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0세 이상 한국인의 성·연령군별 우유류와 두류 섭취량과 골 건강과의 관련성 : 2008~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Sex- and age group-specific associations between intakes of dairy foods and pulses and bone health in Koreans aged 50 years and older: Based on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6.06
14P 미리보기
50세 이상 한국인의 성·연령군별 우유류와 두류 섭취량과 골 건강과의 관련성 : 2008~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49권 / 3호 / 165 ~ 178페이지
    · 저자명 : 서현비, 최영선

    초록

    본 연구는 50세 이상 한국인을 성·연령군으로 나누어 골밀도에 근거한 골 건강상태와 우유류와 두류 섭취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 2011년)에 참여한 만 50세 이상 남성 3,201명과 여성 3,581 명을 대상으로 ‘50~64세 남성’, ‘50~64세 여성’, ‘65세 이상남성’, ‘65세 이상 여성’ 성·연령군 집단으로 나누어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의 골 건강상태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섭취량을 비교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우유류와두류 섭취빈도에 따른 골다공증 오즈비를 구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9.3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처리는층화, 집락, 가중치를 고려한 복합표본설계 자료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50~64세 남성 1,721명 중 3.8%, 65세 이상 남성 1,480명중 13.1%가 골다공증이었으며, 50~64세 여성 1,950명 중15.9%, 65세 이상 여성 1,631명 중 63.0%가 골다공증이었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4~5배 정도 골다공증 비율이 높고, 남녀 모두 연령 증가와 함께 골다공증 발생이 증가 하였다.
    모든 성·연령군 집단에서 대상자의 체중과 체질량지수는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순이었다.
    에너지, 단백질, 나트륨, 칼륨, 칼슘 및 비타민 C 섭취량은 남성의 경우 전반적으로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순이었으며, 여성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칼슘 섭취량의 사분위 섭취량에 따른 골다공증 오즈비 (OR)가 연령, BMI, 에너지 섭취량에 의한 보정 후 50~64세 여성과 65세 이상 남성에서 4사분위 섭취량이 1사분위 섭취량에 비해 유의하였으며, 칼슘섭취량이 많을수록 골다공증이 감소하는 경향성 (p for trend = 0.01)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음주, 흡연, 신체활동도 포함하여 보정한 후 경향성은 각각 p값이0.055, 0.051 수준으로 낮아졌다.
    50~64세 남성에서 골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우유류와 우유 섭취량은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50~64세 여성에서는 골다공증군의 우유류와 우유 섭취량이 골감소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두류와 두부 섭취량은 모든 성·연령군에서 골 건강상태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 및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50~64세 남성에서 우유 섭취빈도는 골다공증 위험 감소와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이지 않은 반면에 65세 이상 남성에서는 우유 섭취빈도가 월 1회 미만에비해 주 2회 이상일 경우 골다공증 위험 (OR 0.45, 95% CI 0.24~0.85)이 감소하였고, 감소하는 경향성 (p for trend = 0.022)을 보였다. 50~64세 여성에서 우유를 월 1회 미만 섭취하는 것에 비해 월1회~주1회 (OR 0.63, 95% CI 0.41~ 0.98) 섭취할 경우 오즈비가 유의하게 낮았다. 요구르트의경우 50~64세 여성에서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골다공증 위험이 감소하는 경향성 (p for trend = 0.019)을 보였다. 모든성·연령군에서 두부 섭취빈도와 골다공증 위험과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두유를 주 2회 이상 섭취한 65 세 이상 여성군에서는 골다공증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혈청 25-hydroxy vitamin D 농도는 50~64세 여성에서 골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뚜렷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여성의 경우는 50~64세 연령시기에 칼슘 섭취량, 우유 및 요구르트 섭취와 골다공증 위험 감소 사이에 연관성이 있으며, 남성의 경우 65세 이후칼슘 섭취량과 우유 섭취와 골다공증 위험 감소 사이에 연관성이 있었다. 반면 두부, 두유 등 두류 섭취는 골다공증위험 감소에 효과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50세 이상 한국인에서 성 · 연령군에 적절한 골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식생활 및 생활습관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associations of intakes of milk and dairy products, pulses, and soy foods with bone health in Koreans aged 50 yr and older. Methods: A total of 3,201 men and 3,581 women aged 50 yr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grouped by sex and age groups of 50~64 yr and 65 yr and older. Subjects within each sex and age group were divided into three bone health groups: normal, osteopenia, and osteoporosis groups based on bone mineral density. Intakes of nutrients and foods derived from 24-hour recall data were compared among three bone health groups. Associations between intake frequencies of foods, including milk, yogurt, tofu, or soy milk, and osteoporosis risk were evaluated based on confounding risk factor-adjuste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Calcium intake was in the order of normal, osteopenia, and osteoporosis in men (p < 0.01) and women (p < 0.05) aged 50~64 yr as well as in men aged 65 yr and older (p < 0.001). In women aged 50~64 yr, intake of milk and dairy products was lower in the osteoporosis group (p < 0.01) as compared with the osteopenia group. Intake of pulses or tofu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bone health groups. Odds ratio (OR) for milk intake frequency (≥ 2 times/week) compared to intake frequency less than 1 time/month was 0.45 (95% CI 0.24~0.85, p for trend = 0.022) in men aged 65 yr and older. The OR for yogurt intake frequency (1 time/month~1 time/week) was 0.47 (95% CI 0.30~0.73, p for trend = 0.019) in women aged 50~64 yr. Intake frequency of tofu or soy milk was not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of osteoporosis in all groups. Conclusion: Dairy food intak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ne health, and its effect was sex- and age group-specific, whereas soy food intake was not. Dietary intervention to prevent osteoporosis would be effective for women aged 50~64 yr old and for men aged 65 yr and ol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