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몇몇 ‘나무’ 이름의 어휘사 -‘개암나무, 곰솔, 구기자나무, 물푸레나무’를 중심으로- (Lexical history of ‘Tree’ Names -About ‘개암나무(Asian hazel), 곰솔(Black pine), 구기자나무(Chinese matrimony vine), 물푸레나무(East Asian ash)’-)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10
33P 미리보기
몇몇 ‘나무’ 이름의 어휘사 -‘개암나무, 곰솔, 구기자나무, 물푸레나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연구 / 63호 / 47 ~ 79페이지
    · 저자명 : 조항범

    초록

    본고는 ‘나무’ 이름을 국어 어휘사의 관점에서 검토하여 궁극적으로는 그 어원을 밝히고자 하는 일련의 노력 가운데 하나이다. 본고에서 다룬 나무 이름은 ‘개암나무, 곰솔, 구기자나무, 물푸레나무’이다.
    ‘개암나무’에 대해서는 ‘개암’이 접두사 ‘개-’와 명사 ‘밤[栗]’의 결합체인 ‘*개ᄫᅡᆷ’에서 온 것이라는 기존의 설을 비판하고, 기원형 ‘*개ᄀᆞᆷ’이 ‘*개ᄋᆞᆷ’을 거쳐 나온 어형임을 추정하였다.
    ‘곰솔’에 대해서는 ‘곰’을 ‘熊’이나 ‘大’의 뜻으로 보는 기존의 설을 비판하고, 형용사 어간 ‘검-[黑]’의 변화형으로 간주하였다. 곧 기원형을 ‘검솔’로 잡고, 이것이 ‘곰솔’로 변한 것으로 파악하여 나무껍질이 검은색이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해석하였다.
    ‘구기자나무’에 대해서는 열매 이름 ‘구기자(枸杞子)’와 ‘나무’가 결합된 형태로 보고 ‘구기자가 달리는 나무’로 해석하였다. ‘구기자나무’ 이전에 ‘구긔(枸杞)’와 ‘구긔나모’, 그리고 열매 이름에서 나무 이름으로 전용된 ‘구긔ᄌᆞ’가 있었는데, 이들이 현대국어에 ‘구기, 구기나무, 구기자’로 이어졌으나 ‘구기나무’는 현재 표준어가 아님을 지적하였다.
    ‘물푸레나무’에 대해서는 기원형을 ‘*믈프레나모’로 잡고 이를 나무 이름 ‘*믈프레’에 ‘나모[木]’가 잉여적으로 결합된 어형으로 보았다. 그리고 ‘*믈프레’는 ‘믈[水]’과 ‘프레(프르-+-에)’로 분석하여 ‘물을 푸르게 하는 것’ 정도로 해석하였다. ‘*믈프레나모’는 ‘무푸레나무’로 변하여 20세기의 얼마간까지 쓰였으나 ‘ㄹ’을 회복한 ‘물푸레나무’를 표준어로 삼으면서 대표성을 잃었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rying to review some etymologies of 4 tree names and find out the convincing their original forms by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analysis of them. The tree names, which are studied here, are ‘개암나무’(Asian hazel), ‘곰솔’(Black pine), ‘구기자나무’(Chinese matrimony vine), ‘물푸레나무’(Asian ash).
    For the word ‘개암나무’, this paper disproves the existing explanation that ‘개암’(a hazelnut) came from the word ‘*개ᄫᅡᆷ’, the combination of ‘개-’, a prefix and ‘밤[栗]’(a chestnut), a noun. It is assumed that the word came from ‘*개ᄀᆞᆷ’, an original form, and then has become the form of ‘*개ᄋᆞᆷ’.
    For the word ‘곰솔’, this paper disproves the existing explanation and considers the ‘곰’ is not from ‘熊’(a bear) nor ‘大’(big enough) but from the changed word form of ‘검-[黑]’(a black color), an adjective stem.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its original form is ‘검솔’ and the word has changed into ‘곰솔’ and the name has been made since the bark of the tree is black color.
    For the word ‘구기자나무’, it is assumed that ‘枸杞子’, a fruit name combines with ‘나무’(tree), a word. Therefore the word refers to ‘구기자가 달리는 나무’, a tree with the fruit of Chinese matrimony vine. The paper found that before the appearance of the word ‘구기자나무’, the words ‘구긔(枸杞)’ and ‘구긔나모’ were used for referring to the tree.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fruit name ‘구긔ᄌᆞ’ referred to the tree and they remain as ‘구기’, ‘구기나무’, and ‘구기자’ in modern Korean dictionary. But the ‘구기나무’ is not the current standard language.
    For the word ‘물푸레나무’, it shows up in the early 17th century literature as a form ‘무푸레나모’. It is might be assumed that the word exists as a reconstructed form, ‘*믈프레나모’ in the earlier part of the 15th century, considering a Chinese form, ‘水靑木’, written by a borrowed writing system at that time. It could be assumed that ‘*믈프레나모’ is a word form a tree name, ‘*믈프레’ combined with a redundant word ‘나모’. In addition, ‘*믈프레’ is composed of ‘믈[水, water]’ and ‘프레’, of which ‘프레’ is a root form ‘프르-[靑, blue]’ combined by a suffix, ‘-에’. Consequently, a reconstructed form ‘*믈프레’ is interpreted ‘the thing that makes water blue’, and becoming a tree name in itself. The above naming is reflected by the fact that breaking its branch and putting it in the water, makes the water taking on the blue color drawing from the branch. The form, ‘*믈프레’ had been used until the earlier part of the 20th century through a series of changes, ‘*므프레>무프레>무푸레’, but now ‘물푸레’ is a normative form with a recovered coda ‘ㄹ’. Also a form, ‘*믈프레나모’ had been used during a short time after te 20th century through a series of changes, ‘*므프레나모>무프레나모>무푸레나무’, but it gave its status of a normative form to ‘물푸레나무’ as soon as ‘물푸레’ became a normative form instead of ‘무푸레’.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