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울산 구유동 제전마을의 골맥이제 현황과 특징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Golmaegije in Jejoen Village, Guyu-dong, Uls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7.12
28P 미리보기
울산 구유동 제전마을의 골맥이제 현황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1호 / 125 ~ 152페이지
    · 저자명 : 변윤희

    초록

    이 글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2016년 1년간 진행된 울산 민속조사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울산 북구 구유동에 위치한 제전마을의 주민은 골맥이신을 마을신으로 모시고 동제를 지낸다. 마을신은 마을과 주민을 보살피는 존재이다. 제전마을에서는 마을 차원에서 모셔지는 골맥이신을 가정에서 모시는 경우가 있다. 마을이라는 큰 개념으로 제의를 지내는 것이 동제라면, 마을의 개인이 치성을 드리는 것은 가정에서 지내는 골맥이제이다. 공동체 신앙으로 동제에서 모셔지는 골맥이신은 마을 전체의 제의 대상이지만, 개인 신앙으로 모셔지는 골맥이신은 개인 치성을 드리는 대상이 된다.
    오늘날 가정에서 지내는 골맥이제는 3가지로 진행 현황을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작은 상에 차리는 방식이다. 가정에서 골맥이제를 작은 상에 차려서 진행하는 방식은 자신의 집에서 기제사 또는 차례를 지내고 그 상에 올린 제물을 작은 상에 다시 진설하여 지낸다. 문을 열고 바깥이 상석이 되도록 제물을 진설하는데, 기제사(차례) 제물을 작은 상으로 옮기면서 기제사(차례)와 가정에서 지내는 골맥이제의 제물은 차이가 생긴다. 두 번째, 상 돌리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제사상을 돌려서 집 바깥이 상석이 되도록 하여 골맥이 할배·할매에게 제의를 드린다. 기제사(차례)의 상을 그대로 돌리는 것이기에 제물의 차이는 없다. 세 번째, 술을 한 잔 올리는 방식(약식 진행)이다. 술을 한 잔 올리는 방식은 간단하게 진행된다. 기제사 또는 차례를 지내고 밖에서 술을 한 잔 뿌리거나 실내에서 시석을 준비하면서 골맥이신에게 제의를 드린다.
    3가지 방식의 골맥이제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진다. 가정에서 지내는 골맥이제는 제사 또는 차례를 지내고 진행되며, 여성이 주체자가 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약식으로 진행되어 술을 한 잔 대접하는 방식을 제외하면 집 바깥이 상석이 되도록 한다. 그 밖에 가정에서 지내는 골맥이제는 따로 제물을 준비하지 않는다. 앞의 제의에서 사용했던 제물을 다시 진설하거나, 그대로 사용한다. 다만, 메, 갱 나물은 새것으로 진설하기도 한다.
    이 글은 울산 제전마을만 살펴보고 있다. 한 마을을 중심으로 조사하였기에 가정에서 지내는 골맥이제를 어로라는 생업의 특성에서 그 존재 이유를 찾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래서 구유동 제전마을을 중심으로 인근 지역의 마을 사례는 추후 연구를 통해 밝힐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based on a folk survey on Ulsan conducted by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for one year in 2016. Residents of Jejoen Village located in Guyu-dong, Buk-gu, Ulsan worship Gomaegi God as the village god and perform the village’s communal rituals as Tongje. The roll of the village god exists as the guardian and takes care the village and its residents. In Jejoen Village, households worship Golmaegi God at home. Golmaegije is when individuals offer a devout prayer through the rituals performed at home whereas Tongje is performed by the community. Golmaegisin that worshipped as the village god receives offerings from the entire community through the village’s communal rituals, however, Golmaegi God is worshipped by individuals as a personal deity and receiving devotions from each individual.
    Golmaegije practiced at home nowaday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First is a method of setting a small table. The method of setting a small table for Golmaegije at home involves rearrangement of offerings used during Gijesa or ancestral rite on a small table. The door is opened and offerings are arranged so that the outer side becomes the seat of honor. There are differences in offerings between Gijesa (ancestral rite) and Golmaegije practiced at home, which occur while rearranging offerings on the small table. Second is a method of turning the table. This method turns the table so that the outside of the house becomes the seat of honor, to give offerings from grandfather and grandmother to Golmaegi. There are no differences in offerings in this case, since the table used for Gijesa (ancestral rite) is simply turned around without changing the arrangement. Third is a method of offering liquor (informal proceeding). Method of offering liquor is a simplified method. A glass of liquor is sprinkled outdoors after Gijesa or ancestral rite, or it is offered to Golmaegi God indoors while preparing for Siseok.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of Golmaegije practiced at home by the three methods. Golmaegije at home is practiced after an ancestral rite, and it is commonly hosted by women. Except for the informal method of offering a glass of liquor, outside of the house becomes the seat of honor. Offerings used during Golmaegije practiced at home are not prepared separately. Offerings used during the preceding rite are rearranged or used as they are without rearranging. However, rice, soup and herbs can be replaced by new ones.
    This paper only considers Jejoen Village in Ulsan. Since this paper only studied one village, there are limitations in finding the reason for Golmaegije practiced at home in livelihood characteristics of fishing.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cases of other villages nearby Jejoen Village in Guyu-d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