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상과 진정한 공(空)의 미학 (The Meditation and the Aesthetic of absolute Emptiness (空))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4.08
28P 미리보기
명상과 진정한 공(空)의 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13권 / 3호 / 9 ~ 36페이지
    · 저자명 : 김현숙

    초록

    바람처럼 보이지도 잡히지도 않는 진공(眞空)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물질적으로 비어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완공과 관련이 있는 것일까? 완공을 허무주의에 비교한다면, 그와 반대로 바람처럼 보이지도 잡히지도 않는 진공은 청명함에서 일어나는 큰 지혜를 닮았다고 할 수 있다. 진공의 개념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순야(Sunya), 순야타(Sunyata)가 그 기원이 되고, 중국 한자 空 (kong)으로 쓰여지며, 한국에서는 공(空)으로 발음한다. 한글 발음으로 공은 또한, 운동 기구의 공이라는 뜻도 있지만, 숫자 ‘0’(공, 영)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우연의 일치로, 순야(Sunya) 또한, 숫자 ‘0’을 의미하기도 한다.
    ‘0’은 긍정과 부정, 그 어느 곳에도 치우치지 않는 중용의 이치와 일치하며, ‘0’의 모양은 선방(명상의 장소)에서 볼수 있는 일원상(一圓相, 공(空)의 상징)을 닮았다. ‘0’(공, 영)의 모양은 세상의 조화를 표현하는 음과 양을 선행하는 천극의상징으로 주역 도표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도덕경 42편에; ‘도는 하나를 낳고,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는 노자의 말씀처럼, 공(空)은 도(道)와도 통한다.
    ‘0’과 같이, 대립되는 두 가지 요소 사이에 놓여 있는 것들을 우리 주위에서도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들은 외부와 내부를 나눠주는데, 특히, 한국 전통주택의 한옥 문 나무 창살 위에 붙여 있는 창호지는 중립적인 ‘0’을 상기시킨다.
    창호지는 희고 비어있는 동양화의 여백처럼 쉼, 울림을 지닌 공간을 닮았으며, 그희고 ‘빈’ 공간은 쌀, 빵, 물이 다른 재료와 혼합될 때 입안에서 새로운 맛을 만들어 내듯이, 중립적인 ‘0’처럼 양쪽을 이어주는 매개체에 상응한다.
    중립적인 ‘0’과 같은 물은 선(禪) 사상에 비유되며, 프랑소와 쥴리엉(FrançoisJullien)의 개념인 무미한 맛(la fadeur)과도 비교된다. 그 무미한 맛은 공기를 만지는 듯한 느낌과 비슷하며, 우리가 초연해질 때 느낄 수 있다. 우리의 삶 속에서, 오감으로 느끼는 습관적인 감각들을 던져 버리고, 우리가 소유하고 있다고 믿고 있는 모든 물질적인 것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날 때, 우리는 겨울 나무 속에숨겨져 있는 봄의 향기처럼, 우리 내면 깊은 곳에 있는 ‘절대적 침묵’과 만난다.
    그 ‘절대적 침묵’은 명상을 통해 접할 수 있다.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데카르트의 이론과는 정반대로, 만일 내가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다면, 나는 순순한 상태, 인간 본연의 상태와 만날 수 있다.
    고대 힌두교의 전설에 의하면, 인간은 그들 안에 숨겨진 신과 같은 능력을 갖명상과 진정한 공(空)의 미학 11고 있다고 한다. 그 숨겨진 능력은 깨우침과 상응하며, 노자의 도(道), 불교의 선(禪)과 공(空),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무엇(chose)이나존재(l’Être), 그리고 질 들러즈 (Gilles Deleuze)의 생성(le devenir), 등과도 비교할 수 있다. 그 이름은 중요하지 않다. 만약 당신이 우주의 조화, 맑은 상태를경험한다면: 그것이 바로 깨우침의 경지이다. 청명한 침묵 속에서, 큰 지혜를 느낄 때, 그것이 바로 진공(眞空)이다.

    영어초록

    What is 진공(jin-gong, 眞空), elusive and invisible like the wind? Is it related to the state of material emptiness which is linked to 완공(wan-gong, 完空, complete emptiness)? If 완공(wan-gong) is comparable to nihilism, contrary to 완공(wan-gong), 진공(jin-gong, absolute emptiness), immaterial, is like great wisdom that comes with serenity. The concept of 진공(jin-gong) took its origin from the sanskrit word sunya and was transcribed from the Chinese character 空 (kong) which is pronounced 공(gong, 空) in Korean. Sunya also means the number ‘0’, coincidentally,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word 공(gong) which means a ball and also the number ‘0’.
    The number ‘0’ corresponds to 중용(jungyong, 中庸, zhōng yōng, middle of the road), which means it is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And the shape of ‘0’ resembles 일원상(ilwonsang, 一圓相), which is a symbol of 공(gong, 空, emptiness). It can be found in the hall of meditation. The shape of 일원상(ilwonsang) can also be found in the diagram of I ching(易經) which precedes the yin(陰) and yang(陽) that represents harmony in the world. So, ‘Tao (Dao) generates the One, the One generates the Two, (yin and yang), the Two generate Three, the Three generate the ten thousand things’, as in the 42nd of 도덕경 Tao Te Ching or Daode jing(道德經) of Lao Tzu, 공(gong, 空) corresponds to Tao(道).
    Like the number ‘0’, something lies between the two antagonistic elements that can be found in our surroundings. For example, doors that divide the inside and the outside. Moreover, the 창호지(changho-ji), the white paper which is stuck to the wooden frame of traditional doors of Korean Hanok Houses reminds us of the neutral ‘0’. 창호지(changho-ji) which is similar to a pause in the margin anda resonance in the 여백(yeobaek), white and empty space in Oriental painting. The whiteand empty space corresponds to the neutral ‘0’ which is a medium that links the two opposite sides, just like rice, bread and water when mixed with other ingredients can create a new taste in the mouth.
    The quality of water equates with 선(禪) seon thinking (or zen thinking in Japanese), and water is comparable to the concept of ‘la fadeur’ (insipidness), according to François Jullien. The tasteless taste sensation is similar to touching the air, and we know that feeling when we experience detachment. When we throw away the habitual sensations of our five senses and detach from all the material things in our life which we believe we own, we get away from all obsession, we meet ‘absolute silence’ in the depths of ourselves, just like the winter tree contains the scents of all spring flowers. This ‘absolute silence’ is accessible through meditation. Contrary to the theory of Descartes who wrote ‘I think, therefore I am’, if I think of nothing, I am a pure state and return to the pristine (or original) state of human beings.
    In an ancient Hindu legend, humans had the same powers as gods, hidden inside them. It corresponds to the illumination that is comparable to the Tao (or Dao, 道) by Lao Tzu, to 선(seon, 禪) and 공(gong, 空) in Buddhism, to what Maurice Merlot-Ponty calls ‘chose (thing)’ or ‘l’Être (being)’, and Gilles Deleuze ‘becoming’ (le devenir), etc. The name does not matter. If you experience the harmony of the universe, a state of clarity: it is just a state of illumination. In serene silence, we feel perfect wisdom, it is the 진공(jin-gong 眞空, absolute emptines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미디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