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조선시대 곰과 범의 역사적 실체와 토템문화의 재인식 (A Study on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Bear and the Tiger in the Gojoseon Period and on the Tradition of Totem Culture)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2.02
55P 미리보기
고조선시대 곰과 범의 역사적 실체와 토템문화의 재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라시아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문화 / 6권 / 73 ~ 127페이지
    · 저자명 : 임재해

    초록

    역사연구는 사료의 기표가 아니라 기의를 해석해야 한다. 실증주의 형식논리에 따라 사료의 기표를 근거로 역사를 부정하는 것은 사료의 오독이자 역사 왜곡이다. 한 편의 건국신화는 불가사의로서 역사라 하기 어렵지만, 여러 편의 건국신화를 모아서 총체적으로 분석하면 신성한 시작의 역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곰과 범은 짐승이 아니라 곰족과 범족을 나타내는 집단 상징 곧 동물토템이다. 이 사실을 인식하게 되면, 고분벽화의 ‘신단수도’와 금동장신구인 ‘환웅천조상’을 통해 환웅은 새토템족이라는 사실도 포착할 수 있다. 그리고 토템으로 표현된 신화적 불가사의가 오히려 더 효과적인 역사 서술의 기법이라는 사실도 확인하게 된다. 집단 상징을 동물로 나타내는 토템문화는 고대 사료와 고분벽화, 장신구 등에 두루 나타날 뿐 아니라, 현대 국가의 정부 휘장을 비롯해서 대학의 마크, 명품의 브랜드 등에서도 지속되고 있는 현재진행형의 문화 현상이다. 집단 정체성을 나타내는 토템문화는 과거의 것이자 현재의 것이며 미래의 것이다.
    단군신화의 곰과 범은 맥족과 예족을 나타내는 토템으로서 역사적 실체로 존재하는 종족이다. 범족인 예는 제천행사로 무천을 행할 뿐 아니라 범 토템족답게 범을 신으로 섬기며 제사를 올리는 전통을 지녔다. 곰족인 맥은 일본어에서 ‘고마(こま)’라 하여 곰을 뜻한다. 곰족은 웅녀로서 환웅과 성혼을 하여 단군을 낳았을 뿐 아니라, 중국 우하량의 여신묘에서 여신상으로 섬겨졌다. 그럼에도 곰신앙은 잠적하고 범신앙이 널리 전승되는 것은 곰족이 환웅족 문화에 적극 동화된 반면에, 범족은 쉽게 동화되지 않고 자기 문화의 정체성을 지켜온 까닭이다.
    한국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시각적 상징성 확보를 위해 현대적 토템문화를 회복할 필요가 있다. 일본의 도리이(とりい)와 중국의 홍등은 각각 자국문화의 정체성을 잘 드러낸다. 현재 한국은 그런 기능을 하는 문화적 상징이 없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마을에 장승과 솟대를 세워 환웅과 단군의 후손이라는 민족 정체성을 표상했다. 이러한 전통을 살려서 마을마다 장승과 솟대를 세워 문화적 정체성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환웅족이 곰족과 범족과 연맹을 이루어 고조선 시대를 열었다. 곰족은 동화되어 문화적 자취가 사라졌지만 범족은 동화되지 않고 일탈하여 자문화를 꿋꿋하게 지켰다. 따라서 한국문화는 천신신앙 외에 범신앙과 산신신앙이라는 다양한 문화를 전승할 수 있었다. 앞으로 외국에서 혼입해 오는 제3세계 여성들을 한국문화에 동화시킬 것이 아니라, 자문화의 정체성을 지키도록 하여 문화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다중문화주의로 가는 것이 미래의 전망이다.

    영어초록

    In historical research, not the signifier but the signified should be interpreted. Denying history based on signifiers in historical records in accordance with the formal logic of positivism is a mis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records and distortion of history. A founding myth is a mystery and can hardly be called history. However, if several founding myths are gathered and analyzed comprehensively, you can see that they are the history of a sacred beginning.
    The bear and tiger in the myth of Dangun are not animals. They are collective symbols in the context of totem culture, and the bear and tiger represent a bear tribe and a tiger tribe, respectively. Based on this recognition, you can understand from Sindansudo (神檀樹圖), a tomb mural, and Hwanungcheonjosang (桓雄天鳥像), a gilt bronze relic that Hwanung represents a bird tribe. Furthermore, you can see that mythological mysteries with totems are rather an effective method of historical narratives. Totem culture, which uses animals as collective symbols, appears not only in ancient historical records, tomb murals and ornaments but also on insignias of modern governments, marks of universities and luxury brand products. It is an ongoing cultural phenomenon. Totem culture, which represents collective identity, is a thing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e bear and tiger in the myth of Dangun are totems representing the maek tribe (貊族) and the ye tribe (濊族), respectively, both of which existed as historical entities. The ye tribe, or the tiger tribe, performed a heaven-worship ritual called mucheon (舞天) and had a tradition of worshiping the tiger as a deity and performing ancestral rites for the animal. As for the maek tribe, the Chinese character 貊 is translated into こま in Japanese, meaning a ‘bear.’ The bear tribe is symbolized as Ungnyeo, the bear woman who married Hwanung and gave birth to Dangun. Ungnyeo was also revered as the statue of a goddess in the goddess shrine at the Niuheliang site. The bear belief disappeared, but the tiger belief has been widely passed on. This is because the bear tribe actively assimilated into the culture of the tiger tribe, while the tiger tribe has maintained the identity of its culture, hardly assimilated.
    Korea needs to restore totem culture in a modern context to establish the identity and visual symbol of the Korean culture. The torii (とりい) of Japan and red lanterns of China well represent the identities of the national cultures. Currently, Korea does not have a cultural symbol functioning like the torii and the red lantern. It was a tradition of Korean villages to set guardian posts and sacred poles, which represented the ethnic identity of Koreans as descendants of Hwanung and Dangun. This tradition needs to be restored by setting guardian posts and sacred poles in all villages across the country, in a bid to express the cultural identity. Totem culture can be a thing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e Hwanung tribe formed an alliance with the bear and tiger tribes as it opened the Gojoseon period. The bear tribe assimilated and its cultural traces disappeared, while the tiger tribe did not assimilate and deviated to firmly maintain its culture. As a result, various cultures, such as tiger deity and mountain deity, have been passed on in addition to the celestial god, in the Korean culture. As to women immigrating to Korea for marriage from Third World countries,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them keep the identities of their cultures and thus obtain cultural diversity instead of having them assimilate into the Korean culture. It is forecasted that multilayered culturalism will replace multicultur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