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의 농촌과 불가능한 혁명의 서사—오유권의 『방앗골 혁명』을 중심으로 (Post-war Countryside and The Narrative of The Impossible Revoluti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2.06
39P 미리보기
전후의 농촌과 불가능한 혁명의 서사—오유권의 『방앗골 혁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8권 / 2호 / 353 ~ 391페이지
    · 저자명 : 이민영

    초록

    본 논문은 오유권의 『방앗골 혁명』에 나타난 혁명의 서사에 주목하여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혁명의 문학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960년대는 새로운 혁명의 의미들이 등장하였고 또 동시에 좌절되었던 시기였다. 하지만 실제로 혁명의 당대적 의미를 다루는 작품들은 많지 않다. 오유권은 농촌 사회를 배경으로 혁명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마을의 봉건적 신분제도를 분열과 갈등의 원인으로 설명하는 『방앗골 혁명』은 계급 갈등의 문제를 가시화하면서 금기된 혁명의 가능성들을 드러낸다. 또한 전장이 아닌 평화로운 농촌의 풍경을 통해 잔혹한 전쟁의 폭력성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이념 갈등을 넘어서 평화와 결속을 추구하려는 의지를 형상화한다. 이 과정에서 주인공인 순태와 금순의 사랑은 상촌과 하촌의 계급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평화적인 대안으로 등장한다.
    낭만적 사랑을 통해 추동되었던 『방앗골 혁명』의 혁명적 의지들은 강력한 반공 이데올로기 내부에서 좌절된다. 좌익의 경력을 지닌 주인공은 전쟁을 통해 반공의 외부는 없다는 현실을 확인한다. 그리고 정치적 발화가 금지된 마을에서 갈등의 해소를 위해 혈연적 결속을 시도한다. 일부다처의 가족제도는 상촌과 하촌의 사이에 놓여있는 분열과 갈등의 불안들을 봉합하는 유일한 방안으로 등장한다. 결국 모든 폭력과 복수를 금지하는 평화의 혁명론은 퇴행적인 원시 공동체라는 형태로 종결된다.
    이 같은 혁명의 담론은 전망을 상실한 1960년대 혁명 정신의 거울상과 같다. 전후 방앗골의 뿌리 깊은 불평등과 학대의 문제는 더 이상 혁명의 목표가 되지 못하고, 퇴행된 혁명의 의지는 방앗골의 역사성과 지역성을 삭제하여 방앗골을 하나의 신화적 공간에 대한 상상태로 전환시킨다. 이 같은 방앗골의 혁명 서사는 민족에 대한 상상을 신화화하면서 농촌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의 원형적인 구조를 드러낸다. 그리고 분단 사회에서 혁명의 정신이 어떠한 방식으로 왜곡, 전유되고 있었는가를 확인해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consisting process of the narrative of the revolution in the 1960s focusing on the narrative of the revolution in Oh Yu-gwon’s Bangatgol Revolution. It was the 1960s when various meanings of revolution reappeared and disappeared at once. However, there are not many works that actually deal with the contemporary meaning of the revolution. It is worth noting that Oh Yu-gwon deals with the problem of revolution in the background of rural society.
    Bangatgol Revolution, which explains the village’s feudal status system as the cause of division and conflict, makes the problem of class conflict visible and reveals the possibilities of a tabooed revolution. In addition, it visualizes the spectacle of the brutal violence of warfare contrasting peaceful rural landscapes, not battlefields. And through this, the novel reveals the will to pursue peace and solidarity beyond ideological conflicts. In this process, the love between Suntae and Geumsoon, the protagonists, emerges as a peaceful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lass conflict between Sangchon and Hachon.
    The revolutionary wills of the Bangatgol Revolution, driven by romantic love, are thwarted by the powerful anti-communist ideology. The protagonist, who has a career on the left, confirms the reality that there is no outside anti-communist party through war. And in a village where political speech is prohibited, they try to bond the town’s people by blood to resolve the conflict. The polygamous family system appears as the only way to close the anxiety of division and conflict that li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villages. Ultimately, the revolutionary theory of peace, which forbids all violence and revenge, ends in the form of a regressive primitive community.
    The discourse of the revolution of Bangatgol Revolution could be considered as a mirror image of the revolutionary spirit of the 1960s, which lost its prospects. Resolving the problem of deep-rooted inequality and abuse of the town becomes no longer the goal of the revolution. The regressed will of the revolution erases the historicity and locality of the town, transforming the town into a mythical space. And this imaginary space is precariously maintained by killing the young people of Sangchon who have returned. The revolutionary narrative of Bangatgol reveals the archetypal structure of a war narrative of a rural while mythizing the images of the nation. And it confirms how the spirit of revolution was distorted and appropriated in a divided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