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폐경 전후 여성에서 혈청 지질 정도와 골대사와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ipid Levels and Bone Metabolism Among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7.12
8P 미리보기
폐경 전후 여성에서 혈청 지질 정도와 골대사와의 연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비만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 16권 / 4호 / 162 ~ 169페이지
    · 저자명 : 신진희, 황유나, 김완욱, 김현숙, 송상욱

    초록

    연구배경: 혈청 콜레스테롤이 시험관 및 동물실험에서 조골세포(osteoblast)의 분화에 영향을 미쳐 골밀도의 감소를 초래한다는 연구 및 최근 고지혈증 치료제인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가 골량을 보존하고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을 예방한다는 연구 등이 보고되었으나, 인간을 대상으로 혈청의 지질 정도와 골대사 상태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생화학적 골표지자와의 연관성을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아 본 연구를 통하여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1월부터 2006년 5월 사이에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내원한 성인 여성 중에서 골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분비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및 흡연, 음주력이 있는 경우를 제외한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주 및 흡연력과 과거력, 운동량 등은 자가 기입식 설문을 이용하였고 골대사를 반영하는 생화학적 골표지자로는 혈청 Alkaline phosphatase (이하 ALP),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요중 디옥시피리디놀린(deoxypyridinoline)을 측정하였으며 골밀도는 요추, 대퇴 골두, 대퇴골 평균을 측정하였다.
    결과: 골흡수지표인 디옥시피리디놀린이 중성지방과는 양의 상관관계를(r = 0.20, P = 0.02), HLD-콜레스테롤과는 음의 상관관계를(r = -0.24, P < 0.01) 가졌으며, 골형성지표인 오스테오칼신은 혈청 지질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ALP의 경우 중성지방과 양의 상관관계를(r = 0.21, P = 0.01) 보였다. 생화화적 골표지자와 혈청 지질과의 고유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령, 폐경 유무, 폐경 기간, 체질량지수(BMI), 근육량, 지방량, 운동량을 보정한 후 시행한 다중회귀분석에서 디옥시피리디놀린은 총콜레스테롤(P < 0.01), 중성지방(P < 0.01), HDL-콜레스테롤(P = 0.013), LDL-콜레스테롤(P < 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며(R2 = 0.248), 혈청 오스테오칼신은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ALP는 중성지방(P = 0.014), LDL-콜레스테롤(P = 0.045)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R2 = 0.28).
    결론: 혈청 지질 농도와 생화학적 골표지자 중 골흡수지표인 디옥시피리디놀린과 골형성지표인 ALP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따라서 지질 대사가 골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상지혈증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Previous in vitro and animal studies showed that high serum cholesterol reduced bone mass densitometry (BMD) by affecting the cell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and antihyperlipidemic drug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were shown to help preserve bone mass and prevent osteoporosis induced fracture. However there were only few studies which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serum lipid levels with biochemical bone markers reflecting bone metabolism. Therefor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ethod: The subjects included 133 female adul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from November 2005 to May 2006. Urine deoxypyridinoline osteocalcin,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were used as bone markers and BMD was measured.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rine deoxypyridinoline and triglyceride (r = 0.20, P = 0.02),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LD-cholesterol (r = -0.24, P < 0.01).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osteocalcin and serum lipids but a positive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ALP and HLD-cholesterol (r = 0.21, P = 0.01). In an effort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arker and serum lipid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adjusting for age, menopause status, the period of menopause, BMI (Body mass index), muscle mass, fat mass, and exercise amou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deoxypyridinolin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otal cholesterol (P < 0.01), triglyceride (P < 0.01), HDL-cholesterol (P = 0.013), and LDL-cholestrol (P < 0.01), but osteocalcin showed no correlation. AL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riglyceride (P = 0.014) and LDL-cholesterol (P = 0.045).
    Conclusion: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serum lipid level and deoxypyridinoline as bone absorption index and ALP as bone formation index. Therefore, lipid metabolism can affect the bone metabolism, and dyslipidemia patients should be managed in order to prevent osteoporo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