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곰의 변환과 결합에 관한 상징적 의미에 관하여 (A Study on the Symbolic Meanings on Self-transformation and Unification of Bear)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08
28P 미리보기
곰의 변환과 결합에 관한 상징적 의미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仙道文化 / 29권 / 91 ~ 118페이지
    · 저자명 : 송현종

    초록

    이 글은 인간과 동물이 혼인이라는 관념을 통해서 결합하여 신성한 존재로 변형되거나 신성한 아들을 출산함으로써 존재변형을 성취한다는 신화적 내용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동물 중에서도 곰의 상징성에 주목하면서 사냥의례에 관한 여러 문화적 흔적들과 설화들을 살펴볼 것이다. 곰과 관련한 흔적을 통해 ‘영혼’을 매개로 인간과 곰이 서로 합일한다는 내용적 보편성이 발견됨에 따라 인간의 조상이 곧 곰이라는 관념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간의 조상은 곰의 힘과 특성을 소유하였으며, 인간은 이를 근거로 곰 신, 곰 왕의 관념을 갖추기에 이르게 된 것이다. 시베리아를 중심으로한 구석기문화에서 북유럽 게르만민족의 전통에 이르기까지 곰을 둘러싼 문화를 인류학과 신화학을 중심으로 여러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곰과 인간의 존재변형과 그것이 지닌 개인적-공동체적 의미를 여러 각도에서 조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단군 신화에 단편적으로 드러나는 곰과 관련한 신화소들이 지닌 문화적 의미를 보다 보편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In ‘Ancient Chosun’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re are the two mythic themes as the transformation from bear into human and human-animal marriage occupying the only a small part of it but they have profound implications of mythological and religious aspects. At first, we have to pay sharp attention to the fact that activities for animal rituals specializing in bear in the paleolithic era have mainly been found in ‘cave’.
    Affinity between man and bear based on morphological similarities in appearances could be enough to the second remarkable thing and the last could be involved in the concept of transformation from bear into human vice versa. Most of the cases of transformation are closely related to marriage between human and animal. As a matter of fact, man in ancient times tended to show dual attitudes to bears and it follows; bear as prey for feeding and as godly being to worship. Namely man in the paleolithic era regarded bear as a big game for survival and as a ghostly being for shamanic ritual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notion of human-animal marriage, I construe, is a kind of an acceptable solution to the contradictory problem he faced, not least using a symbolic combination as a heterogeneous hybrid. Man as a result of the marriage between man and animal, is reincarnated in a newly enhanced form, equipped with experiential intelligence and brutal strength. ‘Bear’ in Dankun mythology is directly concerned with the notion of bear worship widespread in northern parts of the world and the tradition of mountain-gods(山神) in Korea. Assuming that bear-skulls were worshiped in the cave in the paleolithic era, shamanism must be a central function in forming the idea of animal trans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symbolic meanings which bear contains. From a mythological approach on the basis of anthropological and historical research, my work aims at discovering symbolic meaning of bear and its ri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仙道文化”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