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생활 복원을 통해 본 조선시대 중·후기 사회경제사의 일면 - 호남 지역 유적 출토 인골에 대한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The Socioeconomy of the Mid-to-late Joseon Dynasty, Recorded in Stable Isotopes of Human Bone Collagen from Honam Province Sites in Kore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5.12
24P 미리보기
식생활 복원을 통해 본 조선시대 중·후기 사회경제사의 일면 - 호남 지역 유적 출토 인골에 대한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97호 / 208 ~ 231페이지
    · 저자명 : 신지영, 최현구, 이준정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완주 덕동, 전주 유상리, 순창 동촌, 영광 월평리 등 호남 지역 조선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인골 34개체에 대해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여 조선시대 식생활의 구체적인 양상을 밝히고, 나아가 지역, 성별, 연령, 신분, 그리고 병리적 징후의 유무에 따라 안정동위원소 값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사회경제적 요소에 따라 식생활에 차별이 있었는지를 논하고자 한다.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완주 덕동 유적 δ13C= -19.2±0.6‱, δ15N= 11.3±0.6‱ (n=7), 전주 유상리 유적 δ13C= -19.1±0.6‱, δ15N= 11.3±0.8‱ (n=23), 순창 동촌 유적 δ13C= -19.6±0.3‱, δ15N= 10.5±0.7‱ (n=2), 영광 월평리 유적 δ13C= -19.3±0.1‱, δ15N= 11.2±0.4‱ (n=2)의 분포를 보인다. 34개체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평균값(δ13C)은 –19.2±0.6‱이며 대부분 유사한 범주 내에 밀집된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지역, 성별, 연령, 신분에 상관없이 쌀을 비롯한 C3 식물을 주식으로 섭취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영양 단계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질소 안정동위원소 값(δ15N= 11.2±0.8‱)은 지역, 성별, 연령, 신분, 그리고 영양학적 스트레스로 해석되는 선형 에나멜 형성부전증과 과골증 등 병리적 징후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삼국시대의 경우 성별, 계층, 지역에 따라 안정동위원소 값이 크게 다르게 나타난 것과는 대조적으로조선시대에는 사회경제적 요소와 무관하게 고른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전반적으로 식생활의 균등화가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최근 조선시대 사회경제사 연구에서 제기된바, 조선시대 중기 이후 농업생산력이 증가하고 사회경제적 구조가 변화하면서 쌀의 분배가 비교적 고르게 이루어졌다는 견해를 뒷받침할 만한 결과가 실제 섭취량을 알 수 있는 안정동위원소 분석에서 도출되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Joseon Dynasty, which lasted for five centuries (1392 to 1897), has left a significant amount of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remain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reconstructing dietary patterns since the stable isotope results of only five individuals have been reported to date. Here we present the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 results of 34 Joseon individuals from sites of the Honam Province in order to reconstruct palaeodietary patterns and to understand socioeconomic phenomena based on region, sex, age, status and disease. The average values of δ13C and δ15N are as follows: Wanju Dukdong site (δ13C= -19.2±0.6‱, δ15N= 11.3±0.6‱ (n=7)), Jeonju Yusang-ri site (δ13C= -19.1±0.6‱, δ15N= 11.3±0.8‱ (n=23)), Sunchang Dongchon site (δ13C= -19.6±0.3‱, δ15N= 10.5±0.7‱ (n=2)), Yeonggwang Wolpyeong-ri site (δ13C= -19.3±0.1‱, δ15N= 11.2±0.4‱ (n=2)). The stable carbon isotopic results of the Joseon individuals (δ13C= -19.2±0.6‱, n=34) indicate a highly C3-based diet. There is little variation in stable nitrogen isotopes with regard to sex, age, or status based on burial type (lime-mortar burial and pit tomb). By comparing the palaeodiet of the Joseon period with that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stable isotope results imply that rice had become a staple of the everyday diet of the Joseon population. Due to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socioeconomic phenomena, dietary patterns became standardized in the Joseon period regardless of sex, age and stat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