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孔在憲의《孔夫子聖蹟圖 》연구 (A Study of the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Master Kong(孔夫子聖蹟圖) by Kong Jaeheon(孔在憲))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2.02
27P 미리보기
孔在憲의《孔夫子聖蹟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43권 / 107 ~ 133페이지
    · 저자명 : 조정육

    초록

    본 논문은 孔在憲이 1904년에 간행한 《孔夫子聖蹟圖》를 분석고찰하였다. 孔在憲本은 何出光이 1592년(萬曆20)에 간행한 ‘題와 讚’형식의 공자성적도 계통에 속한다. 조선에서의 ‘題와 讚’형식 은 李箕彦(1697-1743)의 跋文이 적힌 《공부자성적도》(1742)가 현존하는데 공재헌본도 같은 계통 에 포함되어 何出光本이 대세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李箕彦跋文本은 下卷만 남아 있는 상태라서 하출광본 계통의 전체 면모를 파악하기에 아쉬움이 많은 반면 공재헌본은 전체 그림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점이 큰 장점이라 하겠다. 공재헌본은 조선으로의 유입경로와 발행 경위, 제작배포 등에 대한 자료가 비교적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어 근대기의 공자성적도 연구에도 큰 도 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공부자성적도》를 찍었던 목판 판목 60장이 華城 闕里祠에 보존되어 있 는 점도 제작상황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이다. 공재헌본은 현재 목판본과 목판채색본 두 종류가 남 아 있다. 목판채색본은 목판인쇄본에 채색을 올린 것으로 바탕그림은 차이가 없으며 채색을 올린 과정에서 약간의 장식성이 가미되었다. 공재헌본은 이후에 간행되는 공자성적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는데 車奎範이 1924년에 제작한 《공부자성적도》와 安敎煥이 1937년에 제작한 《聖蹟眞像圖》 의 모본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공재헌본의 제작경위와 특징 등을 하출광 본 계통의 다른 공자성적도 등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그 의의를 추론해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In The study is on the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Confucius(孔子聖蹟圖)published by Kong Jaeheon(孔在憲) in 1904. The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Confucius(孔子聖蹟圖) made by Kong Jaeheon(孔在憲) is affiliated with chuguang(何出光) version which was painted with character title(題) or brief commentary(讚) in 1592.Today there exist two category of Pictures of the Holy Traces published in Choson Dynasty period. One is produced by Kim Jinyeo(金振汝) in 1700, and the other is with colophon for the painting made by Lee Kieon (李箕彦) in 1742. He chuguang(何出光) version was the predominant now that Kong Jaeheon version belongs to Lee Kieon(李箕彦) style of painting.Kong Jaeheon version remains intactly today while only the second volume of Lee Kieon(李箕彦)’s version is left, it is hard to figure out He chuguang(何出光) version completely.Kong Jaeheon version is very helpful in studying the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Confucius(孔子聖蹟圖) around 1900 since there are records of publishing purpose and distribution of production along with inflow channel to Chosun Dynasty. We could easily understand the situation in publishing the Pictures as Hwaseong-Gwollisa(華城 闕里祠) set of 60 woodblocks remain today by which printed the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Confucius(孔子聖蹟圖). Today Kong Jaeheon version remain two, wood-block and wood-painted. Wood-painted version is wood-block with colors on it, no difference in pictures but some decorations added while coloring. Kong Jaeheon influences future generations. The Pictures painted by Cha Gyubeom in 1924 and the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聖蹟眞像圖) made by Ahn Gyohwan(安敎煥) in 1937 were all influenced by Kong Jaeheon. The study,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is focused on comparative research of painting motives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between Kong Jaeheon version and He chuguang(何出光).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