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 (Osteoarthr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3.03
9P 미리보기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38권 / 1호 / 87 ~ 95페이지
    · 저자명 : 이정윤

    초록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은 측두하악장애의 한 형태로 관절조직의 생리적 내성을 초과하는 기능적 부하가 지속적으로 관절에 가해졌을 때 관절연골 및 연골하 골조직의 점진적 파괴와 이차적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관절면에 가해지는물리적 하중은 관절내에서 기질파괴 단백효소나 염증성 cytokine, 유리기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골조직의 퇴행과재형성 사이의 균형을 깨뜨려 골조직의 흡수를 야기한다. 최근에는 물리적 하중 이 외에 비만세포에서 유래하는 adipokine 이 골흡수를 증가시킨다는 보고들이 있으나 측두하악관절에 적용하기에는 아직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므로 현재로서 골관절염의 치료는 관절의 기능적 부하를 줄이고 환자의 생리적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임상증상은 충분한 기간 정확한 술식대로 시행한 물리치료, 약물치료, 교합안정 장치치료 등의 보존적 처치와 관절강내 주사요법이나 관절세척술 및 관절경 수술과 같은 추가적인 외과적 처치에 의해 성공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나, 임상증상의 개선이 골파괴의중지와 재형성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므로 임상증상의 개선 이 후에도 지속적인 골변화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또한, 골변화 활성 자체를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활용 가능한 치료법이 없는 한, 지속적인 동기유발과 행동조절을 통해 관절에가해지는 기능적 부하를 환자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교육하는 것이 골변화를 겪는 측두하악관절로 하여금 보다이른 시기에 보다 유리한 정형적 안정에 도달하게 함으로써 골관절염을 보다 성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길이라고 할 수있다.

    영어초록

    Osteoarthritis (OA)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s a severe form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presenting gradual breakdown of articular cartilage and subchondral bone by the functional load sustained to exceed the physiologic tolerance of the joint. In such a joint loaded, offensive bioactive materials such as matrix degrading proteins,cytokines, and free radicals increase in concentration to shift the tissue response in the joint to degeneration from regeneration or remodeling. Recently, it has been issued that obesity can play an offensive role in pathogenesis of OA in a metabolic way. Adipokines released by adipose cells are present at higher concentration in the arthritic joint and joints of obese individuals. However, because of conflicting data reported, further scientific study should be performed to elucidate the practical role of adipokines in pathogenesis of TMJ OA. As far as the clinical signs and symptoms of TMJ OA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forms of TMD and any definitive treatment modality to control directly the bone resorptive activity is not available yet, the treatment of TMJ OA should be directed to reduce the physical load and enhance the physiologic tolerance of the joint by means of conservative treatment such as physical therapy, medication, and occlusal splint therapy for sufficient period and, if needed after that, supplementary surgical procedure such as intra-articular injection, arthrocenthesis, and arthroscopic surgery that have turned out to be effective to control OA signs and symtpoms. Enthusiastic reassurance and motivation for patients to control behaviors for themselves to reduce unnecessary functional load in daily life is very important for the joint to reach to more favorable orthopedic stability of the TMJ more quickly, guaranteeing more successful management TMJ O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전