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영동고분군 출토 인골과 동물 뼈의 분석을 통한 고대 경산지역의 계층별 식단 복원 (Reconstruction of Human Diets in the Ancient State Based in Gyeongsan Using Stable Isotope Analysis on the Human and Animal Bone Remains from the Joyeong-dong Mounds, South Kore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2.12
28P 미리보기
조영동고분군 출토 인골과 동물 뼈의 분석을 통한 고대 경산지역의 계층별 식단 복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2권 / 4호 / 859 ~ 886페이지
    · 저자명 : 최경철, 김대욱, 정상수

    초록

    본 연구는 경산 임당유적 가운데 조영동고분군에서 출토된 인골과 동물 뼈의 골화학적 분석을 통해 당시의 식생활을 복원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골화학 분석에 앞서 시료의 탄소연대를 측정하여 시료의 정확한 연대를 파악하고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과 통계학 모델인 MixSIAR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식료 비율을 계산하고자 하였다. 조영동고분군 출토 인골 및 동물 뼈의 탄소연대측정 결과 단곽묘 출토 인골은 대략 80BC의 연대를 보였으며, 주부곽묘 출토 인골은 170 AD~394 AD 연대를 보였다. 그리고 안정동위원소 분석결과 당시의 사람들은 C3계열의 곡물과 과실을 주로 먹었으며, 동물성 식료로는 야생 조류와 어패류를 주로 먹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분에 함께 매장되었던 조류와 어패류들은 매장 의례 공물이었을뿐만 아니라 당시에 평소에도 자주 먹었던 식재료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체 식단의 구성에서 꿩이나 기러기와 같은 야생조류의 비중이 매우 높았는데, 이를 통해서 당시 사람들이 조류 사냥에 집중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계층별 식단에서도 주피장자의 조류와 어패류 비중이 순장자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보아, 당시 사회적 지위에 따라 섭취했던 음식이 서로 달랐음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경산지역 고대사회의 식생활과 생업경제를 복원하고, 계층 간의 식단 차이가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 values of human (n = 30) and animal (n = 14) remains from the Joyeong-dong burial mounds near Gyeongsan City, South Korea,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human and animal bones from each burial type also were radiocarbon dated in order to construct the absolute chronology.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reconstruct human diets and social structures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the stable isotope analysis of human and fauna remains from the Joyeong- dong mounds. Radiocarbon dating results showed that the Joyeong-dong burials were used from approximately 80 BC to 394 cal BC. The isotopic data indicate that the ancient people of Imdang consumed a diet mainly based on domesticated C3 plants and wild games (birds and herbivores). The results from the MixSIAR model showed that game birds represente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he overall diet of the Imdang people, indicating that the intensive hunting of game birds took place.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elites consumed more animal proteins than their retainer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elites, the contribution of marine animals in the overall diet was high, suggesting that the regular consumption of marine fish and shellfish were a privilege for the elite class. Our study confirms that Imdang society was a highly stratified society where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terms of access to food resources available to each individual.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that the sacrificed animals found inside the graves had been used both as edible food items, as well as grave goods symbolizing the wealth of the deceased. This research therefore provides new information about the nature of resource use and social status in an early ancient state (Apdok-guk) on the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