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순태의 『피아골』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 (Ecological imagination in Piagol of Mun Sun Ta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5.06
29P 미리보기
문순태의 『피아골』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57호 / 59 ~ 87페이지
    · 저자명 : 박찬모

    초록

    문순태의 작품 세계는 ‘고향’과 ‘한’으로 집약된다. 그리고 ‘고향’과 ‘한’을 추적할 때 만나게 되는 것이 6・25전쟁이다. 그의 여러 작품들이 분단 소설의 범주에서 논의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본 논문은 ‘빨치산 문학’의 계보를 잇고 있는 『피아골』을 대상으로 작품의 저변에 깔려 있는 생태학적 상상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는 작중 인물들의 이념성 여부와 그 지향 등을 작가의식과 관련지어 검토하였으며, Ⅲ장에서는 배달수의 생명 인식과 배만화의 해원의지 등에 투영된 생태학적 상상력을 논구하였다.
    Ⅱ장에서는 배달수를 중심으로 『피아골』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단지 생존만을 위해 전쟁에 참여하고 있는 무이념적 인물임을 살펴보았다. 배달수가 빨치산이 되거나 집안군이 된 배경에는 제주도 양민 학살을 거부한다는 인도적・민족적 명분도, 빨치산의 비인간성과 악마성에 대한 경멸 따위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뿐만이 아니라 그에게는 공산주의나 민주주의 따위의 사상적 고민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가 전쟁의 소용돌이 휩싸여 빨치산과 군경 양측에게 각각 총부리를 겨눌 수밖에 없었던 까닭은 오직 총을 갖고 싶다는 욕망과 생존 본능 때문이었다. 이처럼 이 작품에는 이념과 무관하게 좌우익의 극한적 대척점에서 그 경계를 넘나들며 생존을 위해 분투하는 인물군상들의 위태로운 삶과 생존 본능만이 전경화되어 있다. 그렇지만 작가는 배달수가 자행한 두 차례의 참혹한 학살을 사건화함으로써 그의 무이념적 성격과 생존 본능 속에 타자의 생명을 경원시하는 태도가 음험하게 잠복되어 있었음을 간과하지 않는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전쟁 후 배달수가 지리산을 초자연적 존재인 신령의 구현체이자, 사령이 머무는 정령적 공간으로 인식하는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샤머니즘적 우주관을 바탕으로 모든 생명체를 경배와 공존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나아가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어 자연과 인간이 유기적으로 순환하는 생태학적 시선으로 우주 만물을 바라봄으로써 과거 자신의 죄를 참회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배만화는 민지욱 기자를 통해 정유재란에서 6・25전쟁으로 이어지는 ‘죽음의 역사’를 인식함으로써 지리산에서 억울하게 죽어간 영선들의 존재를 자각하게 되고, 이들의 해원을 위한 의지를 밝히고 있다. 곧 작가는 아버지 배달수와 그의 딸 배만화를 통해 샤머니즘적 우주관과 자아관을 제시함으로써 속죄와 해원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작가가 일관되게 추구해온 화해와 해한이 샤머니즘적 세계관에서 연원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곧 해한의 동인이자 기제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Mun, Sun-Tae’s literary world focuses on ‘hometown’ and ‘Han(恨)’. It is the Korean War that comes across when pursuing this ‘hometown’ and ‘Han.’ That is the reason why many of his novels are classified as division novel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cological imagination in Piagol(피아골) which inherits the genealogy of ‘Partisan literature.’ For this purpose, chapter Ⅱ reviewed the ideology and orientation of the figures on the novel in relation to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Chapter Ⅲ examined ecological imagination embodied in the life awareness of Bae Dal-Soo and Bae Man-Hwa’s intention of resolving deep sorrow.
    In chapter Ⅱ, the study examined that figures in Piagol had non- deological identity participating in the war just for survival with special reference to Bae Dal-Soo. The background of Bae Dal-Soo to be a partisan or soldier has neither humanitarian, national justification nor despise non-humane and demonic nature of partisan. Furthermore, there was no ideological agony such as communism or democracy to him. The only reason that he was involved in the war pointing a gun both to partisan and the military and the police is because of his desire of having a gun and also of his instinct for survival. As such, this work describes the hazardous life and instinct for survival beyond the boundary of extreme antipodes of left wing and right wing regardless of ideology. Nonetheless, the writer describes two horrendous massacre of Bae Dal-Soo that shows the latency of disrespect of others’ life in his non-ideological character and instinct for survival.
    And, chapter Ⅲ shows the attitude of Bae Dal-Soo who recognizes Mt. Jiri as the embodiment of supernatural spirit and space of spirit where death souls reside. Based on shamanistic vision of universe, he observes all creatures as objects of worship and coexistence and furthermore seeks nature and human being as organically circulating beyond the boundary of life and death, which shows his repentance of past sins. And, Bae Man-Hwa recognizes ‘history of death’ from Jeongyu-war(丁酉再亂) to the Korean War through Min Ji-Wook, a journalist and perceives the existence of souls who died unfairly showing the intention of resolving deep sorrow. That is to say, the writer suggests shamanistic view of universe and view of ego through Bae Dal-Soo and his daughter Bae Man-Hwa seeking repentance and resolving deep sorrow. It indicates the repentance and solving for regret that the writer continues to seek are originated from the shamanistic world view.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figured out the motivation and mechanism of resolving deep sorr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