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폐경 후 여성 커피소비자에서 우유섭취여부에 따른 골밀도와 영양상태 비교 : 2008∼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Bone mineral density and nutritional state according to milk consumption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who drink coffee: Using the 2008~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yu)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6.10
11P 미리보기
한국 폐경 후 여성 커피소비자에서 우유섭취여부에 따른 골밀도와 영양상태 비교 : 2008∼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49권 / 5호 / 347 ~ 357페이지
    · 저자명 : 유선형, 서윤석

    초록

    한국인의 최근 커피소비의 급격한 증가는 카페인의 과다 섭취로 이어지고 이는 칼슘흡수를 낮춰 골밀도 저하를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폐경 후 여성 커피소비자에서 우유섭취 여부가 골밀도에 차이를 가져올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 3차년도(2008년, 2009년) 자료를 이용하여 50세 이상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갑상선장애, 만성질환, 암을 진단받거나 치료받는 자, 골다공증 치료를 받는자와 여성호르몬제 복용자를 제외한 1,37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커피와 우유 섭취 여부에 따라 커피는 섭취하나 우유를섭취하지 않는군 (커피군), 커피와 우유를 모두 섭취하는군 (커피·우유군), 커피를 섭취하지 않으면서 우유를 섭취하는군 (우유군), 커피와 우유를 모두 섭취하지 않는군 (비섭취군)의 네 군으로 분류하고 부위별 골밀도와 영양상태를 비교하였다. 모든 자료는 해당 년도의 가중치를 적용한후 일반선형모델을 사용하였고, 골밀도 비교시에는 연령, 체질량지수, 신체활동, 음주, 흡연, 칼슘섭취량을 보정하여분석하였다. 유의성은 α = 0.05 수준에서 검토하였다.
    1) 전체 대상자 중 커피·우유군은 65세미만의 젊은 층이많고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고, 도시 거주자가 많았다.
    반면에 비섭취군과 커피군은 65세 이상이 많고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으며 읍·면 거주자가 많았다. 커피·우유군에서 음주자의 비율이 높았으나, 신체적 활동 정도나 흡연에서는 군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총대퇴골과 요추부위의 골밀도 및 T-score값은 커피·우유군에서 세 군에 비해 가장 높았고 우유군, 커피군의 순으로 높았으며, 비섭취군에서 가장 낮았다. T-score값으로 골건강상태를 판정하였을 때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커피·우유군에 골밀도 정상 해당자가 많고 우유군, 커피군이 그 뒤를 이었고, 비섭취군에 골다공증 해당자가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3) 허리둘레를 제외하고는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 제지방조직량이 커피·우유군에서 모두 높았다. 반면에 커피군은 커피·우유군에 비해 이들 체위계측치가 모두 낮았고, 또한 우유군에 비해 신장은 낮고 체중은 높아 체질량지수가 높고 허리둘레도 높은 대신 제지방량은 낮았다. 우유군은 네군 중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가장 낮고 제지방량은커피·우유군 다음으로 높았다. 비섭취군은 네군 중 체중, 신장, 제지방량이 가장 낮았고 허리둘레는 가장 높았다. 혈청부갑상선호르몬 농도는 비섭취군에서 높았고 우유군에서가장 낮았다.
    4) 커피·우유군은 대다수 식품군의 섭취 빈도가 다른 세군에 비해 높았다. 우유군은 총곡류와 우유류를 제외하고대다수 식품군의 섭취빈도가 커피·우유군에 비해 낮았으나, 육·난류, 어류, 버섯류와 과일류는 커피·우유군에 필적하는 수준이었고 커피군에 비해서는 대다수 식품군에서더 높은 섭취빈도를 나타내었다. 영양소섭취상태는 조사대상 영양소 중 나트륨과 칼륨에서만 유의성이 없었을 뿐, 칼슘을 포함하여 에너지, 단백질과 인, 철분, 비타민 C와 지방에너지비가 두 우유군 (커피·우유군과 우유군)에서 비슷하게 높았고, 5개 영양소의 평균 영양소적정섭취비 (MAR) 역시 두 우유군에서 높았다. 반면에 커피군과 비섭취군은다수 식품군의 섭취빈도가 낮게 나타났고 미량 영양소의섭취 수준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한국 폐경 여성 커피 섭취자에서커피 비섭취자에 비하여 골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커피와 우유를 함께 섭취한 군이 커피 단독군에비해, 또 커피를 안 마시고 우유만 섭취하는 군에 비해 골밀도도 높고 체위와 체조성과 무기질 및 전반적인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피 단독군에 비해, 우유만 섭취하는 군이 골밀도와 체조성 및 영양섭취상태가 모두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한국 폐경여성에서우유를 포함한 다양한 식품군과 균형잡힌 영양섭취를 하는 경우, 단순히 커피 섭취가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bone mineral density and nutritional state according to consumption of milk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who drink coffee. Methods: Using the 2008~2009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 total of 1,373 postmenopausal females aged 50 yrs and over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those with diseases related to bone health. According to coffee and/or milk consumption,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ffee only, both coffee & milk, milk only, and none of the above. All data were processed after application of weighted values and adjustment of age, body mass index, physical activity, drinking, and smoking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For analysis of nutrient intake and bone density, data were additionally adjusted by total energy and calcium intake. Results: The coffee & milk group had more subjects younger than 65 yrs and higher education, urban residents, and higher income than any other group. The coffee only group showed somewhat similar characteristics as the none of the above group, which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subjects older than 65 and in a lower education and socio-economic state. Body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and lean mass were the highest in coffee & milk group and lowest in the none of the above group. On the other hand, the milk only group showed the lowest values for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whereas percent body fat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e coffee and milk group showed the highest bone mineral density in the total femur and lumbar spine as well as the highest nutritional state and most food group intakes, followed by the milk only group, coffee only group, and none of the above group. In the assessment of osteoporosis based on T-score of bone mineral density, although not significant, the coffee and milk group and milk only group, which showed a better nutritional state, included more subjects with a normal bone density, whereas the none of the above group included more subjects with osteoporosis than any other group. Conclusi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might not be affected by coffee drinking if their diets are accompanied by balanced food and nutrient intake including mil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