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후기 公·私개념의 역사적 변환 (A Historical Change of Gong(公) and Sa(私)’s Conception in the Second-half Goryeo Dynasty)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03
47P 미리보기
고려후기 公·私개념의 역사적 변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14호 / 1 ~ 47페이지
    · 저자명 : 신은제

    초록

    본 논문은 고려말 사전개혁 당시 공전과 사전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12~14세기 공과 사 개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공과 사 개념은 해당 시기를 대표하는 문인의 저작 『서하집』, 『동국이상국집』, 『익제난고』, 『목은문고』, 『삼봉집』의 공과 사 용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공과 사의 용례는 12~13세기 10,000자당 3~4.5자 정도 사용되다가 14세기 전반기 감소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14세기말에 이르면 역전되는데 『삼봉집』 단계에 이르면 공과 사의 사용빈도는 10,000자당 6~7.5자로 증가한다.
    변화는 빈도수에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12~14세기 전반기까지 공은 주로 ‘국가 혹은 관’, ‘다수’, ‘공평·공개·공식적’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14세기말이 되면 공은 公正이라는 의미를 강하게 가졌으며, 天理 혹은 公理, 公義로 사용되어 세상의 질서 혹은 이치를 뜻했다. 사 역시 개념의 변화가 있었다. 12~14세기까지 사는 ‘자신’, ‘민간’, ‘비공식·비밀’, ‘치우침 혹은 편애’라는 의미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으나, 14세기가 되면 그런 의미에다 ‘임의 혹은 마음대로’라는 의미와 ‘사욕’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었다. 특히 사욕은 천리에 대립하였고 때문에 사는 도덕적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사에 대한 도덕적 비난은 고려말 전제개혁 상소에서 단적으로 확인된다. 상소를 올린 이들은 사전을 민간의 토지 혹은 사인이 경작·수취하는 토지로 간주하면서도, 사욕이 관철된 토지 즉 부자가 욕심을 부려 주고받은 토지이자 겸병된 토지로 이해했다. 때문에 사전은 인륜을 금수에 빠트리고, 난의 수괴가 되는 존재였고 도덕적으로 비난받아 마땅한 것이거나 천리를 거스르는 토지였다. 그들은 사전을 혁파해야할 대상으로 간주했고 사전혁파를 통해 공정한 과전제도의 수립을 천명했다. 이 때 혁파된 사전은 사욕이 관철된 토지이자 공개되지 못한 은닉된 토지이자, 천리를 거스르는 토지이지, 私人 혹은 민간의 토지가 아니었다. 때문에 사전을 혁파하여 수립한 과전법에서도 사전은 규정되고 보호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던 것은 성리학 수용 이후 공·사 개념의 변화와 연관된 것으로 이해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written to understand the conception of the Gongjeon(公田) and the Sajeon(私田) while reforming the the Sajeon(私田) in the late Goryeo Dynasty. For this work, I analyzed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the Gong and the Sa from the 12th to 14th century. The concept of the Gong and the Sa w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usage examples of them in the writings, Seohajib(西河集), Donggukisanggukjib(東國李相國集), Ikjesnango(益齋亂藁), Mokeunmungo(牧隱文藁), and Sambongjip(三峯集) which represented the each time. In the 12th and 13th centuries, the word, Gong and Sa, was used 3 to 4.5 characters per 10,000 ones. In the first half of 14th century, it decreasd. This pattern is reversed by the end of the 14th century. In Sambongjip, tthe word, Gong and Sa, was used 6 to 7.5 characters per 10,000 ones. This aspect is same to the case of Goryeosajeolyo(高麗史節要).
    The change was not limited to frequency. From the 12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14th century, the Gong was mainly used in the sense of 'state or official(官)', 'public', 'fair, opened, and official'. By late 14th century, it had the meaning of Tenri(天理), Gongri(公理), and Gongyi(公義) of the reason of order of the world. Sa also had a change of concept. It was often used to mean 'self', 'private', 'unofficial, secret', and 'favoritism' from the 12th to the first half of 14th century, but in the late 14th century, it mainly meaned 'selfishness' of ‘greed’. In particular, self-interest was confronted with the reason of the world, and thus became a subject of moral criticism.
    The moral criticism of the Sa was confirmed by the appeal of the reform of land system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 officals who filed the appeal, regarded the Sajeon as private land, at the same time understood it as a land in which self-interest has passed, that is, a land in which rich people have been greedy and combined. For this reason, it meaned the moral collapse or invasion toward the moral order. They regarded it as an object of reform and declared the establishment of a fair system of land, through the reform.
    The Sajeon which should be abolish, not was the land as private one, but hidden, selfish, freely exchanged land. In fact, under the land system of Gwajeonbeob(과전법), private land was preserved by the Joseon Dynasty. The emergence of Sajeon as selfish land was affected by new thought, Neo-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