하는 실체가 없다는 깨달음을 보여주고, 「허수아비」에서는 자유자재한 삶의 경지를 나타낸다. ‘중도의 평화 세계’가 잘 나타난 「숲」에서는 대립을 넘어서는 평화로운 세계, 즉 중도의 세계를 나타낸다. ‘불이의 평등 세계’는 둘이 아닌 ‘하나’인 세계, 즉 평등한 세계다. 「내가 죽어 보는 날」에서는 분별하고 대립하는 ‘내’가 죽고, 깨침의 ‘내’가 다시 태어난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데, 이런 깨침은 삶과 죽음이 둘이 아닌 하나인 세계를 나타낸다.
    이런 ‘공(空)’의 세계를 나타내는 조오현의 선시조는 전통적인 한시 형식의 선시는 물론 한글 선시와도 변별성을 보이며 새로운 문학 양식으로 자리 잡는다. ‘공(空)’의 세계는 궁극적으로 자유 · 평화 · 평등의 세계를 나타낸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d research on how the World of ‘Empty’ free of relative discrimination and Vikalpa (distinguishment) is manifested with the ‘Empty’ idea, which is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Jo, Oh-hyun’s zensijo, as the center. In addition, this paper considered the background of Jo-Ohhyun zensijo formation and its characteristic.
    The term of ‘Empty(空)’ in ‘Empty’ idea is the word indicating the fundamental concept of Buddhism, meaning that there is no eternal noumenon(substance) in all things which exist. Jo, Oh-hyun’s ‘Empty’ idea is represented as the free world of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ā, the peaceful world of the Middle Path, and the equal world of ‘No Second.’ ‘The free world of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ā is the one stretched out on the basis of the ’Empty’ idea mentioned by 『Prajñā-Paramitā』 In his work 「Haze」 plainly portraying this world, the author shows Awakening that there is no unchangeable substance while representing a free and bold realm of life through his work 「Scarecrow」. In his zensijo 「Forest」 portraying ‘the World of the Middle Path’ quite explicitly, the author expresses a peaceful world beyond confrontation, namely, the World of the Middle Path. ‘The Equal World of No Second’ represents the World of ‘Oneness’ other than two, i.e. the equal world. In his work 「The Day I am trying dying」, the author is sending a message that ‘‘I’ ,who is discriminating and confronting, die, and ‘I’ of enlightenment am reborn’, and such enlightenment represents the world where life and death are one other than two.
    Jo, Oh-hyun’s zensijo representing the world of empty like this, is getting established as a new literary form while showing a differentiation not only from zen poetry of traditional Chinese poetry form but also from Hangeul zen poetry. Ultimately, the World of ‘Empty’ represents the world of freedom, peace and eq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