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장기 아동의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체계측치, 사회경제적 요인, 가족력 및 기타 환경요인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Children: Antropometric Measurements, Socioeconomic Factors, Family History,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04.01
9P 미리보기
성장기 아동의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체계측치, 사회경제적 요인, 가족력 및 기타 환경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37권 / 1호 / 52 ~ 60페이지
    · 저자명 : 박정난, 김경희, 이상선

    초록

    학령기 아동의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신체계측치, 사회경제적 요인, 골다공증 가족력 및 기타 환경적 요인들에 따른 골밀도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서울 소재 초등학교 2학년 학생 160명 (남녀 각 80명씩)을 대상으로 측정한 골밀도와 각 요인들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신장은 127.8 cm, 체중은 28.4 kg이며 성별간 비교에서는 체중, 허리둘레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조사 대상자 요추 평균 골밀도는 0. 677 g/cm2, 대퇴골 평균 골밀도는 대퇴경부 0.637 g/cm2, 대퇴전자부 0.618 g/cm2, 와드삼각부 0.658 g/cm2로 나타났다. 모든 부위의 골밀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요추의 L2부위와 대퇴경부, 대퇴전자부에서는 남학생의 골밀도가 여학생의 골밀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RBW는 전체 대상자의 요추 및 대퇴경부 골밀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여학생의 경우 신체계측치와 골밀도와의 상관계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요추 골밀도에서는 엉덩이 둘레, 체중, 신장 순으로, 대퇴경부 골밀도에서는 신장, 체중, 엉덩이 둘레 순으로 상관성이 높았다. 4) 조사 대상자 가구별 월평균소득은 25만원이었으며, 20만원 이상인 경우가 전체의 78.7%이었다. 아버지 학력은 고졸이하가 3.1%이고, 대졸 이상이 6.9%이었고, 어머니는 고졸 이하가 49.4%, 대졸이상이 50.6%로 아버지의 학력이 어머니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가정의 월평균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요추 골밀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대퇴경부의 골밀도에서는 유의적인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는 요추와 대퇴경부 모두에서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조사대상자의 골다공증 가족력에 대한 결과에서는 전체의 18.1%가 골다공증의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골다공증 가족력이 있는 대상자의 대퇴경부 골밀도는 골다공증 가족력이 없는 대상자의 골밀도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6) 조사대상자의 가족 형태는 핵가족인 경우가 전체의 82.3%이었으며, 가족 형태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는 없었다. 대상자 출산시 어머니 나이가 25세 이하였을 경우 대상아동의 대퇴경부 골밀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출산시 어머니 연령과 대퇴경부 골밀도간의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 외에 대상자의 임신기간, 대상자의 출생시 체중, 대상자에 대한 수유 방법에 따른 골밀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7) 조사 대상자들의 골밀도 측정치 변이에 설명력 있는 인자를 밝히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한 결과, 요추 골밀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변수는 엉덩이둘레 (p = 0.0)와 신장 (p = 0.036)으며, 대퇴경부 골밀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변수는 신장 (p = 0.02), 허리둘레 (p = 0. 044), 출산시 어머니 연령 (p = 0.03)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경우 성별, 신장, 체중, 활동량 이외의 유전적 조건이나 사회경제적 요인 및 일부 기타 환경적인 요인들이 골밀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는 본 연구에서 실시된 학령기의 골밀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인자들에 대한 추적조사 및 다양한 종단연구가 필요하며, 이보다 더 낮은 연령은 물론이고 임신시의 여러 인자들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들에서 유년기 또는 더 이전인 임신시나 출생초기의 골밀도가 성인이나 노년기의 골밀도와 관련이 있다는 결과가 나오게 되면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은 유년기에서부터 뿐만 아니라 훨씬 더 이른 시기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ocioeconomic factors, family history of osteoporosi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BMD in children. One
    hundred sixty children (80 males, 80 females) in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recruited; the mean
    age was 7.7 ± 0.47 years.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in the lumbar spine (LS), femoral neck (FN), femoral
    trochanter (FT), and Ward’s triangle (WT)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Socioeconomic factors,
    family history of osteoporosi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were assessed by questionnaire. Bone mineral densities
    of LS, FN, FT, and WT were 0.677, 0.637, 0.618, and 0.658 g/cm2. BMD of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LS:
    0.685 vs. 0.669, FN: 0.660 vs. 0.614, FT: 0.632 vs. 0.604, WT: 0.678 vs. 0.639 g/cm2). Anthropometric measurements
    (height, weight, relative body weight, circumference of waist and h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D. With increasing
    family income, BMD of LS was significantly lowered, and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mother’s age
    at birth of subject and the BMD of FN. And the BMD of children with a family history of osteoporosis was significantly
    lower. However BMDs were not different by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family pattern, delivery term, birth weight,
    and type of feeding.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factors affecting BMD of children and earlier age, included
    infants and even prenatal life. If any association is revealed and persist until the attainment of peak bone mass, osteoporosis
    prevention programs are needed to be start very early in the life cycle. (Korean J Nutrition 37(1): 52 ~ 60, 2004)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