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於于野談} 소재 <암곰과 함께 산 麟蹄縣 백성> 설화 연구 (A Study of in {Euyadam(於于野談)} / Kim HyeJeo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1.12
28P 미리보기
{於于野談} 소재 &lt;암곰과 함께 산 麟蹄縣 백성&gt; 설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45호 / 127 ~ 154페이지
    · 저자명 : 김혜정

    초록

    <암곰> 설화는 ‘인간과 곰의 결연’이라는 점에서 신화인 <단군신화>와 전설인 <곰나루전설> 등과 공통된 모티프를 공유한다. 또 남자가 도망친 이후 암곰이 죽음에 대한 부분이 언급되어 있어서 <곰나루전설>과 공통된 비극성도 확인된다. 그러나 이야기의 초점이 곰의 비극적 죽음보다는 주인공인 인제현 백성이 부자가 되었다는 점에 모아져 있어서 전설적 성격에서 벗어나 민담의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는 민담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결말에서 지명에 관한 유래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곰나루전설>과는 다른 성격을 띠게 된다.
    <암곰> 설화는 다양한 방식에서 민담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선 ‘인간과 곰의 결연’이라는 <단군신화>의 신화적 모티프를 계승하면서도 수간(獸姦)이라는 음담적 관점에서 인간과 곰의 성교를 묘사하고 있다. 또 곰과 함께 살았던 인제현 백성이 곰이 죽자 곰이 모아놓은 재화를 차지해서 부자가 되었다고 해서 곰의 죽음을 비극적으로 바라보던 전설의 세계를 거부하고 ‘치부담’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다. 인제현 백성이 곰과 결연을 통해 부자가 되었다고 하는 이 부분은 달리보면 인간과 곰이 결연한 결과 단군 또는 새끼를 낳았다고 하는 <단군신화>나 <곰나루전설>과는 다른 세속적이고 현실적인 관점이 반영된 것이다. 또 <암곰>의 결말에서 인제현 백성의 일을 부러워하던 김윤이라는 인물이 이를 흉내냈다가 오히려 곰에 의해 죽게 되었다고 하는 부분은 민담의 ‘따라하다 망하기(모방담)’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이기도 하다.
    <암곰> 설화의 이러한 민담화 경향은 유몽인 개인의 창작적 역량에서 이해할 수 있는 요소도 있고, 이미 유몽인 당대에 ‘인간과 곰의 결연’이 신화와 전설의 세계를 벗어나 민담차원에서 활발히 전승되고 있던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진전된 논의는 『어우야담』에 수록된 또다른 구비설화들을 검토해보면서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Material of <Female Bear> Tale is that man have a connection with bear. It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Dangun Mythology(檀君神話)> and <Bear legend>. <Bear Legend> is a tragic story which female bear died after man run away. The content of <Female Bear> Tale is similar to <Bear Legend>. But the content do not focus death of bear, but focus that Inje-hyeon(麟蹄縣) people became rich. It change from legendary character to folk tale. And contrary to <Bear Legend>, it can not confirm origin of the name of a place in conclusion.
    <Female Bear> Tale become the folktale in various ways. Above all, it take over mythical motive of <Dangun Mythology>, which man have a connection with bear, and describes sexual intercourse of man and animal in terms of bawdy. Second, it emphasizes riches, refusing the view that look at dramatic death of bear. In the story, Inje-hyeon people that lived with bear became rich as they occupied saving money of bear after death of one. This point reflect views of secularization and materialization, compared with <Dangun Mythology> and <Bear Legend>. Third, it borrowed mimic motive from folk tale. Kim Yun who envy an affaire in Inje-hyeon mimiced this but he was died by bear.
    Either the folktale of <Female Bear> Tale can be made by creative power of his, Yoo MongIn(柳夢仁), or very popularity can be handed down by folk tale at the time. Maybe then the tale which man have a connection with bear might get out of mythology and legend. If I investigate another folk tales in 『Euyadam』, I will get better resu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