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독과 연대의 변증법 ― 하오징팡의 『고독 깊은 곳』을 읽는 한 가지 독법 (Dialects of Solitude and Solidarity: A Reading of Hao Jingfang’s Collection of Novels, “Deep in Solitud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4.09
32P 미리보기
고독과 연대의 변증법 ― 하오징팡의 『고독 깊은 곳』을 읽는 한 가지 독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어문학지 / 88호 / 145 ~ 176페이지
    · 저자명 : 권혜진

    초록

    소설집「고독 깊은 곳」은 다양한 인간상을 그대로 기술함으로써 삶에 대한 이유와 가치를 묻는다는 점에서 철학적이다. 하오징팡이 자신의 경험에 기반해 단 삼 일만에 완성했다는「접는 도시」속 등장인물들을 “현실주의現實主義”라는 한 마디로 집약해 표현할 수 있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즉, 그녀의 작품 세계에 발을 들인다는 것은 곧 그녀의 시선 속에 비춰진 타인, 바로 우리들 자신을 제대로 들여다보기 위한 준비를 마쳤음을 의미하고 있다. 요컨대, 의미 없이 반복되는 삶 속에서 찾아오는 고독과 권태는 세계와의 분리로 인한 존재적 공허함과 자신의 세계가 침몰해 버리는 고립감을 수반한다. 하지만 그것은 오히려 권태를 극복하기 위한 단초가 되어 삶의 활력소로 전환될 가능성을 품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본 논의에서는 하오징팡이 2016년「접는 도시」로 휴고상을 수상한 이래 처음 출간한 소설집「고독 깊은 곳孤獨深處」을 대상으로 하오징팡의 수상작의 내적 가치와 의의는 무엇이라 이야기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소설집「고독 깊은 곳孤獨深處」에는 수상작「접는 도시」를 비롯해「현의 노래弦歌」,「화려한 한가운데繁華中央」,「우주극장宇宙劇場」,『마지막 남은 용감한 사람最後一個勇敢的人』,『삶과 죽음生死域』,『아방궁阿房宮』,『곡신의 비상谷神的飛翔』,『선산요양원深山療養院』,『고독한 병실孤獨病房』에 이르기 까지 총 10편의 중‧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본 논의에서는 상기 작품들을 고도로 발전된 미래 속에서 가시화된 인간의 존재론적 문제라는 시각에서 접근함으로써 하오징팡이 말하는 추상화된 의미와 상징성을 구체화 하고자 한다. “인간은 차안에, 인공지능은 피안에 있다. 피안에 대한 요원함은 우리가 차안을 비춰보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고 한다면, 하오징팡의 작품 속 외적 세계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내적 세계와 관계할 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유의미하다 할 수 있다. 본 논의에서는 상기 작품들 속 등장인물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모호한 삶의 상황들을 카뮈의 ‘부조리’개념의 선상에 놓고 출발한다. “SF 소설을 쓰는 것은 가능성의 세계를 구상하고 그 세계의 끄트머리에 인물을 세워놓는 일이다. 그때 가장 쉽게 느끼게 되는 것은 탄생과 소외라는 감각이다. 세계에서 떨어져 나오는 느낌보다 더 고독한 것이 있을까.”라고 말하는 작가의 시선은 자신이 어쩌지 못하는 탄생과 죽음에 의해 한계 지워진 인간의 삶과 황량한 현실 세계에 대한 관찰로부터 시작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 소설집 속 인물들은 삶의 의미와 진실을 열렬히 갈구하면서도 삶 속에 드리워진 모호한 삶의 상황과 마주해 곤혹스러워하는 평범한 인간들이다. 부조리에 대한 논의는 곧 삶의 의미에 대한 논의로 직결되는 바, 이는 하오징팡의 작품들을 철학적 성찰로 안내하기 위한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하오징팡의 작품 속 다양한 인간에 대한 묘사가 어떻게 철학과 문학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해내고 있는지 그 논의를 시작해 보자.

    영어초록

    Hao Jingfang’s “Deep in Solitude” masterfully explores the theme of absurdity through a series of interconnected stories that delve into the human condition. Drawing from Camus’ philosophical perspective, the collection presents characters who grapple with the signs of absurdity—loneliness, boredom, and the repetitive nature of daily life. These elements are woven into narratives that highlight the paradox of absurdity: the simultaneous recognition of life’s meaninglessness and the persistent search for meaning within it.
    In the collection, characters like Teacher Lin and his band of resistance fighters rebel against an alien-imposed standardization of art.
    Their struggle reflects Camus’ notion of rebellion as a response to the absurdity of existence. They confront an indifferent universe with acts of defiance, finding purpose in their resistance even when it appears futile.
    Similarly, Lanning’s transformation of an airship into a traveling library and his special connection to the asteroid village of Gokshin embody the search for meaning and beauty amidst isolation. The residents of Gokshin, facing the prospect of their village’s demolition, choose to embark on a perilous voyage rather than succumb to a life devoid of purpose. This decision underscores the human spirit’s resilience and the embrace of the unknown as a form of existential affirmation.
    Hanz, a physics lecturer overwhelmed by the pressures of modern life, exemplifies the individual’s confrontation with absurdity. His journey through a state of existential crisis to a realization about the importance of tension and purpose in life resonates with Camus’ philosophy. Hanz’s introspection and subsequent actions highlight the paradox of absurdity: the necessity to create meaning in a meaningless world.
    Throughout “Deep in Solitude,” Hao Jingfang addresses the human condition and the collective struggle against the absurd. The characters’ actions and decisions are guided by an intrinsic need to assert their freedom and find significance in their lives. This resistance against the inherent meaninglessness of existence is what defines their humanity. In Camus’ view, freedom arises from acknowledging the absurd and choosing to live authentically despite it. The characters in Hao Jingfang’s collection embody this freedom through their refusal to succumb to despair, their pursuit of dreams, and their commitment to personal and communal journeys.
    The narrative ultimately answers the question of what freedom is from an existential perspective. Freedom is the act of defiance against the absurd, the continuous search for meaning, and the embrace of life’s uncertainties. It is found in the courage to pursue dreams, the resilience to face loneliness and boredom, and the collective effort to create purpose in a seemingly indifferent universe. Hao Jingfang’s “Deep in Solitude” thus serves as a profound exploration of existential freedom, illustrating how ordinary people can find extraordinary strength and meaning in the face of life’s absurd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어문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