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始政五年紀念 朝鮮物産共進會(1915)가 呈才 唱詞에 미친 영향 - <鳳來儀>를 중심으로 - (The Impact the 1915 Expo(始政五年紀念朝鮮物産共進會) had on Court Song Lyrics from the Perspective of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1.05
32P 미리보기
始政五年紀念 朝鮮物産共進會(1915)가 呈才 唱詞에 미친 영향 - &lt;鳳來儀&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53권 / 65 ~ 96페이지
    · 저자명 : 강혜정

    초록

    본고는 1915년 9월 11일부터 10월 30일까지 개최되었던 始政五年紀念 朝鮮物産共進會(이하, 공진회)에서 연행되었던 <鳳來儀> 창사를 통해 일제 강점기 박람회가 정재 창사에 미친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910년대 새로운 연행 공간으로 등장한 ‘박람회(공진회)’의 특성을 살피고, 이 공간에서 연행되었던 다동기생조합과 광교기생조합의 <봉래의> 창사가 조선 시대, 대한제국기 궁중에서 연행되었던 <봉래의> 창사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논의한 후, 공진회가 정재 창사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1910년대 가장 규모가 큰 박람회였던 공진회는 조선총독부 주관으로 1915년 9월 11일부터 51일간 경복궁에서 열렸다. 물산 장려라는 경제적 목적과 더불어 식민 지배의 정당성을 내보이기 위한 정치적 목적으로 개최되었는데, 전체 관람객이 100만 명이 넘었던 대규모 행사였다. 공진회의 관람객 동원을 위해, 근정전 서쪽에 위치한 연예관에서 다동기생조합과 광교기생조합이 매일 번갈아서 정재 공연을 하였다. 공진회의 정재 연행 공간이 경복궁이라는 점에서 볼 때, 전통적으로 정재가 공연되었던 공간이라고 할 수 있지만, 왕실의 번영을 송축하며 소수의 왕실 가족을 위해 연행되었던 정재가, 일제의 강점을 미화하기 위한 행사에서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을 위해 연행되는 것으로 탈바꿈된 것을 알 수 있다.
    <봉래의>는 선초에 <용비어천가>를 노랫말로 삼고 여민락, 치화평 등의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었던 정재이다. 『악학궤범』에 관련 기록이 전하고, 고종 때 편찬된 『정재무도홀기』에도 전하고 있다. 반주 음악이나 노랫말의 길이 등 약간의 변화가 보이지만 조선 왕실을 송축하는 작품으로 연행되었다. 이 <봉래의>가 일제 강점기를 맞아 다동조합과 광교조합에 의해 공진회에서 공연되었는데 창사의 의미는 완전히 변질 되었다. 다동조합의 경우는 고종대에 연행했던 <봉래의>의 음악적 형식을 거의 그대로 가져오되 창사를 간소화하면서 천황을 송축하고 공진회를 칭송하는 것으로 그 내용을 바꾸었다. 광교조합의 경우 전통적인 형태를 수용한 것과, 새로 지은 것 등 두 종류로 공연했는데, 새로 지은 창사는 일제 강점기가 봉황이 올 만큼 태평성세라고 노래하고 있다. 두 기생조합의 창사는 동일하지 않았지만, 모두 가곡 선율에 얹어 불렀다는 점과 노골적인 친일 창사라는 점에서는 동일하였다. 이를 통해 공진회에서 공연되었던 두 기생조합의 <봉래의>는 전통 정재의 명칭과 형식과 창사를 토대로 하되, 공진회의 경제적, 정치적 개최 목적에 부합하도록 그 의미를 왜곡시켜서 결국 일제의 선전 도구로 전락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paper examines the meaning behind the Court Song Lyrics which was performed at the 1915 Expo(始政五年紀念 朝鮮物産共進會) during September 11th to October 30th 1915, a period in which Korea was under Japanese Imperial rule. To do so requires the examin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Expo’, a new performance venue that appeared during the 1910s. Furthermore, an in-depth comparison between the Dadong Union(茶洞妓生組合)’s and Kwangyo Union(廣橋妓生組合)’s <Bongraeyi(鳳來儀)> lyrics to the version of <Bongraeyi> lyrics performed in the Chosun Dynasty court will reveal how the Expo influenced the Court Song Lyrics.
    The Expo with the largest capacity in the 1910s, was held at the Kyungbok palace(景福宮) from September 11th to October 30th 1915 under the supervision of Japan. By publicly advertising the economic improvements of Korea post-colonization, the Expo was used as political propaganda of justification of Japanese Imperial rule; the Expo was a highly successful event with a total of one million visitors. To stimulate the flow of more visitors to the Expo, the Dadong Union and the Kwangyo Union rotated perform daily at the Expo. Considering that <Bongraeyi> performance space was at Kyungbok palace, an important change of power dynamics can be noted: while the <Bongraeyi> was historically performed at the same location, for the elite few belonging in the royal family. However, with the regime change, <Bongraeyi> was publicly performed at the Expo, thereby allowing an unrestricted quantity of average individuals to also watch the performance.
    When <Bongraeyi> was performed during the imperialist rule, the differences in Dadong Union’s version versus that of the Kwangyo Union were prominent. Dadong Union maintained <Bongraeyi>’s musical components as used in the Chosun Dynasty but shortened the lyrics; The Kwangyo Union had two versions: there was a version that maintained the tradition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new version. However, the new version increased the imperialist propaganda in that it described the current state of the nation as a paradise. The lyrics of the two versions were contrasting but similar in that both versions were to be sung by a melody and were flagrantly praising the imperialist regime. Therefore, it becomes evident that while <Bongraeyi>’s traditional melody and performance rules were maintained, the lyrics were changed to fit the Expo’s purpose of boasting the economic superiority of Korea post-imper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