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식생존형 곰설화에 나타난 타자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Other in Bear Tale in which the Child of a Female Bear is Aliv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1.12
38P 미리보기
자식생존형 곰설화에 나타난 타자에 대한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85호 / 101 ~ 138페이지
    · 저자명 : 박성혜

    초록

    본고는 암곰과 인간이 만나서 자식을 낳고 헤어지는 이물교혼의 모티프를 담고 있는 곰설화 중 자식이 죽지 않고 살아있는 자식생존형 곰설화를 중심으로, 해당 설화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 설화를 통해 볼 수 있는 전승자들의 타자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사에서 언급되었던 곰나루형 민담과 달리 본고에서 소개한 자식생존형 곰설화는 서사의 흐름도 다를 뿐만 아니라, 설화의 갈래 상 민담에 포함될 수 없는 차이점을 보여주며, 이여송 설화와 결합된 것이 확인된다.
    암곰과 남자가 결연을 맺는 모티프를 공유하는 곰설화와 비교했을 때, 암곰이 자식을 출산하는 자식생존형 곰설화는 암곰이 죽지 않는 것으로 형상화되는 것, 암곰의 자식이 살아남아 비범한 인물로 그려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 때 암곰은 적극적으로 남자와의 결연을 추진하고 자연 내의 자신의 자리와 정체성을 버리지 않은 채로 남자와 분리된다. 이는 기존에 곰설화의 암곰이 자살을 하거나, 변신을 하는 등의 모습과 비교해 보았을 때, 설화의 전승자들이 암곰의 수성이 부정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여송, 이효식과 같이 구체적인 인물로 형상화되는 자식의 모습은 설화의 전승자들이 이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암곰의 자식은 태생적으로 수성과 인성 모두를 가지고 있는데, 스스로 인성에 더 무게중심으로 두고 수성 중의 특정한 자질만을 긍정하는 형태로 형상화되었다. 또한 암곰의 자식이 인간 사회에서 배척되지 않고 위대한 장수나 일류선비로 자리 잡는 모습은 인간사회 내에서 나름의 자리를 갖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설화의 전승자들이 자아와 타자의 차이점을 인정하되 서로를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를 추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 of a bear tale that contains the motif of a marriage between man and female bear, in which the child of a female bear is alive. And through this analysis, this paper finds out the perception of the other of the people who passed down this story. This bear tale which the bear’s children are still alive is quite different from a bear tale in Korea; the storyline, genres of oral tales, and relevance to folktales of Lee Yeo-song.
    Compared to the bear story which contains the motif of a relationship between a female bear and a man, the bear tale in which the bear’s children are still alive have characterized by the female bear not dying, and the bear's child being portrayed as an extraordinary figure. At this time, the female bear actively pursues a relationship with the man and is separated from the man without abandoning her place and identity in nature. It can be seen that the people who passed down this story did not deny the female bear's animality. Because, in other bear tales, the female bear commits suicide when the man leaves.
    In particular, the appearance of the bear’s children, such as Lee Yeo-song and Lee Hyo-sik, is important in that it shows how the people who pass these tales on the other perceived the foreign being. The female bear's offspring are natively both animality and personality. but the child chooses personality and he accepts only part of animality which is good for him. Also, the appearance of the female bear’s child is not ostracized in human society. he settles down as a great general or a first-class scholar. This can be evaluated as the pursuit of a state in which the storytellers acknowledged the different person with the foreign beings, but they did not separate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