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시민영화의 종말과 일탈의 퇴폐화 : 오즈 야스지로의 유실 영화 〈대학은 좋은 곳〉(1936)에 재현된 일상 공간 연구 (The End of Shoshimin Film and the Degeneration of Deviation: A Study of Everyday Spaces Represented in Ozu Yasujiro"s Lost Film, College Is a Nice Place(1936))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3.08
31P 미리보기
소시민영화의 종말과 일탈의 퇴폐화 : 오즈 야스지로의 유실 영화 〈대학은 좋은 곳〉(1936)에 재현된 일상 공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수록지 정보 : 씨네포럼 / 45호 / 93 ~ 123페이지
    · 저자명 : 주우정

    초록

    본 논문에서는 오즈 야스지로의 유실 영화 <대학은 좋은 곳>(1936)에 재현된 대학생들의 일상 생활을 현재 남아 있는 시나리오를 토대로 하여, 특히 그 공간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은 좋은 곳>은 대학생을 주요 등장인물로 하는 학생영화이면서도, 그들이 갖는 졸업과 취업을 통한 소시민 계급으로의 진입에 대한 불안을 다루고 있다는 측면에서 소시민영화 장르의 문제 의식을 공유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영화 속 등장인물들에게서 보이는 이러한 불안감은 1920~30년대에 걸쳐서 지속되었던 일본의 경제 공황과 농업 공황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반영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시민영화에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를 미셸 드 세로토의 개념으로부터 차용한 ‘일탈’, 즉, 집, 회사, 학교 등 근대적 질서가 지배하고 있는 시공간을 벗어나 중간적 성격의 공간에서 모색되는 근대성 비판의 실천 행위들로 보고, <대학은 좋은 곳>의 일상 공간에서 이러한 일탈이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되고 있는가라는 문제를 실내 공간과 외부 공간으로 나누어 각각 검토하였다.
    시나리오 가운데 가장 많은 장면이 등장하는 공간인 하숙집은 이전 오즈의 학생영화 및 소시민영화와는 달리 공간적 일체감은 줄어든 반면, 상대적으로 등장인물들 사이의 활발한 움직임과 소통이 나타나, 이후 오즈 영화에서 점점 강조되는 실내 공간에 대한 관심이 엿보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등장인물들은 하숙집 외부의 세계와는 단절되어 그 경계를 섣불리 넘지 못하고 간접적인 감각으로만 경험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대학은 좋은 곳>에는 거주 공간이나 학교와는 구별되는, 일탈의 가능성을 내포한 다른 외부 공간들도 다수 등장하고 있으나, 좌절과 자조에 빠진 대학생들의 모습은 오히려 이 영화가 일탈의 퇴폐화를 드러내고 있음을 암시한다. 특히 서두와 결말 부분에 반복되어 등장하는 연병장에서의 군사 훈련 장면은 군국주의와 전쟁이라는 새로운 질서에 의해 잠식되어 가는 소시민의 일상을 예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당시 일본의 정치적․경제적 위기를 현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everyday in Ozu Yasujiro's lost film College Is a Nice Place (1936), based on the existing scenario. A college student film in genre, College Is a Nice Place also shares shoshimin film's problematizing view on the middle-class's anxiety of achieving the class status. I recognize one of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the shoshimin film as ‘deviation’, which constitutes criticism of modernity as practiced in the intermediate spaces apart from the time-space ruled by modern order such as home, workplace and school, and examine how such a practice of deviation is represented in the everyday spaces in College Is a Nice Place.
    In their boarding house, where the greatest number of scenes are located, the student characters exhibit comparably active movement and communication, but also reveal a tendency of being unable to overcome the boundary against the outside world. In contrast to the domestic space and school, there appear many other spaces with the possibility of deviation, but the film, witnessing the students under frustration and self-deprecation, suggests how the deviation degenerates into a form of decadence. Most importantly, the drilling scene that repeats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film foresees the petit-bourgeois everyday becomes encroached by the new order of militarism and war, and as such, reflects the political and economic crisis Japan was struggling with in the 193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씨네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